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학의 스토리텔링

도서명:영상문학의 스토리텔링
저자/출판사:이다운/역락
쪽수:312쪽
출판일:2024-07-17
ISBN:9791167428387
목차
1장 OTT 드라마론
글로벌 플랫폼과 전 세계 시청 공동체의 결연-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1_가장 성공한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
2_글로벌 플랫폼과 새로운 버전의 시청 공동체
3_글로벌 대중과 〈오징어 게임〉의 내적 특성
새로운 드라마 문법과 복합 장르성-넷플릭스 〈보건교사 안은영〉
1_OTT의 확장과 오리지널 드라마
2_새로운 드라마 문법과 복합 장르성
3_‘한국형 여성’ 슈퍼 히어로라는 특이성
4_플랫폼의 다변화와 드라마의 미래
호모 렐리기오수스와 재난 시뮬레이션-넷플릭스 〈지옥〉
1_OTT를 통해 확장되는 ‘연니버스’
2_호모 렐리기오수스와 종교의 타락
3_인간이라는 비이성의 공범과 세계의 지옥화
OTT 드라마의 폭력 재현 양상-TVING 〈몸값〉
1_OTT와 폭력의 적극적 재현
2_호모 비오랑스의 가시화: 폭력 재현의 세 가지 양상
3_잔혹극의 새로운 귀환: 폭력 재현의 원인과 의미
복수서사의 시대적 특성 및 극적 전략-넷플릭스 〈더 글로리〉
1_OTT가 소환한 복수서사
2_복수의 전제: 사적경험의 전략적 공분화
3_복수의 완성: 설계된 응징과 영광의 회복
4_복수서사와 판타지의 사회적 기능
2장 TV 드라마론
박재범의 반영웅 3부작-〈김과장〉, 〈열혈사제〉, 〈빈센조〉
1_독보적인 코미디 드라마 작가
2_반영웅과 소시민 연대에 의한 정의구현
3_코미디를 통한 긴장 해소와 드라마의 놀이화
김은숙의 로맨스 드라마-엔터테인먼트로 실현되는 대중성
1_대중지향의 드라마 작가 김은숙
2_감정의 종합판으로서 남****과 탈계급화 로맨스
3_유머와 전환적 구성 그리고 스펙터클을 통한 오락성
4_상투성의 희석과 감동 발현 도구로서의 대사
포스트휴먼 시대의 드라마-〈너도 인간이니?〉
1_인간 이후의 인간, 포스트휴먼
2_‘기계-인간’으로 규명되는 인간의 존재성
3_‘욕망하는 기계’와 ‘횡단하는 주체’의 탄생
4_드라마와 포스트휴먼적 상상력
로컬의 낭만과 추리서사의 전략적 병합-〈동백꽃 필 무렵〉
1_대중과 조우한 보수적 판타지
2_로컬리티의 활용과 보수적 낭만의 체현
3_추리서사의 보조적 삽입과 복합장르의 탄생
4_평범한 사람들의 기적 같은 이야기
계급차이 로맨스의 유효성 및 변화 양상-〈킹더랜드〉
1_대중서사와 계급차이 로맨스
2_계급차이 로맨스의 유효성과 판타지의 존속
3_계급차이 로맨스의 변화와 시의성의 개입
3장 영화론영화 장치를 통한 의미의 보류와 생성-〈헤어질 결심〉
1_다층적 텍스트로서 영화 〈헤어질 결심〉
2_모호성을 통한 의미 보류
3_시점과 상징을 통한 의미 생성
희비극으로 재현한 계급 공존의 불가능성-〈기생충〉
1_충(蟲)의 시대를 위한 자조적 헌사
2_기생충이 된 프레카리아트와 우아한 숙주
3_생존을 위한 수평폭력과 모멸의 활극
4_기생의 파국과 충(蟲)의 무모한 판타지
대중영화와 역사 재현의 윤리-〈택시운전사〉, 〈1987〉, 〈군함도〉
1_‘역사-다시쓰기’에 대한 영화의 욕망
2_오락으로 소비되는 재난의 스펙터클
3_현재를 위해 호명된 알리바이로서의 역사
4_대중영화의 역사 재현과 윤리적 아포리아
역사적 트라우마와 영화의 기록-〈박하사탕〉
1_20년 뒤 다시 읽는 〈박하사탕〉
2_역사적 트라우마의 원인: 살상으로 체험된 광주
3_역사적 트라우마의 과정: 죄의식과 자기징벌
4_역사적 트라우마의 결과: 자아상실과 죽음욕망
5_역사적 트라우마의 기록으로서 〈박하사탕〉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