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독립운동, 아직 끝나지 않았다

도서명:한국독립운동, 아직 끝나지 않았다
저자/출판사:이계형/청아출판사
쪽수:484쪽
출판일:2024-08-15
ISBN:9788936812447
목차
제1장 기억해야 할 한국독립운동
돌아오지 못한 독립운동가들
북한에 묻혀 있는 남측 독립운동가의 유해를 모셔 와야 할 때
‘항일 문학’은 독립운동이며 ‘항일 문학가’는 독립운동가이다
외국인 한국독립운동가, 누구를 얼마나 알고 있는가?
중국에서 독립운동가 남편과 함께했던 부인들을 위한 서사
하와이 ‘사진 신부’ 여성 독립운동가를 기리며
만주 독립군 승리 뒤에 가려진 일제의 대학살 만행
‘안중근’ 영웅인가, 테러범인가
* 태극기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제2장 어제의 독립운동과 오늘의 회고
2023년 100년 전 순국한 독립운동가를 기리며
100년의 기억과 미래의 100년
2019ㆍ2020년, 기념하고 기억했던 한국독립운동 관련 여러 행사의 명암
‘신정’이란 말을 쓰면 ****되는 이유
삼일절 기념 역사와 3ㆍ1정신의 시대정신
삼일절을 맞아 그려 보는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내일
4ㆍ19혁명일에 독립운동가를 생각하다
한국 민족운동이었던 ‘어린이날’
6ㆍ25전쟁 또 하나의 아픔, 조선의용군 참전
해방 후 ‘광복절’을 어떻게 기려 왔는가?
한국광복군 창설 기념일을 맞아 ‘국군의 날’의미를 되새기다
개천절과 독립운동 그리고 현재적 의미
한글학자 독립운동가, 그들이 지키고자 했던 것은?
‘순국선열의 날’의 역사적 의미와 제언
* 우리나라 국호, ‘대한민국’의 탄생 과정과 의미
제3장 한국독립운동의 앞길
한국독립운동 관련 기념사업회(법인) 현황과 과제
국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들에 대한 ‘국적법’ 예우
포상을 받은, 받지 못한 그리고 잘못 포상된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공채, 얼마나 상환되었는가
독립운동은 ‘통일운동’으로 이어져야 한다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 운동의 현주소
독립운동 현충 시설의 앱 개발 필요성
국내 독립운동 사적지를 대한민국 문화유산으로
‘전통 시대 사적지 안내 자료’에 독립운동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한국독립운동사의 중요한 사료인 독립운동가 회고록
정부 수립 이후 독립운동가 의원들의 궤적을 통해 오늘날 후손 의원들에게 바란다
항일 정신이 깃든 문화유산 현판의 복원
일제강점기 ‘우리 문화유산 보호’ 역시 독립운동이었다
* ‘애국가’, 다시금 논의할 때
제4장 끝나지 않은 일제강점기의 문제들
일본의 끝없는 역사 왜곡,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의 ‘독도’ 왜곡에 강력히 대처할 것을 촉구한다
해외의 한국사 왜국 문제,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일제의 강제동원 피해, 오직 사과와 배상만이 해결책
사도 광산, ‘군함도’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것은 인간 존엄과 여성 인권을 지키는 일
일본 정부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무엇이 문제인가?
중국 하이난섬의 일제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 봉환을 못 하는가, ****하는가?
일본 군국주의의 망령, 욱일기
윤동주 그리고 중국 정부의 북간도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왜곡
진정한 독립의 길
100여 년 전 간토대학살에 희생된 재일 조선인을 추모하며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실천하는 것이 한일 관계의 정도(正道 )
* 무궁화가 국화(國花)가 되기까지
제5장 아직도 지워지지 않은 친일의 그림자와 청산 과제
일제 식민지 잔재와 청산의 현주소
독립운동가와 친일파를 함께 기리는 국립현충원
제헌절에 친일파 청산 문제를 되돌아보다
친일파 제정 음악상ㆍ문학상ㆍ학술상 등에 대한 이유 있는 항변
반민특위 습격 사건, 한국 현대사의 해악
친일 인사의 유물ㆍ유적을 조사하여 친일 청산 교육의 장으로 만들자
그 많던 초등학교 내 봉안전은 어떻게 되었는가?
어느 독립운동가의 일그러진 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