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하반기) 국내외 디스플레이 산업 및 관련 소ㆍ부ㆍ장 시****람과 해외진출 전략 (하)

도서명:(2023 하반기) 국내외 디스플레이 산업 및 관련 소ㆍ부ㆍ장 시****람과 해외진출 전략 (하)
저자/출판사:산업경제리서치 편집부/산업경제리서치
쪽수:974쪽
출판일:2023-09-11
ISBN:9791192693736
목차
Ⅳ. 주요 국가별 현지 진출 전략
1. 중국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통상] 미국의 對中 정책에 대응하여 중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 추진
나. [정책] 내수 회복을 통해 경제 정상화에 집중
다. [산업] 안정적 공급을 전제로 첨단ㆍ녹색산업 구조개혁 추진
라. [시장] 소비계층 분화하는 반면, 인구 감소로 성장여력****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① (반도체) 국산화 강화하는 추세이나 핵심 부품 수입 의존도 단기간 해소 난망
② (전기차) 전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 외국 기업 투자환경도 개선 중
③ (이차전지) 자립형 공급망 구축을 위한 산업 구조조정 가속화
④ (수소산업) 탄소중립 목표로 친환경 수소 생산 및 수요 확대
⑤ (스마트 제조업) 산업 규모 지속 확대, 핵심 기술과 부품의 높은 수입 의존도
⑥ (메타버스) 디지털 산업의 신성장 동력으로 시장 진입의 새로운 기회
⑦ (의료바이오) 소득 및 인구구조 변화, 정부 육성책에 따른 산업발전 가속화
⑧ (서비스업)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서비스 산업 수요 증가세
라. 정책ㆍ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입
다. 투자
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경협 의제
가. 수출입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① RCEP의 발효와 활용
② 지역별 산업 육성정책에 따른 협력 수요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ㆍ산업별 진출전략
가. (新 소비) 소비 트렌드 변화를 반영하여 소비 계층별 진출전략 세분화
나. (디지털化) 중국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온ㆍ오프라인 마케팅 강화
다. (GVC) 통상 · 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중국 GVC 참여 및 재편 전략 수립
① (신재생 에너지) 기술 우위에 있는 재생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 가능
② (그린 모빌리티)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 진입 장벽 완화로 진출 기회 확대
③ (ESG · 환경) 환경보호 의식 강화, 주요 기업 ESG 참여 확대로 진출 기회 확대
마. (지역 협력) 지역 특성별 맞춤형 진출전략 수립 및 하침시장 공략 강화
① (지역 맞춤형 진출) 지역 특성 및 특화산업을 고려하여 맞춤형 진출전략 모색
② (하침시장 공략) 중요 소비시장으로 급성장 중인 하침시장 공략 강화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상품)
(1) 新 소비 분야
(2) GVC 협력 소부장 분야
(3) 녹색 산업 관련 품목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상품)
(1) 의료ㆍ양로 서비스
(2) 취미ㆍ여가 관련 서비스
(3) 디지털 기반 서비스
(4) 교육 서비스
(5) 친환경 플랜트
2. 미국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11월 의회 중간선거 실시
나. 고물가·고금리 시대를 맞이한 미국
다. 미-동맹국 중심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 가속화
라.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 강화
마. 기후변화 관련 정책과 지원 확대에 따른 관련 산업 투자 확대
바. 엔데믹 시대 근로·소비 방식의 변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진출
라. 프로젝트
① 컨 팬 지하수 저장 프로젝트 (The Kern Fan Groundwater Storage Project)
② 산타클라라 밸리 교통공사(VTA)의 베이지역 교통시스템(BART) 실리콘밸리 2단계 프로젝트
③ 디트로이트 고르디 하우 국제 다리(Gordie Howe International Bridge) 건설 프로젝트
④ 뉴욕-뉴저지를 잇는 허드슨 터널 건설
마. 스타트업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① S社
② K社
③ D社
나. 투자
① S社
② O社
다. 협력 유망분야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 및 산업별 진출전략
가. 바이오 제조산업 확대 및 강화 추세를 활용한 바이오 산업 진입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나. 미국 내 반도체 산업 공급망 강화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기회로 활용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다. 불안정한 공급망 재편과 함께 미국 제조업계에서 부상하는 MaaS 분야 진출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라. 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에 따른 신차용 강판 수요 증가 적극 대응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마. 차세대 자동차가 이끄는 고부가가치 전장·소프트웨어 분야 협력 기회 모색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바. 고물가 시대에 맞는 소비재 진출 전략 재정립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사. 에너지 위기, 석유·가스 프로젝트 재개로 관련 수요 확대에 따른 기회 포착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아. 소비수요 전환으로 성장 엔진 재가동한 서비스 산업 공략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자. 식량안보 중요성 강조로 관심 높아진 스마트 농업 주목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서비스)
3. 독일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뉴 노멀 수요, 위드 코로나 시대 성장 견인 전망
나. 러-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에너지 안보 이슈 쟁점화
다. 기후중립 및 탈탄소화 기조에 편승한 정부 주도의 그린/디지털 전환 본격화
라. 공급망 위기로 對중국 전략 기조 변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공급망]
〈첨부〉 우리 기업 수출 성공ㆍ실패 사례
다. 투자
라. 주요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ㆍ산업별 진출전략
가. 뉴 노멀 유망 수요 및 한류·틈새 소비시장 공략 강화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뉴 노멀 성장 수요 연계 K-Goods의 수출 다변화 기회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다. 에너지 효율: 선택과 집중-유럽의 수입 수요 증가 유망 품목 중심으로 공략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독일 에너지 위기, 에너지 효율 제품 수요 급성장 견인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라. 녹색 수소 에너지와 모빌리티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에너지 위기로 대체 에너지원 중요성 부각과 더불어 대형 운송 장비 에너지원으로 녹색 수소 주목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마.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협업 및 현지화를 통해 독일 배터리 순환 경제 진입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새로운 배터리 규제****실행과 더불어 배터리 재활용 시장 규모 확대 예상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4. 일본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미-중 무역 경쟁 속 공급망 안정화 추진
나. 금융 완화 지속 - 엔저 심화와 물가 상승
다. 디지털 사회 구현을 위한 DX(디지털 전환) 가속화
라. GX(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추진 주력
마. 4차 한류 붐: 전 세대가 함께 즐기는 문화로 부상
바. 일본 정부의 이노베이션 진흥, 스타트업 중점 육성 정책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①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
② 기타 유망 소비재
라. 정책·규제 환경
① 통상 정책
② ESG 관련 정책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ㆍ산업별 진출전략
가. 제조·물류 분야의 스마트화 시장 타깃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나. 교육·금융·쇼핑·인프라점검 등 제반 분야 공략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산업별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다. 신재생에너지·에너지 절약 기술로 탈탄소 시장 진입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산업별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라. 전기차(EV)·배터리 중심, 차세대 자동차 시장 진입 확대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산업별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마. 공급망 재편에 따른 기회 포착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바. K-콘텐츠 기반 식품·소비재 시장 공략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산업별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사. 확대되는 일본 레저시장, 프리미엄 소비재 시장 진출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산업별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아. 실버 세대 니즈 맞춤형 헬스케어ㆍ돌봄시장 진출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자. 지자체ㆍ대기업 협업 통한 스타트업의 신성장 분야 진출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5. 대만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대미(對美) 경협 관계 강화
① 상호 대화협력체제 구축·운영 활성화
② 미국과 양자무역협정 체결을 도모하며 경협 관계 지속 발전 추진 예상
나. 기후변화 대응 노력
① ‘2050 탄소중립’ 정책 추진 본격화
② 탄소요금ㆍ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추진
③ ‘물 소모요금(water conservation charge)’ 부과제도 도입 추진
다. 디지털 경제 촉진 가속화
① 디지털경제발전정책 추진 동향
② 2022년 ‘디지털발전부’의 출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① 거시경제 현황 및 전망
② 진입 리스크
다. 산업 환경
① 산업구조
② 수출·내수 분야의 주요 산업 동향
라. 정책ㆍ규제 환경
① 미래기초건설계획(Forward-looking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gram, ’17년 9월∼’25년 8월)
② 6대 핵심전략산업 육성정책(Program for Promoting Six Core Strategic Industries, 2021∼2024년)
③ 2050 탄소중립(2050 淨零排放)
④ ESG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① 시장 환경
② 시장 특성
③ 전략적 가치
나. 교역
① 수출입 동향
② 수입 규제 동향
다. 투자 유치
① 외국인(화교·중국인 포함) 직접 투자 동향
② 진입 장벽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① 한국의 對대만 수출입 동향
② 한국의 對대만 수출입 구조
③ 대만의 對한국 수입 규제 현황
나. 수출 성공 사례
다. 투자
① 한-대만의 상호 투자 동향
② 업종별 상호 투자 동향
라. 투자 성공 사례
마. 협력 유망 분야
① 양국 간 공통 이슈를 중심으로 협력 기회 모색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정보 보안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나. 해상풍력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다. 차세대 신재생에너지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라. 배터리ㆍ충전 인프라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마. 의료ㆍ헬스케어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6. 베트남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베트남의 GVC 공급 기지화
나. 코로나19 극복 관련 경제 회복 강세
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베트남의 제조·교역 환경 변화
라. 8차 국가전력개발계획 관련 신재생에너지 성장 기대
마. 관세 인하 및 신통상 분야 국제 협력 강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
① 전기·전자 산업
② 자동차 및 부품 산업
③ 섬유·의류 산업
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ㆍ산업별 진출전략
가. MZ세대 수요 증가 유망 품목 중심으로 공략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나. 전기차의 부흥을 꿈꾸는 베트남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다. 2050년 넷제로를 위한 베트남의 순환경제정책 및 산업 적극 참여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라. 다가오는 메가 FTA 시대, 통상정책 활용 제3국 진출 도모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7. 호주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에너지 전환 가속화
나. 글로벌 핵심 광물 공급국으로 도약
다. 글로벌 외교·통상 핵심 국가로 부상
라. 장기적인 인프라 투자를 통한 경제 재건
마. 인플레이션에 따른 호주 경기 둔화 전망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입 동향
〈참고〉 우리 기업 수출 성공 및 실패 사례
다. 투자 진출
라. 인프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ㆍ산업별 진출전략
가. 상호보완적 자원 협력 통한 글로벌 공급망 공동 대응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나. 기후변화 정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및 청정 인프라 협력 수요 다대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다. 노후 인프라 개선 및 경기 부양 위한 건설 수요 확대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라. 구인난, 전염병 위기에 따른 로보틱스 수요 성장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마. 순환 경제 중요성 확대, 중장기적 재활용 활성화 정책 추진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8. 사우디아라비아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보호무역주의 강화
나. 한-GCC FTA 협상 재개
다. 국가 경제 성장 동력 다각화 가속
라. 국제 유가 변동 및 에너지 위기 심화에 따른 탈탄소 움직임 가속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 진출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정부 주도 프로젝트 참여 확대
나. 강화되는 현지화 정책 대응 필요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다. 국가기반산업 다각화에 따른 산업별 전략적 참여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 품목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9. 러시아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러-우 사태] 對러 제재 영향 지속
나. [유라시아] EAEU 경제 블록화
다. [디지털] 전자상거래 활성화
라. [물류] 북극항로 개발 촉진
마. [ESG] 탄소중립 산업발전 정책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 진출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보건·의료] 비(比)제재 대상으로 수입 대체 진출 노려볼 만
나. [탄소중립, 그린 에너지] 러의 탈자원 경제정책 추진 협력
다. 한류 콘텐츠 인기
라.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
마. K-Beauty 열풍을 활용한 화장품 시장 공략
바. 러시아 극동·북극 개발 협력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10. 캐나다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2023년 저성장 위기와 극복
나. 2050 넷제로(Net-Zero) 달성 위한 정부 정책 및 투자
다. 전기차 산업 확대를 통한 캐나다 제조 산업 강화
라. 한-캐나다 수교 60주년 기념 및 양국 간 협력 지속 기대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 진출
라. 프로젝트
마. 스타트업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ㆍ산업별 진출전략
가. 북미 글로벌 전기차 공급망 진입 지원
나. 친환경, 건강, 지속 가능한 소비재 수요 증가 전망
다. AI 강국 캐나다의 기술과 우리 기술의 협력 확대로 상호 보완 협력 기대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11. 벨기에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경제 회복 위해 경기 부양책 및 에너지 위기 대응 조치 추진
나. 에너지 위기에 따른 벨기에 소비 트렌드 변화
다. 주요 산업 분야 지속가능성 위한 투자 지속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EU 정책·통상 환경
마. EU 규제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입
다. 투자
라. 공공 조달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녹색ㆍ디지털 전환 프로젝트 중점 ESG 협력 기회 모색
나.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는 효율 강조 제품으로 EU 단일 시장 공략
다. 제약산업 투자 및 R&D로 EU 시장 진출 다각화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12. 인도네시아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
나. 2023 ASEAN 정상회의 의장국
다. 코로나19 이전 경제 성장 회복을 위한 드라이브
라. 원자재 수출 금지(제한) 본격화
마. 디지털 산업 성장세 유지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동향
① 원자재 다운스트림 역량 강화
② 메이킹 인도네시아 4.0 지속 개발
③ 산업단지 인프라 개발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나. 교역
다. 투자
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의료기기
나. 식ㆍ음료
다. 화장품
라. 인프라 프로젝트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13. 브라질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원자재 호황 지속
나. 부익부 빈익빈 현상 확대 · 제조업 성장 정체
다. 5G 도입을 통한 산업 혁신
라. 한-메르코수르 무역협정 추진 중
마. 정권 교체로 인한 정부 정책 변화
바. 바이오 에너지 위주 탄소 배출 감축 정책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 · 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 진출
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경협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ㆍ산업별 진출전략
가. 이커머스 사업 진출
나. 그린 프로젝트 추진
다. 보건 · 의료시장 마켓쉐어 확대
라. 5Gㆍ스마트사업 선점
마. 공급망 사업 개척
바. 한류 시장 공략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첨부 3〉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14. 태국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전망
나. 주요 경제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태국 4.0’정책 추진 핵심산업분야 내 글로벌공급망(GVC) 재편 진행
나. 국가 개방 및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통한 경제회복 박차
다. BCG(Bio-Circular-Green) 경제 모델 도입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마련
라. 산업ㆍ사회 전반에 걸친 디지털화(Digitalization) 가속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진출
라. 프로젝트(스마트시티 등 대형 건설/플랜트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분야
① (국가간 협력 유망분야) 태국정부 투자유치 정책과 12대 미래산업
② (기업 차원의 협력 유망분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3) 현지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확대일로 태국 온라인 유통시장, 엔데믹 맞춤형 전략 추진
나. 급속한 태국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유망시장 선제 공략
다. 친환경 이슈에 따른 GVC 재편 및 신시장 창출 기회 활용
라. 산업ㆍ사회 디지털화에 따른 시장 진출 확대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15. 폴란드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AI 기반 소프트웨어 및 마케팅 자동화로 전자상거래 활발
나. 유럽 탈탄소 정책 및 러-우 사태로 에너지 절감 제품 사용 독려
다.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선도할 핵심 생산기지로 부상
라. EU 기금 이용한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 발주 확대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ㆍ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 진출
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현지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ㆍ산업별 진출전략
가. 온라인 유통망 활용, 유망 소비재의 중저가 가격 전략으로 공략
나. 유럽 탈탄소 정책에 따른 저탄소·에너지 절감형 품목으로 공략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