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진경산수화

도서명:조선 후기 진경산수화
저자/출판사:박은순/돌베개
쪽수:640쪽
출판일:2024-06-28
ISBN:9791192836706
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며
Ⅰ. 진경산수화의 정의와 제작 배경
1. 진경산수화의 정의: 진眞·진경眞境·진경眞景
2. 진경산수화의 제작 배경에 대한 논의
1) 현실주의
2) 새로운 시각 인식과 시각적 사실성의 추구
3) 천기론의 영향
4) 전통 실경산수화의 영향
Ⅱ. 진경산수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진경산수화에 대한 선행 연구
2. 진경문화·진경시대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나가면서
Ⅲ.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제재와 관점
1. 진경산수화의 제재
1) 명승명소도
2) 야외아회도
3) 유거·정사·별서도
4) 구곡도
5) 공적 실경도
6) 기행사경도
2. 진경산수화의 시점과 투시법
1) 다초점투시
2) 조망
3) 풍수
4) 원근투시
Ⅳ. 진경산수화의 유형과 변천
1. 천기론적 진경산수화: 답경모진과 천기유동
1) 천기론과 진경산수화
2) 겸재 정선의 천기론적 진경산수화
2. 사의적 진경산수화: 현실 관조와 산수 취미
1) 조선 후기의 선비그림, 유화의 발전과 사의성의 추구
① 조선 후기의 선비그림, 유화의 발전 ② 사의성의 추구와 사의적 진경산수화
2) 사의적 진경산수화에 미친 중국
판화의 영향
3) 사의적 진경산수화의 성격과 특징
그리고 화풍
① 선비화가 심사정·강세황·허필 외 ② 선비화가 김윤겸·이인상·윤제홍 외 ③ 선비화가 정수영·이방운·이의성 외
4) 나가면서
3. 사실적 진경산수화: 새로운 시각 인식과
시각적 사실성의 추구
1) 조선 후기 서학의 도입
① 과학기술 문물에 대한 탐구와 실용 ② 현실 개혁의 대****③ 과학적 지식의 교양화
2) 시각적 사실성의 추구
3) 서양 투시도법의 성격 및 기법
① 개념 및 표현 기법 ② 중국 회화에 반영된 서양 투시도법
4) 서양 투시도법의 수용과 사실적
진경산수화
① 산술적 이해 ② 회화적 실험과 수용 ③ 평행사선투시도법의 새로운 정립
5) 나가면서
Ⅴ. 겸재 정선과 진경산수화
1. 발견된 대가: 겸재 정선에 대한 평가의 역사
2. 사의와 진경의 경계를 넘어서: 기려도를 중심으로
3. 겸재 정선과 소론계 인사들의 교류와 후원
1) 18세기 전반 문예계와 소론계 인사들의 활동 양상
① 겸재 정선과 소론계 인사들의 교류 ② 18세기 전반 소론의 사상과 학풍 그리고 문예
2) 소론계 인사의 정선에 대한 후원과 평가
3) 나가면서
4.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서양화법
1) 정선의 천문학겸교수직과 서학의 경험
2) 정선이 구사한 서양화법
① 지면과 수면의 표현 ② 대기의 표현 ③ 서양식 투시도법의 구사 ④ 전통적인 기법과 서양화법의 절충
3) 나가면서
5.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풍과 고지도
1) 겸재 정선 화풍의 구성 요소: 필묵법·준법·수지법·태점을 중심으로
2) 18세기 후반 고지도에 나타난 정선 화풍의 영향과 변용
① 정선 화풍의 수용과 변용: 18세기 중엽 ② 정선 화풍의 변용과 남종화풍으로의 전환: 18세기 말엽
3) 19세기 고지도 화풍의 변화와 정선 화풍의 잔영
① 보수적 화풍의 고지도: 19세기 전반 ② 새로운 남종화풍으로의 전환: 19세기 전반 ③ 정선 화풍의 잔영: 19세기 후반
4) 나가면서
Ⅵ. 진경산수화의 다양성
1. 조선 후기 관료 문화와 진경산수화: 소론계 관료를 중심으로
1) 17세기 남구만계 십경도류 회화
2) 18세기 소론계 관료의 환력과 진경산수화
3) 나가면서
2. 표암 강세황의 사실적 진경산수화: 일상과 평범, 상경의 추구
1) 강세황의 기행사경도
2) 일상과 평범, 상경의 추구
3) 새로운 시각 인식과 서양화법의 수용
4) 공인 의식과 환유의 기록
5) 나가면서
3. 남한강 실경산수화
1) 명승유연과 기행사경
2) 은둔과 풍류
3) 비운과 충절의 역사
4) 나가면서
4. 현실의 풍경, 마음의 풍경: 조선 후반기의 전별도
1) 헤어짐의 미학과 전별도의 제작
2) 조선 후기 이전의 전별도
3)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와 전별도
4) 조선 말기 사의적인 전별도
주
참고문헌
도판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