초연결시대의 그늘 치유론적 탐색

도서명:초연결시대의 그늘 치유론적 탐색
저자/출판사:정지은 , 양유성 , 최성민 , 정락길 , 이민용 ,/앨피
쪽수:270쪽
출판일:2023-06-30
ISBN:9791192647159
목차
머리말
초연결사회 속 인간의 공간성 변화와 그에 따른 심리적 경향성: 들뢰즈의 섬 이론을 중심으로 _ 정지은
코로나와 스크린
주체와 미디어 표면
들뢰즈의 두 종류의 섬
무인도와 로뱅송의 심리의 변화
결론
초연결시대 사이버 공간에서의 분노와 공격성 _ 양유성
들어가는 글
초연결사회에 살고 있는 인간의 미래 이야기
첨단 기술 문명 사회에서 벌어지는 양극화 현상
사이버 공간에서의 분노와 폭력
분노하는 내면아이의 심리
나가는 글
초연결사회의 소통 교육 _ 최성민
융합 시대와 초연결사회
지식 정보의 탐색과 글쓰기 교육
초연결사회에서의 인문학적 언어 소통과 윤리적 성찰
공감을 위한 소통 교육
정상증후군, 병리인가 현실인가?: 초연결사회에 대한 크리스토퍼 볼라스의 시선 _ 정락길
접촉에의 열망
20세기 병리학 지도
정상증후군에 대해 말한 정신분석가들
크리스토퍼 볼라스가 본 정상증후군
초연결시대와 정상증후군: 억압된 자의 귀환the return of the oppressed
애도의 실패
정상증후군과 초연결사회
스토리 연결의 치유서사학적 접근 _ 이민용
(초)연결된 삶의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치료
스토리텔링 치료의 내러티브 이론과 삶의 내러티브 연결
스토리텔링 치료의 내러티브 이론에서 본 《연금술사》의 내러티브
은유로서의 《연금술사》 내러티브와 삶의 내러티브
초연결사회 치유 콘텐츠 활용 가능성
공멸 불안과 프레카리아트의 상상력: 듀나의 〈죽은 고래에서 온 사람들〉의 경우 _ 우찬제
불타는 행성, 공멸의 불안
기후변화, 환경전염병, 인류세 공포
생태불안정성과 의료-환경 인문학의 모색
듀나의 〈죽은 고래에서 온 사람들〉에 나타난 프레카리아트의 상상력
에코바디와 생태 안정성을 위하여
디지털 포비아와 레트로 테라피: 현실 같은 영화, 영화 같은 현실 _ 노철환
벨 에포크 또는 카페 벨에포크
미장아빔
오프닝 시퀀스
영화 속 영화, 〈플래시백〉
시간여행 모티브
교차편집: 비밀의 노출
숏/역숏: 시선의 응답
현실과 가상의 흐릿한 경계
재현과 체험
영화와 회화의 상호매체성
돌아보지 마시오
디지털 중독과 상담적 개입 방****_ 이헌주
디지털 중독과 그로 인한 문제점
디지털 중독으로 인한 심리적/신체적 문제
디지털 중독과 상담적 개입 방향
디지털 중독 상담에서의 통합적 접근: K씨의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 중독 상담에서 필요한 가장 중요한 전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