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기 위해 자살하는게 아니다

도서명:죽기 위해 자살하는게 아니다
저자/출판사:오진탁/인터북스
쪽수:264쪽
출판일:2023-11-06
ISBN:9791198174956
목차
/ 제1부 /
대한민국은 성공, 사회는 위기?
제1장 대한민국은 성공, 국력은 세계 6위 20
영국 5위, 한국 6위, 프랑스 7위, 일본 8위 20
동아시아 주변국에서 세계의 중심국으로 도약 21
제2장 자살, 우리 사회를 읽는 유행 코드 23
1997년말 외환위기 등 경제위기 때마다 자살률 폭등 23
10~20대 자살률, 4년 만에 40% 증가 26
2030세대 22.5% 자살 시도 28
자살예비군 급증이 핵심 포인트 29
50대 이상 남성 노인 자살률이 높다 30
2027년까지 자살률 30% 줄이겠다? 32
지난 8년간 출생신고 ****된 아기 2236명 33
자살자 통계, 신뢰할 수 있을까? 34
학생과 청소년 자살, 교육부와 경찰청 통계가 다르다 36
자살하면 모든 게 해결된다? 37
제3장 자살, 복합적인 사회병리현상 38
‘묻지마 ****’ 급증, 길거리 다니기 겁난다 38
“사람을 죽여보고 싶었습니다” 40
부산 돌려차기 사건 40
스물셋 초등 교사의 안타까운 죽음, 무너진 교권 41
경제위기 넘어 사회위기로 44
인스타그램, ‘호텔 프로포즈’ 치면 해시태그(#)가 4만4000개 45
삶의 가치 1위 응답도 ‘경제적 능력’ 46
인간이 돈의 주인? 돈이 인간의 주인! 48
한국인의 최애最愛 가치는 ‘돈’ 50
행복학의 권위자 에드 디너 교수 52
“도움 받을 가족 ㆍ 친구 있는가?” OECD 가입국 중 ‘꼴찌’ 53
돈만 있으면 행복하다? 55
정신적 불행이 일상화된 사회? 56
제4장 자살 시도자들의 증언 58
자살 시도자 인터뷰 59
외아들의 자살 60
“한 번도 아픔을 말한 적 없다” 62
자살 시도했던 J양, 더 이상 자살을 생각하지 않는다 64
죽음을 정확하게 가르치는 것, 자살예방의 토대 65
/ 제2부 /
왜 자살해서는 안되는가
제1장 “왜 자살하면 안되나요? 정말 궁금합니다.” 70
자살자, 죽음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71
A 죽는 게 사는 것보다 낫다 73
B 세상과 결별한다 75
C 자살하면 고통에서 벗어난다 75
자살 예방 해법은 없는가? 76
자살의 근본원인, 죽음에 대한 잘못된 인식 78
자살예방 다큐 ‘자살, 한국 사회를 말하다’ 80
제2장 현대 정신건강의학의 최면치료 82
최면 치료 통한 임종 장면 회상 82
최면 치료 통한 자살 장면 회상 84
30대 여성, 태어나면서부터 우울했다? 85
최면치료 통해 우울증 원인 발견 87
어머니의 자살, 돌잡이에게도 깊은 상처를 남겼다 89
자살한 남편의 영혼을 만났다 91
“나는 자살을 많이 했다” 93
최면치료 전문가 김영우 박사(정신건강의학 전문의) 95
자살 선택이 왜 잘못인지, 차분히 교육해야 98
“자살하면 어떻게 되는가” 99
제3장 불교의 천도재와 구명시식 101
티베트 20대 여성, “자살해도 고통은 계속된다” 101
천장터 순례 티베트 가족 103
죽음, 삶의 자연스러운 과정 104
죽음 이해의 차이, 삶의 차이로 이어진다 106
구병시식 치유 과정, 영국 BBC 통해 전세계 방송 107
자살 충동에 17년간 시달린 여인 108
탤렌트 김수미, 빙의에 3년간 시달렸다 111
죽음 체험 프로그램 운영한다면 113
고산 스님이 경험한 사례 114
일미 스님이 경험한 사례 116
“자살하면 끝인 줄 알았는데.....” 117
아버지의 자살 이후 자살은 계속 이어졌다 118
소녀의 자살 이후 급사가 이어졌다 120
제4장 우리 사회와 역사를 함께 하는 민간신앙 122
가수 송가인의 어머니, 씻김굿 전수교육조교 123
무속, 많은 예술가의 상상력 자극 124
삶과 죽음, 씻김굿에서 조화롭게 구획된다 126
서울 한복판에서 ‘진도 씻김굿’ 풀어냈다 128
자살한 어머니, 죽어도 아들을 떠나지 못했다 129
“내가 혼이라니 웬말이요?” 131
자살예방 다큐 제작, 자살자 영혼을 초혼하다 132
동생의 자살 이후, 집안에 우환이 계속 이어졌다 135
자살자 영혼을 초혼한 무속인 136
자살하면 다음 삶에서 똑같은 과제를 만난다 137
/ 제3부 /
죽고 싶어 자살하는 사람은 없다
제1장 자살자가 원하는 것은 죽음이 아니다 142
자살자 유서 “자살은 최악의 선택” 144
자살자도 죽음이 두렵다 145
두 가지 갈림길, 삶과 죽음 146
“이제 자살을 더 이상 생각하지 않는다” 148
“고통을 겪음으로써 성숙해진다” 149
자살해도 고통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150
제2장 왜 생사관 확립이 시급한가? 153
우리 사회 죽음 이해의 현주소 153
‘죽음의 의료화 현상’: 아름다운 마무리에 관심 없다 154
연명의료결정법은 웰다잉 법이 아니다 156
OECD국가 중 자살률 1위 157
육체 중심의 죽음 이해, 삶의 질 떨어뜨린다 158
고독사의 확산 “설마, 저 늙은이가 나라는 말이여?” 159
혼****다 아무도 모르게 죽는다 160
고독사 위험군 152만명 161
현직 경찰의 저서 『고독사는 사회적 타살입니다』 163
스티브 잡스 “죽음, 삶의 최고 발명품” 165
도쿄 도시마 구청, 슈카쓰終活 안심 센터 개설 167
고독사, 두 가지 방식으로 해결책 모색 168
제3장 죽음, 삶의 끝인가? 새로운 시작인가? 170
죽음이 삶에게 전하는 선물 170
왜 나라고 죽어서는 ****되는가? 172
죽음, 삶의 자연스러운 과정 174
평온한 죽음, 삶의 최대 성취 175
말기환자에게 어떤 희망을 줄 수 있을까? 176
죽으면 다 끝나는가? 177
죽음 이해, 설명이나 설득의 문제가 아니다 179
어느 의사의 고백 180
호스피스 봉사자, 임종 순간 보았다 183
“죽은 아내가 밤마다 꿈에 나타났다” 185
김영우 “죽어도 생명이 끊어지지 않는다” 186
교통사고로 죽은 아들, 어머니와 만났다 187
퀴블러-로스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189
의식영역 확장해야 죽음을 이해할 수 있다 190
영혼의 존재, 죽음의 순간 누구나 알게 된다 191
정진석 추기경에게 ‘죽음’과 ‘부활’을 물었다 193
법정스님 “육체 안에 영혼이 있는 게 아니다” 195
육체가 죽어 화장하면 나는 어디 있는가? 197
우리는 자기 자신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199
제4장 현대인의 죽음 이해에 7가지 질문을 던진다 201
죽어가는 사람에게 읽어주는 『티베트 사자의 서』 201
티베트 30대 남성 인터뷰 “우리에게 자살의 권리는 없다” 203
가난해도 ‘백발의 위엄’ 지키며 떠나도록 배려하는 나라 204
현대인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 205
“당신도 아다시피 누구나 죽어가고 있다” 206
티베트에선 누구나 천장을 원한다 209
부모의 시신을 어떻게 독수리에게 줄 수 있을까? 211
천장, 티베트인은 명예로 여긴다 211
티베트인과 현대인의 죽음 이해 비교 212
소크라테스의 철학적인 죽음 212
“너 자신을 알라” 214
죽음 이해 비교 - 생사학과 현대인 죽음 이해의 차이 214
/ 제4부 /
죽음을 알면 자살하지 않는다
제1장 자살 미수자의 증언과 자살자의 죽음체험 220
자살 시도해 육체에서 벗어났다 220
자살 미수자의 증언 222
최면치료 통한 자살자의 죽음체험 회상 223
임사체험 연구 50여 년 전부터 시작 224
뇌 기능이 전혀 없었던 파멜라 레이놀즈의 임사체험 225
칼 베커 교수, “죽음, 끝이 아니다” 226
자살예방의 해법, “죽음을 알면 자살하지 않는다” 228
제2장 심리학의 양적 분석도구 활용 230
「자살 예방의 철학」 수강생 설문조사 결과 231
우울증 판정 학생 집중 분석 232
사례 1) “자살, 고통의 해결책 아니다” 233
사례 2) “죽는다고 고통에서 벗어나는 게 아니다” 234
사례 3) “자살 생각을 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236
자살은 해결책이 아니다 238
현실의 고통을 받아들여 감내해야 한다 238
‘죽고 싶다’ 대신 ‘잘 살고 싶다’ 238
최양, 자살예방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239
2023년 1학기 수강생 중 자살 시도 학생 28% 240
자살 현상의 뿌리, 자살하면 고통에서 벗어난다? 242
제3장 죽음 통해 삶을 배운다 244
사례 1) 할머니가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지셨다 244
사례 2) “살기 힘든데 왜 자살하면 안되는가” 246
“죽고 싶은 게 아니다” 247
사례 3) “나는 조울증 환자였다” 248
“조울증에서 어떻게 벗어나게 되었는가” 249
사례 4) “자살을 매 순간 생각하고 있었다.” 249
사례 5) “죽음 통해 삶을 배운다” 251
H양 수강 소감 252
사례 6) “위기에 빠진 나의 삶을 구하다” 255
“생사관의 확립과 생명 교육이 먼저” 257
사례 7) 「자살 예방의 철학」 수강 소감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