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yton 의학생리학 > 의학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Guyton 의학생리학 > 의학

Guyton 의학생리학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범문에듀케이션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범문에듀케이션
시중가격 95,000원
판매가격 95,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Guyton 의학생리학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Guyton 의학생리학

    9791159434266.jpg

    도서명:Guyton 의학생리학
    저자/출판사:대한생리학회,번역/범문에듀케이션
    쪽수:1180쪽
    출판일:2024-03-05
    ISBN:9791159434266

    목차
    머리말 v
    저자 머리말 vi

    UNIT I 생리학 개괄: 세포와 일반 생리학 1
    CHAPTER 1 민선식 
    인체의 기능적 구조와 “내환경” 조절 3
    세포는 신체의 살아있는 단위이다 3
    세포외액-“내환경” 3
    항상성-거의 일정한 내환경의 유지 4
    인체 제어시스템 6
    요약-신체의 자동성 10
    CHAPTER 2 임승순
    세포와 그 기능 11
    세포 기구 11
    세포 구조 12
    동물세포와 비세포 형태의 생명체 비교 19
    세포의 기능적 시스템 19
    세포 움직임 25
    CHAPTER 3 장수정
    유전자에 의한 단백질 합성과 세포 작용, 세포 번식 조절 29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는 세포 핵 유전자 29
    전사-핵의 DNA 유전부호가 세포질 RNA 유전
    부호로 이동하는 과정 32
    유전자부호**** - 리보소체에서의 단백질 생성 36
    세포내 다른 물질들의 합성 38
    세포내 생화학 작용과 유전 기능 조절 38
    DNA-유전자 시스템은 세포 번식도 조절한다 40
    세포분화 44
    세포자멸사-세포예정사 45
    암 45

    UNIT II 세포막생리학 및 신경, 근육 49
    CHAPTER 4 박진봉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51
    세포막은 세포막 수송단백질을 포함하는 지질이중층이다 51
    확산 52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능동수송 59
    CHAPTER 5 박진봉
    세포막전위와 활동전위 65
    세포막전위의 기본적 물리현상 65
    신경세포의 안정막전위 67
    신경세포의 활동전위 69
    활동전위 전파 73
    활동전위 종료 후 소듐과 포타슘이온의 농도경사 회복-에너지대사의 중요성 74
    고원기를 보이는 활동전위 74
    흥분성세포의 율동성-반복적인 흥분발사 75
    신경줄기에서 신호전달의 특징 76
    흥분-활동전위의 발생과정 77
    CHAPTER 6 천상우
    뼈대근육 수축 81
    뼈대근육의 생리적 구조 81
    근육수축의 일반적 기전 83
    근육수축의 분자기전 84
    근육수축 에너지학 88
    전체 근육의 수축 특성 89
    CHAPTER 7 천상우
    뼈대근육의 흥분: 신경근육 신호전달과 흥분-수축 연결 97
    신경근육접합부와 신경종말에서 뼈대근육섬유로의 신경자극 전달 97
    근육 활동전위 101
    흥분-수축 연결 101
    CHAPTER 8 방효원
    민무늬근육의 흥분과 수축 105
    민무늬근육 수축 105
    칼슘이온에 의한 수축 조절 107
    민무늬근육 수축에 대한 신경과 호르몬 조절 109

    UNIT III 심장 115
    CHAPTER 9 김종연
    심장근육: 펌프로서의 심장 및 심장판막의 기능 117
    심장근육 생리 117
    심장 주기 121
    심장 펌핑의 조절 127
    CHAPTER 10 조영욱
    심장의 율동적 흥분 발생 131
    심장의 특수흥분전도계 131
    심장에서 흥분과 전도 조절 135
    CHAPTER 11 장원석
    심전도의 기초 139
    정상 심전도 파형 139
    심장 주기 동****심장 주위에서 전류 흐름 141
    심전도전극 142
    CHAPTER 12 조영욱
    심근과 관상동맥 혈류 이상의 심전도 해석: 벡터 분석 147
    심전도 벡터 분석 147
    정상 심전도의 벡터 분석 149
    심실 QRS복합의 평균 전기축과 그 의미 152
    QRS복합의 전압 크기에 이상을 일으키는 상황들 154
    길어진 또는 기이한 형태의 QRS복합 155
    손상전류 156
    T파 이상 159
    CHAPTER 13 장원석
    심장부정맥과 그에 대한 심전도 해석 161
    비정상 굴심방결절 리듬 161
    심장 전도경로 내의 흥분전도차단 162
    조기수축 164
    돌발빈맥 167
    심실세동 167
    심방세동 170
    심방조동 171
    심정지 172

    UNIT IV 순환 173
    CHAPTER 14 김경년
    순환의 개요: 혈압과 혈류, 저항 175
    순환의 물리적 특성 175
    순환 기능의 기본 원리 176
    혈압과 혈류, 저항의 상호 관계 177
    CHAPTER 15 김성준
    혈관 팽창성과 동맥계와 정맥계 기능 187
    혈관 팽창성 187
    동맥압 박동 188
    정맥과 그 기능 192
    CHAPTER 16 이동현
    미세순환과 림프계: 모세혈관의 액체 교환과 사이질액, 림프 흐름 197
    미세순환과 모세혈관계 구조 197
    모세혈관 내 혈액 흐름 - 혈관운동 198
    혈액과 사이질액 사이의 물과 영양소, 여러 물질의 교환 199
    사이질과 사이질액 200
    모세혈관을 통한 용액 여과 201
    림프계 205
    CHAPTER 17 김세훈
    조직혈류의 국소조절과 체액성조절 209
    조직의 필요에 의한 국소혈류조절 209
    혈류조절 기전 210
    순환의 체액조절 217
    CHAPTER 18 김세훈
    순환의 신경조절과 동맥압의 신속 조절 221
    순환의 신경조절 221
    동맥압의 신경조절 특징 230
    CHAPTER 19 김성준
    동맥압 장기조절과 ****에서 신장의 역할: 동맥압 조절을 위한 통합계 233
    신장-체액계에 의한 동맥압 조절 233
    혈압 조절에서 레닌-안지오텐신계의 기능 239
    동맥압 조절에 관련된 다양한 시스템의 통합적 요약 246
    CHAPTER 20 최성우
    심박출량과 정맥혈복귀량 그리고 이들의 조절 249
    안정 시 및 활동 시 정상 심박출량 249
    정맥혈복귀량에 의한 심박출량 조절-심장의 프랭크-스탈링 기전 249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방법 260
    CHAPTER 21 우주한
    운동 시 근혈류량과 심박출량: 관상동맥순환과 허혈심장병 263
    안정 시와 운동할 때의 뼈대근육에서 혈류 조절 263
    관상순환 266
    CHAPTER 22 전병화
    심부전 275
    심부전에서 순환역학 275
    일측 좌심장 부전 278
    저출력 심부전증-심인성쇼크 279
    심부전 환자의 부종 279
    심장예비력 281
    심부전의 정량적 도표 분석 282
    확장기 기능부전을 가진 심부전과 정상 박출률 283
    고심박출심부전 284
    CHAPTER 23 전병화
    심장 판막과 심음: 판막과 선천심장병 287
    심음 287
    심장 판막병에서 비정상적인 순환역학 290
    선천심장병에서 비정상적인 순환역학 292
    심장수술 시 체외순환 이용 294
    심장 판막병과 선천심장병에 의한 심장비대 295
    CHAPTER 24 김세훈
    순환쇼크와 치료 297
    쇼크의 생리적 원인 297
    혈량저하증에 의한 쇼크-출혈쇼크 298
    신경성쇼크-혈관 저장용량의 증가 303
    급성중증과민반응쇼크와 히스타민쇼크 303
    패혈쇼크 304
    쇼크 치료의 생리기전 304
    순환정지 305

    UNIT V 체액과 신장 307
    CHAPTER 25 강다원
    체액구획 조절: 세포내 · 외액 및 부종 309
    수분 섭취와 배설은 항정상태 동****균형을 이루고 있다 309
    체액구획 310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의 조성 311
    체액구획 용적 측정-지시약희석법 원리 312
    세포내·외액 간의 체액교환과 삼투평형 314
    비정상 상태에서의 세포내 · 외액의 용적과 오스몰농도 316
    영양을 공급할 목적으로 투여하는 포도당 용액과 기타 용액 317
    체액량 조절 이상: 저나트륨혈증과 고나트륨혈증 318
    부종: 조직 내 과도한 수분 319
    신체의 잠재적공간 체액 323
    CHAPTER 26 강다원
    비뇨계: 신장의 기능적 구조와 소변 생성 325
    신장의 다양한 기능 325
    신장의 기능적 구조 326
    배뇨 329
    사구체여과와 세관재흡수, 세관분비를 통한 소변 형성 333
    CHAPTER 27 한재희
    사구체여과와 신혈류량, 그리고 이들의 조절 335
    사구체여과-소변 형성 첫 단계 335
    사구체여과율을 결정하는 요인들 337
    신혈류량 340
    사구체여과와 신혈류량의 생리적 조절 341
    사구체여과율과 신혈류량의 자동조절 342
    CHAPTER 28 한재희
    신세관 재흡수와 분비 347
    세관재흡수는 양이 많고 매우 선택적이다 347
    세관재흡수는 수동수송과 능동수송 기전으로 이뤄져 있다 347
    여러 신장단위에 일어나는 재흡수와 분비 352
    세관재흡수 조절 359
    청소율을 활용한 신장 기능 평가 364
    CHAPTER 29 우재석
    소변 농축과 희석; 세포외액 오스몰농도와 소듐 농도 조절 369
    신장은 희석뇨를 생성해 과다 물을 배설한다 369
    신장은 농축뇨를 배설함으로써 물을 보전한다 370
    역류증폭기전은 수질사이질에 고오스몰농도를 형성한다 372
    신장 수질에 용질 축적을 일으키는 헨레고리의 특성 372
    세포외액의 오스몰농도와 소듐 농도 조절 378
    삼투수용기-ADH 되먹임계 379
    세포외액의 오스몰농도와 소듐 농도 조절에서 갈증의 중요성 381
    CHAPTER 30 김수미
    포타슘과 칼슘, 인산염, 마그네슘의 신장 조절; 혈액량과 세포외액량을 조절하는 신장 기전의 통합 385
    세포외액의 포타슘 농도와 포타슘 배설 조절 385
    신장의 칼슘 배설과 세포외액 칼슘 농도 조절 391
    신장에서 인산염 배설 조절 393
    신장에서 마그네슘 배설과 세포외액 마그네슘 농도 조절 394
    세포외액 조절에 관여하는 신장 기능의 통합 394
    소듐 및 체액 균형을 유지하는 혈압나트륨배설증가와 혈압수분이뇨의 중요성 395
    사이질공간과 혈관계 간 세포외액 분포 397
    신경 및 호르몬 기전은 신장-체액되먹임계의 효율성을 올린다 398
    소듐 섭취 변화에 대한 통합반응 400
    혈액량과 세포외액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상황들 401
    세포외액량은 크게 증가하나 혈액량은 정상이거나 감소하는 상황들 401
    CHAPTER 31 서인석
    산-염기 조절 403
    H+ 농도는 정교하게 조절된다 403
    산과 염기의 정의 및 의미 403
    H+ 농도 변화에 대한 방어기전: 완충제와 폐, 신장 404
    체액에서 H+ 완충 404
    탄산수소염완충계 405
    인산염완충계 407
    단백질은 중요한 세포내액 완충제이다 407
    산-염기 균형의 호흡 조절 408
    산염기 균형의 신장 조절 409
    H+ 분비와 HCO3
    − 재흡수 410
    인산염과 암모니아 완충제는 잉여 H+과 결합하여 ""새"" 탄산수소이온을 생성한다 412
    신장으로 배설되는 산-염기 정량 414
    신세관의 H+ 분비 조절 415
    신장을 통한 산증 교정-H+ 배설 증가 및
    세포외액에 탄산수소이온 추가 416
    신장을 통한 알칼리증 교정-H+ 세관 분비 감소와 탄산수소이온 배설 증가 416
    CHAPTER 32 서인석
    이뇨제와 신장병 423
    이뇨제 작용 기전 423
    신장병 425
    급성신장손상 425
    만성신장병에서 기능을 하는 신장단위가 비가역적으로 소실된다 428

    UNIT VI 혈액세포와 면역, 혈액응고 439
    CHAPTER 33 이동현
    적혈구와 빈혈, 적혈구증가증 441
    적혈구 441
    빈혈 448
    적혈구증가증 449
    CHAPTER 34 최윤희
    감염에 대한 인체 방어: I. 백혈구 및 과립구, 단핵구대식세포계통 그리고 염증 451
    백혈구 451
    감염으로부터 방어하는 중성구와 대식세포 453
    단핵구대식세포계통(그물내피계통) 455
    염증: 중성구와 대식세포의 역할 456
    호산구 459
    호염기구 459
    백혈구 감소증 460
    백혈병 460
    CHAPTER 35 최윤희
    감염에 대한 인체 방어: II. 면역과 알레르기 463
    후천면역 463
    알레르기와 과민성 474
    CHAPTER 36 배현수
    혈액형; 수혈; 조직 및 장기 이식 477
    혈액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항원성 477
    O-A-B 혈액형군 477
    Rh 혈액형군 479
    혈액형의 불일치로 인한 수혈부작용 480
    조직 및 장기이식 481
    CHAPTER 37 임채헌
    지혈과 혈액응고 483
    지혈 현상 483
    혈액응고 기전 485
    인체에서 심각한 출혈을 유발하는 조건 491
    혈전색전증 상태 492
    항응고제의 임상적 사용 493
    혈액응고 테스트 494

    UNIT VII 호흡 497
    CHAPTER 38 이재용
    폐환기 499
    폐환기의 기계역학 499
    폐용적과 용량 502
    폐포환기 505
    CHAPTER 39 이재용
    폐순환, 폐부종, 가슴막액 511
    폐순환계의 생리학적 해부 511
    폐순환계 혈압 511
    폐 혈액량 512
    폐혈류와 폐혈액 분포 512
    정수압이 폐 국소 폐혈류에 미치는 영향 513
    폐모세혈관 혈류역학 515
    가슴막공간 액체 517
    CHAPTER 40 권혁일
    기체교환의 원리; 호흡막을 통한 산소와 이산화탄소 확산 519
    폐포공기와 대기공기 조성은 다르다 521
    호흡막을 통한 기체 확산 523
    CHAPTER 41 권혁일
    혈액과 조직액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 수송 529
    폐에서 신체조직으로 산소 수송 529
    혈액에서 CO2 수송 536
    호흡교환비율 538
    CHAPTER 42 정진섭
    호흡 조절 539
    호흡중추 539
    호흡의 화학적 조절 541
    말초화학수용체-호흡조절에서 산소의 역할 542
    운동 시 호흡조절 545
    CHAPTER 43 정진섭
    호흡부전-병태생리학 및 진단, 산소요법 549
    호흡기능 이상을 연구하는 유용한 방법 549
    특정 폐기능 이상의 병태생리학 551
    저산소증과 산소용법 554
    이산화탄소과다증-체액에 과도한 이산화탄소 556
    인공호흡 556

    UNIT VIII 항공 및 우주, 심해잠수 생리학 559
    CHAPTER 44 배재훈
    항공 및 고소, 우주 생리학 561
    저산소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561
    CHAPTER 45 박규상
    심해잠수와 기타 고압 환경 생리 569
    높은 기체 분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569
    자가수중호흡장비(스쿠버) 다이빙 573

    UNIT IX 신경계: A. 일반 원리와 감각생리학 575
    CHAPTER 46 김성현
    신경계 구성과 연접의 기본 기능, 신경전달물질 577
    신경계의 일반구성 577
    중추신경계 기능의 주요 수준 579
    신경계와 컴퓨터의 비교 580
    중추신경계 연접 580
    연접 전달의 특별한 특징 592
    CHAPTER 47 김성현
    감각수용기와 정보 처리를 위한 신경회로 595
    감각수용기 종류와 감지하는 자극 595
    감각 자극을 신경신호로 전환 595
    신경경로에서 신호 강도 전송-공간 및 시간가중 600
    다양한 신경세포 집단에서 신호 전달 및 처리 600
    신경 회로의 불안정성과 안정성 605
    CHAPTER 48 정승준
    몸감각: I. 일반 구성과 촉각, 위치감각 607
    중추신경계로 몸감각신호를 전달하는 감각경로 609
    등쪽기둥-안쪽섬유띠계의 정보전달 609
    앞가쪽경로를 통한 감각신호 전달 617
    CHAPTER 49 정승준
    몸감각: II. 통증과 ****, 온도감각 621
    빠른통증과 느린통증 그리고 통증의 질 621
    통증수용기와 자극 621
    중추신경계로 가는 2종류의 통증신호 전달경로 622
    뇌와 척수의 ****억제계(****) 625
    연관통 626
    내장통증 626
    온도감각 630

    UNIT X 신경계: B. 특수감각 633
    CHAPTER 50 구용숙
    눈: I. 시각 광학 635
    광학의 물리 법칙 635
    눈의 광학 637
    눈의 액체 시스템-안구내 액체 643
    CHAPTER 51 구용숙
    눈: II. 망막 수용기와 신경기능 647
    망막 구조요소의 해부와 기능 647
    시각의 광화학 649
    색각 654
    망막의 신경기능 655
    CHAPTER 52 구용숙
    눈: III. 시각의 중추신경생리 661
    시각경로 661
    시각피질의 구조 및 기능 662
    시각상 분석 과정 동****자극의 신경 패턴 664
    안운동과 조절 665
    초점조절과 동공의 자율 조절 669
    CHAPTER 53 방효원
    청각 671
    고막과 이소골계 671
    달팽이 672
    중추 청각 기전 677
    CHAPTER 54 김경년
    화학 감각-미각과 후각 683
    미각 683
    후각 687

    UNIT XI 신경계: C. 운동 및 통합 신경생리학 693
    CHAPTER 55 방효원
    척수의 운동기능; 척수반사 695
    운동기능을 위한 척수 구조 695
    근감각수용기-근육방추와 골지힘줄기관-근조절에 대한 이들의 역할 697
    굽힘근반사와 회피반사 702
    교차폄근반사 703
    상반억제와 상호신경지배 703
    자세와 이동 반사 703
    CHAPTER 56 방효원
    운동기능에 대한 대뇌피질 및 뇌줄기의 조절 707
    운동피질과 피질척수로 707
    운동기능 조절에서 뇌줄기의 역할 713
    안뜰감각과 평형 유지 714
    CHAPTER 57 염재범
    전반적인 운동 제어에 기여하는 소뇌와 바닥핵 721
    소뇌와 그 운동기능 721
    바닥핵의 운동기능 730
    전체 운동 제어계의 여러 부분 통합 734
    CHAPTER 58 김형규
    대뇌피질, 뇌의 지적 기능, 학습과 기억 737
    대뇌피질의 생리적 해부 737
    특정 피질영역의 기능 738
    뇌들보와 앞맞교차는 양쪽 대뇌피질 사이에서 사고, 기억, 훈련과 다른 정보를 전달한다 745
    사고, 의식, 그리고 기억 745
    CHAPTER 59 정승준
    둘레계통과 시상하부-뇌의 행동과 동기 기전 751
    뇌의 활성-촉구계 751
    둘레계통 754
    시상하부, 둘레계통의 주 조절 중추 755
    둘레계통 기타 부위의 특수기능 759
    CHAPTER 60 민선식
    뇌의 활동 상태-수면과 뇌파, 뇌전증, 정신병, 치매 763
    수면 763
    CHAPTER 61 김현우
    자율신경계와 부신수질 773
    자율신경계의 일반적 구성 773
    교감 및 부교감신경의 기본적 특성 775
    교감 및 부교감신경계에 의한 표적기관의 선택적 자극 또는 “집단방출” 783
    CHAPTER 62 김현우
    뇌혈류와 뇌척수액, 뇌 대사 787
    뇌혈류 787
    뇌척수액계 790
    뇌 대사 793

    UNIT XII 위장관생리학 795
    CHAPTER 63 김병주
    위장관 기능의 일반적 원리-운동성과 신경조절, 혈액순환 797
    위장관 운동성의 일반적 원리 797
    위장관 기능의 신경조절-장관신경계 799
    위장관 운동의 호르몬 조절 802
    위장관의 기능적 운동 803
    위장관 혈류-“내장 순환” 804
    CHAPTER 64 한승호
    소화관에서 음식물의 추진 및 혼합 809
    음식물 섭취 809
    위의 운동기능 811
    소장운동 814
    결장운동 816
    장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자율반사 818
    CHAPTER 65 한승호
    소화관의 분비 기능 819
    소화관 분비의 일반 원칙 819
    침 분비 821
    위 분비 823
    췌장 분비 827
    간의 ****분비 830
    소장 분비 832
    CHAPTER 66 김병주
    위장관에서 소화와 흡수 835
    가수분해에 의한 다양한 음식물의 소화 835
    위장관 흡수의 기본원리 839
    소장에서 흡수 840
    대장에서 흡수: 대변 형성 844
    CHAPTER 67 조영경
    위장관 장애 생리학 847

    UNIT XIII 대사와 체온조절 853
    CHAPTER 68 장수정
    탄수화물대사와 삼인산아데노신 형성 855
    CHAPTER 69 정한성
    지질대사 865
    트라이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의 기본적인 화학구조 865
    체액에서 지질 운반 865
    CHAPTER 70 정한성
    단백질대사 879
    CHAPTER 71 조영경
    간 885
    CHAPTER 72 진영호
    식이균형; 식이조절; 비만 및 기아; 비타민과
    무기질 891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는 정상 상태에서는 균형이 유지된다 891
    음식물 섭취와 에너지 저장 조절 893
    CHAPTER 73 김종연
    에너지역학과 대사율 909
    CHAPTER 74 진영호
    체온조절과 열 917
    정상 체온 917
    체온은 열생산과 열손실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조절된다 917
    체온 조절-시상하부의 역할 921
    체온조절 이상 925

    UNIT XIV 내분비와 생식 929
    CHAPTER 75 김용운
    내분비학 개론 931
    화학전령들에 의한 신체기능 조정 931
    호르몬의 화학구조와 합성 932
    호르몬 분비, 운반 그리고 혈액으로부터 청소 934
    호르몬의 작용기전 936
    CHAPTER 76 김용운
    뇌하수체호르몬과 시상하부에 의한 조절 945
    뇌하수체와 시상하부와의 관계 945
    시상하부가 뇌하수체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한다 947
    성장호르몬의 생리 기능 948
    뇌하수체뒤엽과 시상하부와의 관계 955
    CHAPTER 77 방효원
    갑상샘대사호르몬 959
    갑상샘대사호르몬의 합성과 분비 959
    갑상샘호르몬의 생리학적 기능 963
    갑상샘호르몬 분비 조절 967
    CHAPTER 78 김수미
    부신피질호르몬 973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무기질부신피질호르몬, 당질부신피질호르몬 및 남성호르몬 973
    부신피질호르몬의 합성과 분비 973
    무기질부신피질호르몬의 기능-알도스테론 976
    당질부신피질호르몬의 기능 980
    CHAPTER 79 박형서
    인슐린, 글루카곤, 그리고 당뇨병 991
    인슐린과 대사기능 991
    글루카곤과 그 기능 999
    혈당 조절기전 요약 1001
    CHAPTER 80 박형서
    부갑상샘호르몬, 칼시토닌, 칼슘과 인 대사, 비타민D, 뼈, 이 1007
    세포외액 및 혈장에서 칼슘 및 인 조절에 대한 개요 1007
    뼈와 세포 외 칼슘 및 인의 상호관계 1009
    비타민D 1013
    부갑상샘호르몬(PTH) 1016
    칼시토닌 1019
    칼슘이온 농도 조절의 요약 1020
    이 생리 1022
    CHAPTER 81 이기호
    남성 생식과 호르몬기능(그리고 솔방울샘 기능) 1027
    정자발생 1027
    남성 성행위 1032
    테스토스테론과 다른 남성 성호르몬 1034
    CHAPTER 82 이기호
    임신 전 여성 생리학과 여성호르몬 1043
    여성 성기관의 생리적 해부 1043
    난소 내에서 난자발생과 난포 발달 1043
    여성호르몬계 1045
    월별 난소주기와 생식샘자극호르몬의 기능 1045
    난소호르몬 기능-에스트라다이올과 프로제스테론 1049
    여성의 매월 주기의 조절-난소와 시상하부 뇌하수체호르몬 사이의 상호작용 1054
    여성 성 행동 1058
    CHAPTER 83 이기호
    임신과 수유 1063
    난자의 성숙과 수정 1063
    배아의 초기 영양 1065
    태반의 해부학과 기능들 1065
    임신기간 동****호르몬 인자들 1067
    분만 1072
    수유 1075
    CHAPTER 84 남주현
    태아 및 신생아 생리학 1079

    UNIT XV 운동생리학 1089
    CHAPTER 85 방효원
    운동생리학 1091

    찾아보기 1103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Guyton 의학생리학
    Guyton 의학생 95,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꼭대기 주소 서울 특별시 마포구 연희로 11,5층 S-537호
사업자 등록번호 795-87-0042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마포-0052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dhwnqhd

Copyright © 2001-2013 (주)꼭대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