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육아 처방전

도서명:슬기로운 육아 처방전
저자/출판사:정성관 , 백정현/비타북스
쪽수:288쪽
출판일:2024-09-05
ISBN:9791158464189
목차
프롤로그 우리 아이들의 밝고 행복한 미래를 위해
Part 1 우리 아이, 아프지 않도록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전하는 짧은 이야기1 - 부모가 된다는 것
1 우리 아이 열이 날 때ㆍ 016
발열은 열심히 싸우고 있다는 신호 ㆍ 016 | 올바른 체온 측정 방법 ㆍ 017 | 체온계의 종류 ㆍ 018 | 가장 효과적인 해열제 복용법 ㆍ 020 | 의식 잃고 몸을 떠는 열성 경련 ㆍ 021 | 편도를 제거하면 열이 ****날까? ㆍ 023
2 일 년 내내 먹는 감기약, 괜찮을까? ㆍ 026
감기는 면역을 키우는 과정 ㆍ 026 | 감기인데 에어컨 틀어도 될까? ㆍ 028 | 호흡기 건강을 위한 똑똑한 **** 사용법 ㆍ 030 | 항생제, 이렇게 오래 먹어도 될까? ㆍ 031 | 올바른 항생제 복용법 ㆍ 032
3 기침이 ****떨어질 때ㆍ 034
멈추지 않는 기침의 진짜 원인은? ㆍ 034 | 이런 기침이라면 응급실 찾아야 ㆍ 036 | 집에서 기침 완화하는 팁 ㆍ 037 | “네블라이저에 쓸****을 처방해주세요” ㆍ 038 | 네블라이저 종류 ㆍ 038
4 귀를 자꾸 만지는 중이염ㆍ 040
세 살 이하 아기, 넷 중 셋이 걸리는 중이염 ㆍ 040 | 귀의 구조 ㆍ 041 | 귀를 자꾸 만지는 또 다른 이 유 ㆍ 043 | 혹시 귀지 때문에 귀를 만지는 건 아닐까? ㆍ 043
5 알레르기 비염, 불치병일까? ㆍ 045
‘알레르기 행진’ 끝에 시작되는 알레르기 비염 ㆍ 045 | 알레르기 비염 의심 증상 ㆍ 046 | 아이가 비염이 심할 때, 수술하는 것이 좋을까? ㆍ 048 | 집에서 할 수 있는 최고의 비염 치료법, 비강 세척ㆍ 049
6 두드러기가 났어요ㆍ 051
특별하게 먹은 것도 없는데 두드러기가 났어요 ㆍ 051 | 두드러기 대부분은 원인 알 수 없어 ㆍ 052 | 집에서 하는 간단한 처치 ㆍ 053 | 즉시 응급실에 가야 하는 아나필락시스 증상 ㆍ 054
7 배가 아파요ㆍ 055
설사도 ****했는데 장염이라고요? ㆍ 055 | 변을 자주 본다고 모두 설사는 아니다 ㆍ 056 | 장염에 의한 설사가 대부분 ㆍ 056 | 설사할 때 좋은 음식 vs 나쁜 음식 ㆍ 058 |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요 ㆍ 059 | 대표적인 고 포드맵 음식 ㆍ 060
8 먹을 때마다 게우는 아기ㆍ 062
게우는 것과 토하는 것의 차이 ㆍ 062 | 돌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없어져 ㆍ 063 | 위·식도 역류를 줄이려면 ㆍ 064
9 올해는 무사히 지나가길, 수족구병ㆍ 065
더위와 함께 찾아오는 수족구병 ㆍ 065 | 물집이 흉터로 남지 않으려면 ㆍ 067
10 단설소대가 뭔가요? ㆍ 068
설소대가 짧거나 두꺼운 경우 ㆍ 068 | 만 3세 이후 발음 평가해보자 ㆍ 069
11 목에 만져지는 멍울, 림프절 비대ㆍ 070
감기 후에 생긴 목의 멍울은 1~2주 후에 없어져ㆍ 070 | 혹이 쇄골 위에 있거나 크면 검사 필요ㆍ 071
12 참아서 생기는 병, ****ㆍ 073
기저귀 떼면서부터 시작되는 아기 **** ㆍ 073 | 아기가 ****약을 먹어야 한다고요? ㆍ 075 | 아기 ****약, 어른****과 성분도 끊는 방법도 달라 ㆍ 076
13 소변을 자주 봐요ㆍ 077
얼마나 자주 눠야 빈뇨일까? ㆍ 077 | 소아 빈뇨의 흔한 원인 세 가지 ㆍ 078 | 배뇨 장애가 나타나는 ****좋은 습관 ㆍ 079
14 우리 아이, 아뇨증일까? ㆍ 082
소아 야뇨증 ㆍ 082 | 낮에는 잘 가리는데 왜 유독 밤에만? ㆍ 083 | 야뇨증을 예방하는 생활 습관 ㆍ 084 아이의 잘못이 아니에요 ㆍ 085
15 아이도 질염에 걸릴까? ㆍ 087
질염, 성인보다 사춘기 이전 아이가 더 잘 걸려 ㆍ 087 | 집에서 이것만 잘해도 좋아져요 ㆍ 088
16 여름마다 모기와 전쟁ㆍ 090
모기에 잘 물리는 사람이 따로 있을까? ㆍ 090 | 증상의 단계에 따라 달라지는 바르는****과 먹는****ㆍ 091 | 모기약의 주요 성분 ㆍ 092 | 긁어서 붓고 상처까지 생겼다면 ㆍ 093
17 일사병과 열사병ㆍ 094
무더운 여름날, 너무 열심히 놀다 지쳐 생기는 일사병 ㆍ 094 | 일사병보다 위험한 열사병 ㆍ 095 | 일사병과 열사병을 예방하려면 ㆍ 096
18 화상을 입었을 때ㆍ 097
화상 가장 많이 입는 시기ㆍ 097 | 어느 정도부터 흉터 생길까?ㆍ 098 | 화상 입었을 때 응급조치
19 상처가 깊은데 꿰매야 하나요? ㆍ 101
가정에서 상처를 치료할 때는 ㆍ 101 | 진물 많이 날 땐 도톰한 폼밴드, 진물 적을 땐 반투명한 하이드로콜로이드밴드 ㆍ 103 | 병원에서 꿰매야 하는 크고 깊은 상처 ㆍ 105 | 머리를 부딪쳤을 때 확인해야 하는 것 ㆍ 106
20 소아 골절ㆍ 107
아이가 침대에서 떨어졌을 때 ㆍ 107 | 팔뼈나 다리뼈 골절됐을 때 반드시 확인하자 ㆍ 108
21 아이가 이물질을 삼켰을 때ㆍ 110
아이도 위내시경을? ㆍ 110 | 이물질, 크기별 대처법 ㆍ 112 | 목숨까지 잃게 하는 가장 위험한 단추형 건전지 ㆍ 113 | 이물질을 코에 넣었을 때 ㆍ 113
22 아이와 차를 탈 때ㆍ 115
뇌에서 생기는 혼란, 멀미 ㆍ 115 | 멀미를 줄이는 방법 ㆍ 117 | 멀미가 심하다면 미리 멀미약 먹을 수도 118 | 비행기 탔을 때 우는 것은 멀미가 아니다 ㆍ 118
23 영아 돌연사, 막을 수 있어요ㆍ 120
생후 2~4개월에 가장 조심해야 할 영아돌연사증후군 ㆍ 120 | 영아돌연사 예방을 위해 이것만은 꼭 지키자 ㆍ 121
부록 간편하게 알아보는 두뇌 MBTI 우리 아이 좌뇌·우뇌 유형 찾기
Part 2 우리 아이, 잘 먹고 잘 크도록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전하는 짧은 이야기2 - 지금 먹는 음식이 우리 아이를 바꾼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전하는 짧은 이야기3 - 다둥이 육아
24 우리 아이 머리 좋아지기 프로젝트 ㆍ 136
두뇌 발달에 가장 중요한 시기 ㆍ 136 | 두뇌 발달에 중요한 5대 영양소 ㆍ 137
25 뼈 성장에 꼭 필요한 비타민 D ㆍ 144
비타민D가 부족하면 구루병 걸린다는데 ㆍ 144 | 비타민D 공급원 ㆍ 146
26 알레르기 걱정 없는 이유식 ㆍ 147
‘면역 관용’을 유도해요 ㆍ 147 | 알레르기 걱정되는 달걀, 생선, 땅콩 언제 먹일까 ㆍ 148
27 피곤한 아이에게 영양제가 도움이 될까? ㆍ 150
늘 힘없는 우리 아이, 영양제 주사라도? ㆍ 150 | 옆집 아이가 효과 본 영양제, 우리 아이도 먹일까? ㆍ153
28 말이 느린 우리 아이, 괜찮을까? ㆍ 154
‘말이 늦다’는 것의 의미 ㆍ 154 | 집에서 하는 ‘언어 발달 체크’ ㆍ 156 | 언어 발달 지연이 의심된다면 ㆍ159 | 언어 평가 공식 검사 종류 ㆍ 160 | 언어 발달 지연, 기다리면 좋아질까? ㆍ 160 | 다른 발달 상황도 같이 확인해야 161 | 언어 발달의 골든타임은? ㆍ 162 | 언어 발달을 돕는 다섯 가지 방법 ㆍ 163
29 두뇌 발달로 알아보는 영어 공부 적기 ㆍ 164
이중 언어 노출이 좋다는데, 우리 아이는? ㆍ 164 | 언어 발달에 중요한 두뇌 영역 ㆍ 165
30 우리 아이 키, 얼마나 더 클까? ㆍ 166
성장을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검사 ㆍ 166 | 성장 상태 측정계산기 ㆍ 168
31 성장통, 아프면서 크는 아이 ㆍ 169
다리가 아프다고 다 성장통은 아니다 ㆍ 169
32 구부정한 자세, 혹시 척추측만증? ㆍ 171
어깨가 구부정해서 걱정이에요 ㆍ 171 | 척추측만증 자가 진단법, ‘아담 검사’ ㆍ 173 | ‘특발성 척추측만증’과 ‘선천적 척추측만증’ ㆍ 173 | 척추측만증의 치료 방법 ㆍ 175
33 소아 비만? ㆍ 178
소아 비만이 위험한 이유 ㆍ 178 | 소아 비만의 기준 ㆍ 179 | 소아 비만에 동반될 수 있는 각종 질환 ㆍ180 | 소아 비만을 예방하는 간식 ㆍ 182
34 화면 많이 보는 우리 아이, 시력 발달에 문제없을까요? ㆍ 184
아이 시력검사 하는 법 ㆍ 184 | 스마트기기와 시력의 상관 관계 ㆍ 185 |****시, 4세 이전에 치료 시작해야 ㆍ 186 | 안경 쓰면 눈이 더 나빠질까? ㆍ 187
35 요즘 아이들, 언제 초경이 시작되나요? ㆍ 188
점점 빨라지는 초경, 11~13세 많아 ㆍ 188
36 ****수술 꼭 해야 하나요? ㆍ 190
****수술이 꼭 필요한 두 가지 경우 ㆍ 190 | 신생아 ****수술, 굳이 하지 않아도 돼요 ㆍ 191
37 성조숙증, 늘 걱정입니다 ㆍ 193
머리에 냄새나는 우리아이, 성조숙증일까? ㆍ 193 | 성조숙증 체크리스트 ㆍ 194 | 성조숙증의 치료 ㆍ 195
38 아이도 구충제 먹어야 할까? ㆍ 196
기생충, 거의 사라졌지만 ㆍ 196
39 아이에게 꼭 맞는 선크림 ㆍ 198
물리적 차단제 vs 화학적 차단제 ㆍ 198
40 여행 갈 때 꼭 챙겨야 할 상비약 ㆍ 200
꼭 챙겨야 할 비상약 다섯 가지 ㆍ 200 | 구급상자에 넣어야 하는 것 ㆍ 201
41 예방접종할 때 주의 사항 ㆍ 203
예방접종 가기 전과 후, 이것만은 확인하자 ㆍ 203 | 무료 국가 예방접종 vs 유료 일반 예방접종 ㆍ205 | 유료 백신의 종류 ㆍ 206 | 독감 예방주사 맞아도 독감 걸릴 수 있다? ㆍ 207
42 유치도 영구치만큼 중요해요 ㆍ 209
유치는 언제 나고, 얼마나 오래 쓸까? ㆍ 209 | 어차피 빠질 유치? 잘 관리해야 영구치도 건강하게 난다 ㆍ 210 | 하얀 충치는 치아 건강의 경고등 ㆍ 211 | 우리 아이 충치 예방법 세 가지
43 스케일링은 몇 살부터 하나요? ㆍ 214
아이는 몇 살부터 스케일링할까? ㆍ 214 | 치과 치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덜어주는 웃음가스, 안전할까? ㆍ 215
44 과잉치, 꼭 수술해야 할까? ㆍ 216
정상적인 치아 개수는 몇 개? ㆍ 216 | 더 많아서 생기는 문제, 과잉치 ㆍ 217
부록 간편하게 알아보는 자녀의 영양 MBTI 우리 아이 식습관 유형 찾기
Part 3 우리 아이, 마음까지 튼튼하도록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전하는 짧은 이야기4 - 진료실에서 만나는 세상 이야기
45 안정된 애착을 위한 3대 요소 ㆍ 228
영유아기 애착은 평생 가는 인간관계의 싹 ㆍ 228 | 민감성 높이기 ㆍ 229 | 반응성 높이기 ㆍ 230 | 일관성 높이기 ㆍ 231 | 첫 3년에 집중하자 ㆍ 231
46 뜻대로 ****되면 짜증내고, 화내는 아이에게 ㆍ 232
“왜 또 그러니? 이제 그만해!”라는 말 대신 ㆍ 232 | 평생 가는 단단한 연결고리 만들기 ㆍ 233 | 아이와 부모 모두를 위한 ‘적극적 경청’ ㆍ 234 | 아이가 위축되는 ‘너 대화법’ ㆍ 235 | 화내지 않고 마음을 전달하는 ‘나 대화법’ ㆍ 236
47 화나면 길바닥에 드러눕는 아이 ㆍ 238
‘무지막지한 떼쟁이’ 다스리는 법 ㆍ 238 | 부모부터 감정 조절을 ㆍ 239 | 이럴 때는 분노 발작이 아니라 다른 행동 장애나 정서 장애를 확인해보세요 ㆍ 240
48 동생이 사라지면 좋겠어요 ㆍ 241
질투 대신 사랑을 심어주려면 ㆍ 241 | 첫째를 위한 십계명 ㆍ 243
49 손가락 빠는 아이 ㆍ 244
혹시 정서 불안? 애정 결핍? ㆍ 244 | **** 도움 받기 ㆍ 245
50 아이가 ****를 하는 것 같아요 ㆍ 246
‘성기 만지며 땀 뻘뻘~’ 놀라지 마세요 ㆍ 246 | 강압적으로 멈추지 말고, 자연스럽게 다른 놀이로 전환 ㆍ 247 | 절대 혼내지 말고 도와주세요 ㆍ 248
51 세 살 수면 습관, 여든까지 간다 ㆍ 250
기적을 부르는 수면 교육, 언제 시작하나? ㆍ 250 | 규칙적인 수면 의식으로 ‘수면 모드’ 들어가기 ㆍ251 | 잘 자야 키도 크고, 살도 ****찌고, 공부도 잘한다 ㆍ 252 | 아이도 불면증에 걸린다고? ㆍ 255 | 밤새도록 푹 자려면 ㆍ 256
52 현명하게 스마트기기 활용하기ㆍ 258
빌 게이츠, 자녀 14살까지 휴대폰도 ****줬다 ㆍ 258 | 24개월~5세 미만, 스크린 미디어는 하루 한 시간 이내로 ㆍ 260 | 가족이 함께 ‘스크린 제로 타임’ ㆍ 260
53 아이가 학교에서 잘 적응하고 있을까? ㆍ 262
초등 입학, 새로운 전환점 맞은 아이에게 필요한 것은? ㆍ 262 | 아이가 보내는 몇 가지 신호 ㆍ 263 | 아이의 회복력을 키워주는 ‘적절한 지지’ ㆍ 264
54 틱 장애 ㆍ 266
틱 이전에 콧병이나 눈병부터 확인해야 ㆍ 266 | 무관심을 가장한 관심이 필요해요 ㆍ 267 |****물 치료가 필요한 상황 ㆍ 269
55 ADHD,**** 복용하면 나을까요? ㆍ 271
ADHD 키워드 세 가지 271 ADHD 행동 양상 ㆍ 272 | ADHD 치료약이 공부 잘하는****? ㆍ 274 | ADHD****, 학업 향상엔 도움 ****돼 ㆍ 275
부록 간편하게 알아보는 부모의 양육 MBTI 부모 양육 태도 검사
에필로그 37.5℃의 눈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