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행정법입문 > 공무원 직군별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경찰행정법입문 > 공무원 직군별

경찰행정법입문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박영사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박영사
시중가격 30,000원
판매가격 30,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경찰행정법입문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경찰행정법입문

    9791130347042.jpg

    도서명:경찰행정법입문
    저자/출판사:박균성,김재광/박영사
    쪽수:476쪽
    출판일:2024-02-25
    ISBN:9791130347042

    목차
    제1편│경찰행정법 총칙


    Introduction to Police Administrative Law


    제1장 경찰행정법 개설
    제1절 경찰의 개념 3
    Ⅰ. 경찰개념의 연혁 3
    Ⅱ. 경찰의 개념 5
    Ⅲ. 경찰의 종류 8
    제2절 경찰행정법 9
    제2장 경찰행정법의 법원(法源)
    제1절 법원의 의의 10
    제2절 행정법상 법원의 특징 10
    제3절 성문법원 12
    Ⅰ. 헌  법 12
    Ⅱ. 국제법규 12
    Ⅲ. 법  률 13
    Ⅳ. 명  령 13
    Ⅴ. 자치법규 14
    제4절 불문법원 14
    Ⅰ. 관 습 법 14
    Ⅱ. 판  례 14
    Ⅲ. 행정법상 일반 법원칙 15
    Ⅳ. 조  리 28
    제5절 법원의 단계구조 28
    Ⅰ. 법원의 상호관계 28
    Ⅱ. 위헌ㆍ위법인 법령의 효력과 통제 29
    제6절 행정법의 효력 29
    Ⅰ. 시간적 효력 29
    Ⅱ. 지역적 효력 30
    Ⅲ. 대인적 효력 31
    제7절 행정법규정의 흠결과 보충 31
    Ⅰ. 개  설 31
    Ⅱ. 행정법규정의 유추적용 31
    Ⅲ. 헌법규정 및 행정법상 일반 법원칙의 적용 32
    Ⅳ. 사법(私法)규정의 적용 32
    Ⅴ. 조리의 적용 32
    제8절 행정법의 집행과 행정법의 해석 32
    제3장 경찰행정상 법률관계
    제1절 행정법관계의 의의 및 공법관계와 사법관계의 구별 34
    Ⅰ. 행정법관계의 의의 34
    Ⅱ. 공법관계와 사법관계의 구별 34
    Ⅲ. 2단계설 37
    제2절 행정상 법률관계의 종류 37
    Ⅰ. 공법관계 37
    Ⅱ. 사법관계 38
    제3절 행정법관계의 당사자(행정주체와 행정객체) 40
    Ⅰ. 행정주체 40
    Ⅱ. 행정객체 43
    제4절 사인의 공법상 행위 43
    Ⅰ. 개  념 43
    Ⅱ. 종  류 43
    Ⅲ. 사인의 공법행위에 대한 법적 규율 50
    제5절 행정법관계의 특질 51
    Ⅰ. 행정주체의 특권 51
    Ⅱ. 공권과 공의무의 특수성 60
    제6절 공  권 61
    Ⅰ. 공법관계와 공권 61
    Ⅱ. 개인적 공권의 성립요건 62
    Ⅲ. 공권, 법적 이익 및 반사적 이익의 구별 62
    제7절 특별행정법관계(종전의 특별권력관계) 67
    Ⅰ. 특별행정법관계의 개념 67
    Ⅱ. 특별권력관계이론의 성립, 쇠퇴와 특별행정법관계이론의 등장 68
    Ⅲ. 특별행정법관계의 성립 69
    Ⅳ. 특별행정법관계와 법치주의 70
    제8절 행정법관계의 변동(발생ㆍ변경ㆍ소멸) 71
    Ⅰ. 법률요건 71
    Ⅱ. 행정주체의 행위 71
    Ⅲ. 행정법상 사건 71
    제4장 기간의 계산등
    제1절 기간의 계산 76
    Ⅰ. 행정에 관한 기간의 계산 76
    Ⅱ. 법령등(훈령ㆍ예규ㆍ고시ㆍ지침 등을 포함) 시행일의 기간 계산 77
    제2절 수수료 및 사용료 78


    Introduction to Police Administrative Law
    제2편│경찰행정조직법



    제1장 경찰행정조직법 개설
    제1절 행정조직법의 의의 81
    제2절 행정조직법정주의와 경찰조직의 구성원리 82
    Ⅰ. 행정조직법정주의 82
    Ⅱ. 경찰조직의 구성원리 82
    제2장 경찰기관
    제1절 경찰기관의 개념 83
    제2절 보통경찰기관 84
    Ⅰ. 보통경찰관청 85
    Ⅱ. 경찰의결기관: 국가경찰위원회 86
    Ⅲ. 해양보통경찰관청 87
    Ⅳ. 보통경찰집행기관 88
    제3절 좁은 의미의 행정경찰기관 88
    제4절 비상경찰기관 89
    제5절 자치경찰기관 89
    Ⅰ. 자치경찰행정청 89
    Ⅱ. 자치경찰집행기관 91
    제3장 경찰행정청의 권한
    제1절 행정청의 권한의 의의 92
    제2절 행정권한법정주의 92
    제3절 권한의 한계 92
    Ⅰ. 사항적 한계 93
    Ⅱ. 지역적 한계 93
    Ⅲ. 대인적 한계 93
    Ⅳ. 형식적 한계 93
    제4절 권한의 효과 94
    Ⅰ. 외부적 효과 94
    Ⅱ. 내부적 효과 94
    제5절 권한의 대리 94
    Ⅰ. 권한의 대리의 의의 94
    Ⅱ. 종  류 95
    Ⅲ. 대리권의 행사방식 95
    Ⅳ. 대리권 행사의 효과 95
    Ⅴ. 대리권 없는 대리자의 행위의 효력 96
    제6절 권한의 위임 96
    Ⅰ. 권한의 위임의 의의 96
    Ⅱ. 위임의 근거 96
    Ⅲ. 위임의 방식 97
    Ⅳ. 수임기관 97
    Ⅴ. 위임의 효과 98
    제7절 권한의 위탁 98
    Ⅰ. 권한의 위탁의 의의 98
    Ⅱ. 법적 근거 98
    Ⅲ. 위탁의 유형 98
    제4장 경찰기관 상호간의 관계
    제1절 상하 행정관청간의 관계 101
    Ⅰ. 감 시 권 101
    Ⅱ. 훈 령 권 101
    Ⅲ. 승인권(인가권) 102
    Ⅳ. 주관쟁의결정권 102
    Ⅴ. 취소ㆍ정지권 102
    Ⅵ. 대집행권 102
    제2절 대등행정관청간의 관계 103
    Ⅰ. 권한의 상호 존중 103
    Ⅱ. 상호 협력관계 103
    제3절 국가경찰기관과 자치경찰기관간의 관계 104
    Ⅰ. 감독관계 104
    Ⅱ. 협력관계 105



    Introduction to Police Administrative Law
    제3편│경찰행정작용법


    제1장 경찰행정작용의 근거와 한계
    제1절 경찰권의 근거 109
    Ⅰ. 경찰법상 일반수권조항 109
    Ⅱ. 개별적 수권조항 112
    제2절 경찰권 행사의 한계 112
    Ⅰ. 비례의 원칙 112
    Ⅱ. 소극목적의 원칙 113
    Ⅲ. 경찰공공의 원칙 113
    Ⅳ.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의 보호의무 114
    Ⅴ. 경찰책임의 원칙 114
    제2장 행정입법
    제1절 개  설 117
    Ⅰ. 의  의 117
    Ⅱ. 법규명령과 행정규칙의 비교 117
    제2절 법규명령 118
    Ⅰ. 의  의 118
    Ⅱ. 법규명령의 근거 118
    Ⅲ. 법규명령의 종류 119
    Ⅳ. 법규명령의 한계 120
    Ⅴ. 법규명령의 성립ㆍ효력ㆍ소멸 121
    Ⅵ. 행정입법의 통제 123
    Ⅶ. 행정입법부작위 126
    제3절 행정규칙 127
    Ⅰ. 행정규칙의 의의 127
    Ⅱ. 행정규칙의 종류 127
    Ⅲ. 행정규칙의 법적 성질 및 구속력 129
    Ⅳ. 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과 법규적 성질(효력)을 갖는 행정규칙 131
    제3장 행정계획
    Ⅰ. 의  의 134
    Ⅱ. 행정계획의 법적 성질 134
    Ⅲ. 행정계획절차 135
    Ⅳ. 계획재량과 통제 136
    Ⅴ. 행정계획과 신뢰보호(계획보장청구권) 137
    Ⅵ. 행정계획과 권리구제제도 138
    제4장 행정행위
    제1절 행정행위의 개념 139
    제2절 행정행위의 종류 139
    Ⅰ. 법률행위적 행정행위와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의 구분 139
    Ⅱ. 행정행위의 법적 효과의 내용에 따른 분류 140
    Ⅲ. 기속행위와 재량행위 140
    Ⅳ. 침해적 행정행위, 수익적 행정행위, 이중효과적 행정행위(복효적 행정행위) 141
    Ⅴ. 일방적 행정행위와 쌍방적 행정행위 141
    Ⅵ. 대인적 행정행위, 대물적 행정행위 및 혼합적 행정행위 141
    Ⅶ. 적극적 행정행위와 소극적 행정행위 142
    Ⅷ. 일반처분과 개별처분 142
    제3절 재량권과 판단여지 143
    Ⅰ. 재량권과 재량행위의 개념 143
    Ⅱ. 기속재량행위의 개념 144
    Ⅲ. 판단여지 144
    Ⅳ. 재량과 판단여지의 구분 145
    Ⅴ. 재량행위와 기속행위의 구별 146
    Ⅵ. 재량권 행사의 문제 149
    Ⅶ. 재량권의 한계 150
    Ⅷ. 재량권의 영으로의 수축 151
    제4절 행정행위의 법적 효과의 내용 151
    Ⅰ. 법률행위적 행정행위 152
    Ⅱ.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161
    제5절 행정행위의 부관 163
    Ⅰ. 부관의 개념 163
    Ⅱ. 부관의 종류 163
    Ⅲ. 부관의 한계 168
    제6절 행정행위의 성립요건, 효력발생요건, 적법요건 169
    Ⅰ. 성립요건 169
    Ⅱ. 효력발생요건 169
    Ⅲ. 적법요건 170
    Ⅳ. 유효요건 171
    제7절 행정행위의 하자(흠)와 그 효과 172
    Ⅰ. 행정행위의 하자(흠)의 개념 172
    Ⅱ. 행정행위의 하자의 효과: 행정행위의 부존재, 무효, 취소 174
    Ⅲ. 행정행위의 하자(위법사유) 177
    Ⅳ. 하자의 승계 179
    Ⅴ. 하자 있는 행정행위의 치유와 전환 184
    제8절 행정행위의 취소와 철회 185
    Ⅰ. 행정행위의 취소 185
    Ⅱ. 행정행위의 철회 192
    Ⅲ. 처분의 변경 198
    제9절 행정행위의 실효 200
    Ⅰ. 의  의 200
    Ⅱ. 실효사유 200
    Ⅲ. 권리구제수단 200
    제10절 단계적 행정결정 201
    Ⅰ. 단계적 행정결정의 의의 201
    Ⅱ. 확  약 201
    Ⅲ. 가행정행위(잠정적 행정행위) 205
    Ⅳ. 사전결정 205
    Ⅴ. 부분허가 206
    제11절 경찰행정의 자동결정과 자동적 처분 207
    Ⅰ. 의  의 207
    Ⅱ. 법적 성질 207
    Ⅲ. 행정의 자동적 처분과 재량행위 208
    제5장 공법상 계약
    Ⅰ. 의  의 209
    Ⅱ. 인정범위 및 한계 210
    Ⅲ. 공법상 계약의 성립요건과 적법요건 211
    Ⅳ. 공법상 계약의 법적 규율 212
    제6장 행정상 사실행위
    Ⅰ. 의  의 215
    Ⅱ. 행정상 사실행위의 처분성 215
    Ⅲ. 행정상 사실행위의 손해전보 216
    Ⅳ. 독일법상 비공식적(비정형적) 행정작용 216
    제7장 행정지도
    Ⅰ. 행정지도의 의의와 법적 성질 218
    Ⅱ. 행정지도의 필요성과 문제점 219
    Ⅲ. 행정지도의 종류 219
    Ⅳ. 행정지도의 법적 근거 220
    Ⅴ. 행정지도의 한계 220
    Ⅵ. 행정지도와 행정구제 221
    제8장 행정조사
    Ⅰ. 행정조사의 의의 223
    Ⅱ. 행정조사의 법적 성질 224
    Ⅲ. 행정조사의 법적 근거 224
    Ⅳ. 행정조사기본법 225
    Ⅴ. 행정조사의 한계 225
    Ⅵ. 위법한 행정조사와 행정행위의 효력 227
    제9장 표준적 경찰직무조치
    제1절 권력적 행정조사에 해당하는 경찰직무조치 228
    Ⅰ. 소지품(흉기소지 여부) 조사 228
    Ⅱ. 정보의 수집 230
    제2절 경찰상 즉시강제에 해당하는 경찰직무조치 232
    Ⅰ. 경찰상 즉시강제에 해당하는 경찰직무조치의 종류 232
    Ⅱ. 강제보호조치 233
    Ⅲ. 위험발생의 방지조치 235
    Ⅳ. 범죄의 제지 238
    Ⅴ. 위험방지를 위한 출입 240
    Ⅵ. 경찰장비의 사용 242
    Ⅶ. 경찰장구의 사용 245
    Ⅷ. 분사기 또는 최루탄의 사용 246
    Ⅸ. 무기의 사용 247
    Ⅹ. 경찰작용기록장치의 사용 250
    제3절 하명의 성질을 가진 경찰직무조치 253
    Ⅰ. 위험한 사태에 있어서 관리자 등에 대한 조치명령 253
    Ⅱ.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접근제한명령 및 접근금지명령 254
    Ⅲ. 사실의 확인을 위한 출석요구 254
    제4절 국민에게 사실상의 불이익을 줄 수 있는 비권력적 경찰직무조치 255
    Ⅰ. 국민에게 사실상의 불이익을 줄 수 있는 비권력적 경찰직무조치의 종류 255
    Ⅱ. 불심검문 256
    Ⅲ. 임의동행 258
    Ⅳ. 미아ㆍ병자ㆍ부상자 등의 임의보호조치 261
    Ⅴ. 위험발생에 있어서 경고 262
    Ⅵ. 범죄의 예방을 위한 경고 263
    Ⅶ. 사실조회 및 직접확인 264
    제5절 직무 수행으로 인한 형의 감면 265
    제10장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제1절 의  의 266
    제2절 행정상 강제 267
    제1항 개 설 268
    Ⅰ. 행정강제의 의의와 종류 268
    Ⅱ. 「행정기본법」상 행정상 강제의 일반원칙 268
    제2항 행정상 강제집행 269
    Ⅰ. 의  의 269
    Ⅱ. 근  거 269
    Ⅲ. 대 집 행 270
    Ⅳ. 이행강제금(집행벌) 272
    Ⅴ. 직접강제 275
    Ⅵ. 행정상 강제징수 276
    제3항 즉시강제 278
    Ⅰ. 의  의 279
    Ⅱ. 법적 근거 279
    Ⅲ. 즉시강제의 요건 280
    Ⅳ. 즉시강제의 한계 280
    제3절 행 정 벌 281
    제1항 의  의 281
    제2항 종  류 282
    제3항 행정범과 행정형벌 282
    Ⅰ. 의  의 282
    Ⅱ. 행정범과 형사범의 구별 282
    Ⅲ. 행정범과 행정형벌의 특수성과 법적 규율 283
    Ⅳ. 행정형벌규정의 변경ㆍ폐지와 행정형벌 284
    제4항 행정질서벌(과태료) 284
    Ⅰ. 의  의 284
    Ⅱ. 형법총칙 적용문제 284
    Ⅲ. 질서위반행위규제법에 따른 행정질서벌의 부과 285
    Ⅳ. 행정질서벌 부과행위의 법적 성질과 권리구제 286
    제4절 그 밖의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287
    제1항 과 징 금 288
    Ⅰ. 의  의 288
    Ⅱ. 과징금의 종류 289
    Ⅲ. 과징금의 근거 및 기준 289
    Ⅳ. 과징금의 성질과 부과(벌금 등과 과징금의 이중부과가능성) 290
    Ⅴ. 과징금부과행위의 법적 성질, 법적 규율 및 법적 구제 290
    Ⅵ.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 290
    제2항 가 산 세 291
    제3항 명단공표 291
    Ⅰ. 명단공표의 의의 291
    Ⅱ. 법적 성질 및 법적 규제 292
    Ⅲ. 위반사실등의 공표절차 292
    제4항 공급거부 293
    Ⅰ. 의  의 293
    Ⅱ. 법적 근거 293
    Ⅲ. 법적 성질 및 법적 구제 293
    제5항 관허사업의 제한 293
    Ⅰ. 의  의 293
    Ⅱ. 종  류 294
    Ⅲ. 법적 근거 294
    Ⅳ. 성  질 294
    제6항 시정명령 294
    Ⅰ. 의  의 294
    Ⅱ. 시정명령의 대상 295
    Ⅲ. 적용법령 295
    제7항 행정법규 위반에 대한 제재조치 295
    Ⅰ. 「행정기본법」에서의 제재처분의 개념 296
    Ⅱ. 제재처분의 대상 296
    Ⅲ. 제재처분에 관한 입법 297
    Ⅳ. 제재처분시 고려사항 297
    Ⅴ. 제재처분과 형벌의 병과 297
    Ⅵ. 제재처분의 제척기간 297
    제8항 국외여행제한 등 298
    제11장 행정절차
    제1절 행정절차의 의의 299
    Ⅰ. 개  념 299
    Ⅱ. 필 요 성 299
    제2절 행정절차의 헌법적 근거 300
    Ⅰ. 적법절차원칙 300
    Ⅱ. 적법절차원칙과 행정절차 300
    제3절 행정절차법의 적용범위 300
    제4절 행정절차법의 내용 301
    제1항 공통사항 및 공통절차 301
    Ⅰ. 신의성실 및 신뢰보호 301
    Ⅱ. 투명성원칙과 법령해석요청권 301
    Ⅲ. 행정청의 관할 302
    Ⅳ. 행정절차법상 ‘당사자등’ 302
    제2항 처분절차 303
    Ⅰ. 처분기준의 설정ㆍ공표 303
    Ⅱ. 처분의 이유제시 304
    Ⅲ. 의견진술절차(의견청취절차) 305
    Ⅳ. 처분의 방식: 문서주의 310
    제3항 입법예고절차 310
    제4항 행정예고절차 311
    제5절 행정영장 312
    제6절 인허가의제제도 312
    제7절 절차의 하자의 독자적 위법성 317
    제12장 정보공개와 개인정보보호
    제1절 정보공개제도 319
    Ⅰ. 의  의 319
    Ⅱ. 정보공개의 필요성과 법적 근거 319
    Ⅲ. 정보공개의 내용 320
    Ⅳ. 정보공개절차 325
    Ⅴ. 정보공개쟁송 327
    Ⅵ. 정보의 사전적 공개 328
    제2절 개인정보보호제도 329
    Ⅰ. 의  의 329
    Ⅱ. 법적 근거 329
    Ⅲ. 개인정보보호의 기본원칙 330
    Ⅳ.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 331



    Introduction to Police Administrative Law
    제4편│경찰행정구제법


    제1장 경찰행정구제법 개설
    Ⅰ. 행정구제의 개념 339
    Ⅱ. 행정구제제도의 체계 339
    제2장 행정상 손해전보
    제1절 개  설 341
    제2절 행정상 손해배상 341
    제1항 서  론 341
    Ⅰ. 개  념 341
    Ⅱ. 행정상 손해배상의 분류 341
    Ⅲ. 국가배상책임의 실정법상 근거 342
    Ⅳ. 국가배상책임(또는 국가배상법)의 성격 342
    제2항 국가의 과실책임(국가배상법 제2조 책임): 공무원의 위법행위로 인한 국가배상책임 343
    Ⅰ. 개  념 343
    Ⅱ. 국가배상책임의 성립요건 343
    Ⅲ. 공무원의 배상책임 348
    제3항 영조물의 설치ㆍ관리의 하자로 인한 배상책임 348
    Ⅰ. 공공의 영조물 349
    Ⅱ. 설치나 관리의 ‘하자’ 349
    제4항 국가배상책임의 감면사유 351
    제5항 배상책임자 352
    Ⅰ. 피해자에 대한 배상책임자 352
    Ⅱ. 종국적 배상책임자 352
    제6항 국가배상법상 특례규정 353
    Ⅰ. 배상심의회에 대한 배상신청 353
    Ⅱ. 손해배상의 기준에 관한 특례 354
    Ⅲ. 군인 등에 대한 국가배상청구권의 제한(특별법에 따른 보상) 354
    Ⅳ. 양도 등 금지 355
    제3절 행정상 손실보상 355
    제1항 행정상 손실보상의 의의 355
    제2항 행정상 손실보상의 근거 355
    Ⅰ. 이론적 근거 355
    Ⅱ. 실정법상 근거 355
    제3항 행정상 손실보상의 요건 358
    Ⅰ. 적법한 공용침해 358
    Ⅱ. 공용침해로 손실이 발생하였을 것 358
    Ⅲ. 특별한 희생(손해) 359
    제4항 행정상 손실보상의 기준과 내용 360
    Ⅰ. 행정상 손실보상의 일반적 기준: ‘정당한 보상’의 원칙 360
    Ⅱ. 「경찰관 직무집행법」상 손실보상의 기준과 보상액 360
    제5항 행정상 손실보상의 지급절차 및 방법 361
    제6항 보상액의 결정 및 불복절차 362
    제7항 손실보상청구권 362
    제8항 법률의 근거 없는 수용 또는 보상 없는 공익사업 시행의 경우 손해배상청구 362
    제4절 현행 행정상 손해전보제도의 흠결과 보충 363
    Ⅰ. 현행 과실책임제도의 흠결 363
    Ⅱ. 공법상 위험책임제도의 흠결과 보충 363
    Ⅲ. 현행 행정상 손실보상제도의 흠결 363
    제3장 행정쟁송
    제1절 개  설 364
    Ⅰ. 행정쟁송의 의의 364
    Ⅱ. 행정쟁송제도 364
    Ⅲ. 행정쟁송의 종류 365
    제2절 행정심판 367
    제1항 행정심판의 의의 367
    제2항 행정심판의 종류 374
    Ⅰ. 취소심판 374
    Ⅱ. 무효등확인심판 374
    Ⅲ. 의무이행심판 375
    제3항 행정심판의 당사자 및 관계인 375
    Ⅰ. 청 구 인 375
    Ⅱ. 피청구인 376
    Ⅲ. 참가인(심판참가) 376
    제4항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의 관계 376
    Ⅰ. 행정심판임의주의-예외적 행정심판전치주의 376
    Ⅱ. 행정심판의 전심절차성 377
    Ⅲ. 행정심판의 제기와 행정소송의 제기 377
    제5항 행정심판의 대상 377
    제6항 행정심판의 청구 377
    Ⅰ. 행정심판청구기간 377
    Ⅱ. 심판청구의 방식 379
    Ⅲ. 행정심판청구서 제출기관 379
    제7항 행정심판제기의 효과 380
    Ⅰ. 행정심판위원회에 대한 효과 380
    Ⅱ. 처분에 대한 효과: 계쟁처분의 집행부정지 또는 집행정지 380
    제8항 행정심판법상의 가구제 380
    Ⅰ. 집행정지 380
    Ⅱ. 임시처분 381
    제9항 행정심판기관 381
    Ⅰ. 의  의 381
    Ⅱ. 행정심판위원회 381
    제10항 행정심판의 심리 383
    Ⅰ. 심리의 내용 383
    Ⅱ. 심리의 범위 383
    Ⅲ. 심리의 기본원칙 384
    Ⅳ.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의견진술권 385
    Ⅴ. 당사자의 절차적 권리 385
    Ⅵ. 행정심판법상 조정 385
    제11항 행정심판의 재결 386
    Ⅰ. 재결의 의의 386
    Ⅱ. 행정심판위원회의 재결 386
    Ⅲ. 재결의 종류 386
    Ⅳ. 재결의 효력 388
    Ⅴ. 재결에 대한 불복 392
    제12항 고지제도 393
    Ⅰ. 고지제도의 의의 393
    Ⅱ. 직권에 따른 고지 393
    Ⅲ. 청구에 따른 고지 394
    Ⅳ. 불고지 또는 오고지의 효과 394
    제13항 특별행정심판 395
    제3절 행정소송 395
    제1항 행정소송의 의의와 종류 395
    Ⅰ. 행정소송의 의의 395
    Ⅱ. 행정소송의 법원(法源) 396
    Ⅲ. 행정소송제도의 유형 396
    Ⅳ. 행정소송의 종류 396
    Ⅴ. 항고소송 397
    Ⅵ. 당사자소송 399
    Ⅶ. 민중소송 400
    Ⅷ. 기관소송 400
    제2항 소송요건 402
    Ⅰ. 행정소송의 대상 402
    Ⅱ. 원고적격 407
    Ⅲ. 좁은 의미의 소의 이익: 권리보호의 필요 410
    Ⅳ. 피고적격이 있는 행정청을 피고로 할 것 412
    Ⅴ. 제소기간 내에 제기할 것 413
    Ⅵ. 행정심판전치주의가 적용되는 경우 그 요건을 충족할 것 414
    Ⅶ. 관할법원 415
    제3항 행정소송에서의 가구제 416
    Ⅰ. 행정소송법상의 집행정지 416
    Ⅱ. 가처분의 가부(可否) 418
    제4항 행정소송의 심리 418
    Ⅰ. 개  설 418
    Ⅱ. 심리의 내용 419
    Ⅲ. 심리의 범위 419
    Ⅳ. 심리의 일반원칙 420
    Ⅴ. 심리과정의 제문제 421
    Ⅵ. 주장책임과 입증책임 422
    제5항 행정소송의 판결 424
    Ⅰ. 판결의 의의 424
    Ⅱ. 판결의 종류 424
    Ⅲ. 항고소송에서의 위법판단의 기준시 425
    Ⅳ. 취소소송의 판결의 종류 425
    Ⅴ.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판결의 종류 427
    Ⅵ. 무효등확인소송의 판결의 종류 428
    Ⅶ. 공법상 당사자소송의 판결의 종류 429
    Ⅷ. 취소판결의 효력 429
    Ⅸ. 무효등확인판결의 효력 434
    Ⅹ. 부작위위법확인판결의 효력 435
    Ⅺ. 기각판결의 효력 435
    제4절 행정구제수단으로서의 헌법소송 435
    Ⅰ. 헌법소원 435
    Ⅱ. 권한쟁의심판 436
    제5절 대체적 분쟁해결수단 436


    찾아보기 439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경찰행정법입문
    경찰행정법입문 30,000
  • 나를 찾지 마(큰글자도서)
    나를 찾지 마(큰글 33,000
  • 다시 새롭게 Renew
    다시 새롭게 Ren 13,000
  • 2025 에듀윌 EXIT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본서
    2025 에듀윌 E 22,000
  • 미션 콘비벤츠
    미션 콘비벤츠 15,000
  • 함께여서 반짝이는 하루 컬러링북
    함께여서 반짝이는 16,000
  • 그리스도인의 특권
    그리스도인의 특권 12,000
  • 무조건 합격하는 거꾸로 공부법
    무조건 합격하는 거 18,800
  • 소중한 보물들
    소중한 보물들 22,000
  • 과학의 위로
    과학의 위로 18,500
  • 필수는 곤란해
    필수는 곤란해 15,000
  • 부자 나라, 가난한 세계
    부자 나라, 가난한 15,000
  • 흑무경담 1
    흑무경담 1 6,000
  •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신 잡학상식 2
    알아두면 쓸 데 있 16,800
  • 아름다운 것들의 추한 역사
    아름다운 것들의 추 20,000
  • 엄마의 멘탈 수업
    엄마의 멘탈 수업 18,500
  • 마가복음 강해: 길 위의 길
    마가복음 강해: 길 40,000
  • 낯선 사람
    낯선 사람 16,800
  • 애프터 라이프
    애프터 라이프 18,000
  • 울며 씨 뿌리는 자
    울며 씨 뿌리는 자 17,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꼭대기 주소 서울 특별시 마포구 연희로 11,5층 S-537호
사업자 등록번호 795-87-0042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마포-0052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dhwnqhd

Copyright © 2001-2013 (주)꼭대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