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예'로운 패전

도서명:'영예'로운 패전
저자/출판사:조건/선인
쪽수:276쪽
출판일:2023-10-31
ISBN:9791160688436
목차
책을 펴내며
일러두기
제1부 일제 침략군의 증식과 결전장이 된 한반도
제1장 중일전쟁 이후 조선군의 ‘평양사단’ 증설과 그 의미
1. 머리말
2. 중일전쟁기 조선군의 중국 침략과 사단 증설
3. 상주 제30사단의 평양 설치와 현황
4. 조선 내 상주 3개 사단 정립(鼎立)과 그 의미
5. 맺음말
제2장 일제 말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대전 주둔과 군사령부 이전 계획
1. 머리말
2. 일본군의 대전 배치 과정과 주둔 시설
3. 대전 주둔 부대의 군사 활동과 조선 주둔군 사령부의 이전 계획
4. 패전 전후 대전 내 군사령부 구축 시도와 그 의미
5. 결론
제2부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제의 항공군사기지 건설과 성격
제3장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한반도 내 항공기지 건설과 의미
1. 머리말
2. 일본 육·해군의 한반도 내 항공기지 건설 양상
3. 한반도 내 일본군 항공기지 전체 현황 및 잔존 실태
4.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 일본군 항공기지의 역할과 의미
5. 맺음말
제4장 한반도 주둔 일본 해군의 제주항공기지 운용과 특징
1. 머리말
2. 일본군의 제주도 내 항공기지 건설 개황
3. 중일전쟁기 일본 해군의 제주항공기지 운용과 중국 공습
4.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 해군 제주항공기지의 변화와 특징
5. 맺음말
제5장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광주·전남지역 군사시설 건설과 전쟁유적의 성격
1. 서론
2. 일제의 본토결전과 광주·전남지역의 전장화
3. 광주·전남지역 일본 육군 군사시설
4. 광주·전남지역 일본 해군 군사시설
5. 광주·전남지역 일본군 전쟁유적의 성격
6. 결론
제3부 침략전쟁 말기 한반도 병참기지화의 실체와 파급
제6장 일제 말기 인천육군조병창의 지하화와 강제동원 피해
1. 서론
2. 인천육군조병창의 설치와 역할
3. 인천육군조병창의 지하화 계획과 실행
4. 조병창 지하화에 따른 동원과 피해
5. 결론
제7장 인천시 부평 외국군 ‘병참기지’의 성립과 해체, 그리고 현재적 의미
1. 서론
2. 일제의 한반도 병참기지화와 육군조병창 설치
3. 아시아태평양전쟁 종전에 따른 조병창의 변화와 미군 진주
4. 부평지역 외국군 병참기지의 귀결과 그 의미
5. 결론
〈보론〉 ‘본토’가 된 한반도의 상처받지 않은 침략군
1. 패전 당시 일제 침략군의 상황
2. 일제 침략군의 안전한 귀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