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선동귀집강의(하)

도서명:만선동귀집강의(하)
저자/출판사:영명연수/사유수
쪽수:409쪽
출판일:2023-09-18
ISBN:9791185920221
목차
해제 (머릿말 포함)
일러두기
임금이 지은, 묘원정수 지각영명 수 선사 만선동귀집 서
개요를 서술함(현담)
갑 1. 서설
갑 2. 다섯 가지 현묘한 뜻[五重玄義]
을 1. 이름을 해석함
을 2. 체성을 분별함
을 3. 宗要를 밝힘
을 4. 力用을 논함
을 5. 敎相을 구별함
갑 3. 저자 소개
(하 권)
정 8. 같고 다름이 차별이 없음 (圓修十義 중 八)
무 1. 뜻을 논함
무 2. 근본과 자취가 다르나, 같고 다름이 차별이 없음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인용하여 증명함
기 3. 설명함
기 4. 두 번째 물음과 답
기 5.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무 3. 性空과 緣起가 파괴되지 않음
기 1. 묻고 답함
기 2. 인용하여 증명함
기 3. 설명함
무 4. 取·捨의 생각이 다하면 眞·俗의 理가 나타남
기 1. 묻고 답함
기 2.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정 9. 修·性이 둘이 없음
무 1. 性으로 修를 이루고, 修로 인하여 性이 드러남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기 3. 두 번째 질문과 답
기 4.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무 2. 대승을 비방하지 말고, 小敎를 나무라지 마라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기 3. 두 번째 질문과 답
기 4. 설명함
무 3. 性은 修로 인하여 드러나고, 萬善이 돕고 영향을 끼침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기 3. 두 번째 질문과 답
기 4.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기 5. 세 번째 질문과 답
기 6.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무 4. 공덕과 만행이 앞뒤에서 서로 일어남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인용하여 증명함
기 3. 설명함
기 4. 두 번째 질문과 답
기 5.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무 5. 遍計를 파할 뿐, 依他는 파하지 않음
기 1. 문답
기 2.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무 6. 옛 성현들이 理·事를 쌍으로 행함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두 번째 물음과 답
무 7. 불교가 더없이 거룩하니, 儒·道가 풍속과 교화를 흠모함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두 번째 질문과 답
기 3. 세 번째 질문과 답
무 8. 性·修가 둘이 없어야 一心을 깨닫고 이해함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기 3. 두 번째 묻고 답함
기 4. 세 번째 묻고 답함
무 9. 緣生이 無性이요, 無性이 緣生임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인용하여 증명함
기 3. 두 번째 물음과 답
기 4. 세 번째 물음과 답
기 5. 네 번째 물음과 답
기 6. 인용하여 증명함
기 7. 의심을 널리 풀어줌
정 10. 인·과가 차이가 없음 (圓修十義 중 十)
무 1. 感·應의 도가 교차하나, 冥·顯이 차별이 있음
기 1. 첫 물음과 답
기 2. 두 번째 물음과 답
무 2. 業은 삼세에 통하고, 果報는 인연에 따름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두 번째 질문과 답
무 3. 악을 그치고 선을 행하는 것이 나라를 바로 세우고 집안을 보전하는 것임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인용하여 증명함
기 3. 두 번째 물음과 답
기 4.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기 5. 세 번째 물음과 답
기 6.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무 4. 萬善을 닦는 데는 마음이 근본이 됨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기 3. 여러 가지 의심을 널리 풀어줌
무 5. 마음 밖에 법이 없고, 유식으로 변현한 것임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두 번째 물음과 답
기 3. 인용하여 증명하고 설명함
무 6. 相과 識이 모두 空하고, 識과 性이 영원히 존재함
기 1. 첫 질문과 답
기 2. 두 번째 물음과 답
기 3. 인용하여 증명함
을 3. 원교일승의 과덕을 이룸
을 4. 이 책의 이름을 묻고 답함
병 1. 전체적으로 들다
병 2. 따로 해석함
을 5. 이익을 묻고 답함
을 6. 요점을 따서 거듭 송함
부록
1. 御製妙圓正修智覺永明壽禪師萬善同歸集序
2. 十善因果綱要表
3. 十如是
4. 靜藹法師 捨身頌
5. 『유마경』 「불도품」 40게 송문
6. 『慧日永明智覺禪師自行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