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시와 ‘철미디어’의 거울

도서명:한국 근대시와 ‘철미디어’의 거울
저자/출판사:조영복/한국문화사
쪽수:390쪽
출판일:2023-06-23
ISBN:9791169191173
목차
서문을 대신하여|‘불ㆍ빛’에 감싸인 근대시의 언어들
1부 철미디어, 시의 호르몬
1. 철미디어의 ‘얼리어답터’ 李箱을 위한 장
2. 철미디어의 注射와 시의 모형자궁
3. 철미디어의 리듬과 ‘아우라’의 접촉성
4. ‘자동화된 몸’의 수사, ‘자연’에서 ‘기계’로
5. 철미디어의 빛과 그림자 놀이
6. ‘원격현전성’과 ‘아우라’
7. 철미디어와 조선어구어의 리듬
2부 철미디어, 시의 새로운 역학
1절 철미디어의 거울과 미의식의 변화
1. 직선, 예각, 미끈한 육체의 뮤즈
2. 불·빛·책의 도시와 철미디어 문체
3. 자동기계 이미지와 사이보그 몸의 수사
4. 기계적 강박에서 수의 리듬으로
5. 철미디어의 양식과 철미디어의 시장르
2절 철미디어 동력의 ‘번역적 위치’
1. 철미디어의 바다, 기선의 동력학적 리듬
2. 기차, 氣動車, 철도의 속도와 리듬
3. 자동차, 오토바이의 활력과 아방가르드 시학
4. 아스팔트의 음악적 효과와 ‘거울’의 빛
5. 윤전기로부터 ‘문자’의 시·공간적 확장
6. 비행기, 추진기의 理知와 비약의 리듬의식
7. 신경증적 ‘파동’의 언어감각과 움직이는 시의 음악
8. 철미디어의 호르몬적 集積과 은유
3부 축음기효과와 시의 무선적 ㆍ 전파적 상상력의 연대
1절 기계음악과 축음기효과
1. ‘말하는 기계’와 기계에 흡수된 인간의 몸
2. 자동기계와 ‘철’과 ‘살’의 은유
3. ‘철인간’ 이상과 기계음악의 효과
2절 철미디어의 원격현전성과 연결, 연대 그리고 해방
1. 철미디어의 소셜미디어적 전복성과 원격현전성
2. 전파·무선적 상상력 혹은 시적 상상력
4부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