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병합

도서명:한국 병합
저자/출판사:모리 마유코/열린책들
쪽수:392쪽
출판일:2024-03-01
ISBN:9788932924151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리말
서장. 중화 질서 속의 조선 왕조
1. 조선은 속국인가: 청조에 대한 불신과 소중화사상
2. 조약 체제하의 〈속국〉: 일본ㆍ서양과의 조약, 청의 요구
3. 조선이 바라는 〈자주 독립〉이란: 갑신정변의 실패
제1장. 진정한 독립 국가로: 1894~1895년
1. 청일전쟁의 발발: 조선을 둘러싼 전쟁
2. 갑오개혁: 개혁과 외세
3. 종속 관계의 종언: 홍범 14조 서고
제2장. 조선 왕조로부터 대한제국으로: 1895~1897년
1. 을미사변, 아관파천: 국왕 고종의 방황
2. 〈황제〉 즉위의 열망: 구본신참의 구현
3. 대한제국의 성립: 준비된 〈중화 황제〉
제3장. 새 국가상의 모색: 황제와 지식인의 협화와 불화
1. 독립협회 결성: 개화파 지식인들이 지향한 것
2. 황제의 러시아 접근과 독립협희의 반대
3. 독립협회의 강제 해산: 의회 개설의 좌절
제4장. 대한제국의 시대: 황제 통치의 현실과 한계
1. 유교 종주의 전제 군주: 구본신참의 도달점
2. 황제국의 문화: 건축, 의복, 애국가
제5장. 보호국으로의 길: 러일전쟁 전야에서 개전으로
1. 대한제국의 외교: 다양한 가능성
2. 한일 의정서: 무시된 중립 선언
3. 제1차 한일 협약 체결: 재무, 외교 고문의 도입
제6장. 제2차 한일 협약 체결: 통감부 설치, 보호국화
1. 서양 국가의 승인, 황제에 대한 강요
2. 조인: 대신들의 저항과 타협
3. 헤이그 밀사 사건: 황제의 저항
4. 제3차 한일 협약의 체결: 황제의 강제 양위 후
제7장. 대한제국의 저항과 종언: 1910년 8월 병합으로
1. 일진회와 의병 운동: 고종 황제의 시대
2. 남북 순행과 이토 히로부미의 의도: 순종 황제의 시대
3. 한국 병합 조약 체결: 황제에서 〈이왕〉으로
종장. 한국 병합을 둘러싼 논쟁: 역사학과 국제법
후기 | 〈한국 병합〉 관련 연표 | 주요 참고 자료 |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