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노년문학의 총체적 연구

도서명:박완서 노년문학의 총체적 연구
저자/출판사:박태상/한국문화사
쪽수:444쪽
출판일:2023-06-26
ISBN:9791169191258
목차
책머리에
Ⅰ. 가족·노인·갈등
박완서 창작집에 등장한 노년문학 연구
Ⅰ. 머리말
Ⅱ. 노년문학의 개념과 박완서 노년문학의 특성
Ⅲ. ‘심리학적·사회학적 노년학’ 이론과 적용
Ⅳ. 2000년대 박완서 단편에 나타난 노년서사
Ⅴ. 맺음말
박완서의 1990년대 노년문학에 나타난 노인형상과 ‘가족갈등’ 양상
Ⅰ. 머리말
Ⅱ. 박완서 문학에 등장한 ‘노인형상’의 이미지
Ⅲ. ‘가족갈등’의 요인과 해소방안
Ⅳ. 맺음말
Ⅱ. ‘질병’의 상징적 의미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박완서 노년문학의 상징적 의미
Ⅰ. 머리말
Ⅱ. 그레마스의 기호학과 노화의 다양성
Ⅲ. 노년의 가치론과 ‘기호학적 사각형’ 투사
Ⅳ. 맺음말
박완서 치매서사에 나타난 ‘자존감’ 보존양상
Ⅰ. 머리말
Ⅱ. 문학에서의 ‘치매서사’
Ⅲ. 기억과 망각
Ⅳ. 반복과 차이
Ⅴ. 맺음말
Ⅲ. 타자의 주체성과 배제·포용
박완서문학과 ‘사랑’의 존재론적 의미
Ⅰ. 머리말
Ⅱ. 타자성, 집·거주, 그리고 박완서
Ⅲ. ‘사랑’을 통한 무한질주의 실험
Ⅳ. 맺음말
박완서의 노년문학에 나타난 ‘배제와 포용’의 경계
Ⅰ. 머리말
Ⅱ. ‘적대’의 형성과 이데올로기
Ⅲ. ‘우호적 적’과 구성적 타자
Ⅳ. 동질성과 평등
Ⅴ. 사회변혁과 ‘헤게모니’
Ⅵ. 맺음말
Ⅳ. ‘죽음’의 존재론적 지평
박완서의 ‘1990년대 노년문학’ 연구
Ⅰ. 머리말
Ⅱ. 박완서 노년문학의 특성과 분석방법론
Ⅲ. ‘미시적 서사’로서의 박완서 노년문학
Ⅳ. ‘기억의 글쓰기’에서 ‘포용의 글쓰기’로
Ⅴ. 맺음말
박완서 문학에 나타난 ‘죽음’의 존재론적 지평
Ⅰ. 머리말
Ⅱ. ‘죽음’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박완서
Ⅲ. 박완서 문학에 담겨진 죽음의 현상
Ⅳ. 맺음말
영문초록
참고문헌
부록|호원숙 수필가와의 인터뷰(‘박완서 노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