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산업과 노동

도서명:인천의 산업과 노동
저자/출판사:한국역사연구회 , 인천문화재단 엮음 · 하상진 , 노/선인
쪽수:219쪽
출판일:2023-12-31
ISBN:9791160688580
목차
발간사 / 5
▮ 1882~1883년 인천을 통한 청인의 입경과 주류 사례로 본 조선 내 외국인 신분 규정 | 하상진
머리말
1. 명문화 이전 인천을 통한 청인의 입경과 주류 사실
1) 조청 간 인천의 중요성 논의와 개항의 결정
2) 1882년 봄 칙사-상무위원의 입경과 주류 활동
2. 외국인 신분 규정 명문화 작업과 상무위원 진수당의 신분
1) 신분 규정 원칙과 명문화에 필요한 조건
2) 1883년 가을 상무위원 진수당의 주류 및 인천 산업화 시도
맺음말
▮ 1910년대 경기·관서·관북 지역 상점 상인의 존재형태와 동향
- 「조선상업총람」 부록에 실린 상점 목록을 중심으로 | 노상균
머리말
1. 자료소개: 「조선상업총람」 부록
2. 「조선상업총람」 부록을 통해 본 1910년대 상점 상인의 존재형태
3. 상점 상인의 자본 운용 동향
맺음말
[부표] 「조선상업총람」 수록 조선인 상점상인 명단
▮ 동양방적 세 소녀 이야기 -강제동원의 시작과 끝 | 이상의
머리말
1. 동양방적의 조선 진출과 확장
1) 동양방적의 조선 진출
2) 동방의 달러박스 인천공장과 경성공장
3) 전시하 동양방적의 사업 확장
2. 동양방적의 아동동원과 노동조건
1) 아동 강제동원과 작업장 배치
2) 작업장 풍경과 노동과정
3. 강제동원 노무자의 일상과 인식
1) 노무자의 일상과 공장 공간
2) 해방과 귀환 과정
맺음말
▮ 1960년대 한국 에너지 정책의 변화와 경인에너지의 설립 | 권오수
머리말
1. 주유종탄(主油從炭) 정책과 전원개발 우선주의
2. 경인에너지, 석유와 전기의 절묘한 조합
맺음말
▮ 공장도시에서의 산업선교 - 인천도시산업선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 소준철
머리말187
1. 만석동은 어떤 곳이었나
1) 공장도시, 만석동
2) 한국전쟁 이후 노동자들의 삶
2. 인천도시산업선교회는 어떤 활동을 하였는가
1) 산업선교의 시기
2) 그룹화운동으로의 변화
3) 사회선교로의 본격적인 전환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