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한국영화

도서명:1980년대 한국영화
저자/출판사:정성일 , 이효인 , ****화 , 허남웅 , 김영진 ,/앨피
쪽수:560쪽
출판일:2023-12-31
ISBN:9791192647265
목차
■ 책을 펴내며
1부 Memoir
1 _ 하지만 그런 시대를 살았고, 나는 거기에 있었다: 1980년대, 그때 여기, 영화 | 정성일 |
2 _ 애도할 수 없는 1980년대 | 이효인 |
1980년대 한국영화, 역사의 실험실
1980년, 대학 풍경과 한국영화
1980년대의 영화청년들
1980년대 영화운동의 결절
애도할 수 없는 1980년대
2부 1980년대 한국/영화
총론_ 1980년대 한국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지도 | ****화 |
3S 우민화 정책
영화정책과 영화계
지속과 변화 사이 | 활기와 위기 사이
영화문화의 변화
위기가 만든 극장의 변화 | 변화를 만든 동인들 | 시네마테크의 초보적 모색
장르 _ ****물의 시대, 그래도 다양한 장르적 시도가 있었다 | 허남웅 |
****물과 ****물 사이
신파여 다시 한 번
무덤에서 살아나온 공포
액션 몸으로 울었다
감독들이 종교로 간 까닭은
누구의 존재도 아닌 여성
어른들은 모르는 청춘
수렁에서 건진 사회물
다양성은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미학 _ 1980년대 작가주의 | 김영진 |
1980년대를 조망하며: 혼돈의 용광로 시대
이두용의 거두절미 미학
화면을 잡아채는 활기
이장호와 배창호의 시대
〈바보선언〉의 예술과 저항 | 대중영화감독에서 예술영화감독으로
미완의 작가주의, 그리고 코리****뉴웨이브의 가능성
몰개성의 시대를 뚫으려는 의지의 감독들 | 코리****뉴웨이브의 싹을 향해 | 형식주의자들
임권택이라는 고유명사
장인에서 국민감독으로
배우 _ 어둠 속에서 역동하다 | 김혜선 |
1980년대 최고의 배우 안성기, 미남스타 이영하
1970년대 트로이카와 김지미의 묵직한 동행
1980년대 중반 신 트로이카의 등장: 이보희·원미경·이미숙
****의 범람 속에서: 나영희·안소영·이대근·마흥식
틀에 갇히지 않는 당당함: 이혜영·강수연
1980년대가 발견한 청춘스타: 박중훈·최재성
독립영화 _ 1980년대 비제도권 영화의 풍경 | 유운성 |
기원에 대한 의문
새로운 영화를 위하여
작은영화를 둘러싼 물음들
끝나지 않는 투쟁, 혹은 저항의 비디오그램
영화문화 _ 1980년대, 다양한 통로로 영화를 경험하기 시작하다 | 공영민 |
저마다의 기억 속 영화를 모으는 방법
1980년대 영화문화의 특징
극장 지형의 변화
심야극장의 등장 | 소극장의 등장과 새로운 영화문화에 대한 기대 | 영화법 개정과 복합상영관의 등장
흥행 · 배급 지형의 변화
매체 환경의 변화
컬러TV의 확산과 TV영화의 인기 | 비디오의 보급과 성장
1980년대, 영화가 일상의 문화가 되다
화보 _ 1980년대 극장 풍경 | 이수연 |
3부 한국영화계에 불어오는 자유의 바람
: 구술로 보는 1980년대 한국영화 | 이수연 |
1980년을 시작하며
영화 관람 환경의 변화: 컬러텔레비전 방송 시작과 소극장의 등장
누구나 영화 만들 수 있는 자유를!
미국의 무역 개방 요구 | 영화법 개정 요구와 제작자유화
창작의 자유를 달라!: 시나리오 사전심의와 검열 제도
시나리오 사전심의 문제: 〈최후의 증인〉과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특정 집단의 반대: 〈도시로 간 처녀〉
와 〈비구니〉| 외국인 출연 제한: 〈LA용팔이〉| 공연윤리위원회와의 정면 충돌: 〈허튼소리〉와 〈구로아리랑〉
할리우드로부터 한국영화를 지켜라!: 수입자유화와 직배 저지 운동
한미경제협상과 제6차 영화법 개정 | UIP의 〈위험한 정사〉| 직배 저지 투쟁 2차전: 뱀 소동
장벽이 무너진 후: 1980년대를 마무리하며
■ 본문에 인용된 구술자 소개
부록 _ 1980년대 영화산업 주요 통계 | 이수연 |
극장 | 제작 ·수입 | 흥행순위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