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도의 도상해석

도서명:지옥도의 도상해석
저자/출판사:장미진/솔과학
쪽수:392쪽
출판일:2023-10-29
ISBN:9791192404592
목차
|서장, 책머리에| _5
Ⅰ 문제의 설정: 지옥도의 미학적 문제설정의 가능성에 대한 예비적 설명, 지옥사상에 관
한 일반적 서술 ㆍ 19
1. 예술과 종교_ 21
2. 불교문화권에 있어 ‘지옥’의 원신화적(原神話的) 요소와 그 의미_ 37
2.1 사생(死-生),명부(冥府)_ 38
2.2 천계·지계·하계(天界·地界·下界-地獄)의 위계(位階)_ 80
Ⅱ 문제의 전개: 미술사방법론으로서의 도상학(圖像學)의 방법적 과제에 대한 미학적(美學的)
문제제기의 가능성 및 타당성 ㆍ 93
1. 미술사 방법론으로서의 도상학의 문제적 과제_ 95
2. 지옥도 해석을 위한 도상학의 미학적 과제_ 117
3. 조선시대 불교미술에 보이는 지옥도의 유형(類型)_ 127
3.1 ‘지옥도’의유존(遺存)자료_ 127
3.2. 시왕탱화와 감로탱화의 유형적 특성 및 우리나라에서의 유통배경_ 132
Ⅲ 자료적 분석: 도상의 분석과 종합 ㆍ 139
1. 시왕탱화_ 141
1.1. 양식적 특징 : 소의경전과 의례 내용에서 본 불화의 형식 및 미적표상방식(美的表象方式)_ 141
1.2. 도상내용 : 시왕과 그 권속, 지장보살, 지옥변상(중음신, 지옥고, 육도윤회)_ 159
2. 감로탱화_ 222
2.1. 양식적 특징 : 소의경전과 의례내용에서 본 탱화의 형식 및 미적표상방식_ 222
2.2. 도상내용 : 하단(육도중생상·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 천), 중·상단(재의식, 뇌신, 칠여래, 극락래영·극락접인))_ 233
Ⅳ 문제의 해석: 조선시대 지옥도의 이코놀로기 ㆍ 269
1. 불화의 발생-분화관계를 통해 본 지옥도의 위상 : 사원 내에서의 의미연관과 조선시대 명부신앙의 만다라적(曼陀羅的) 성격_ 271
2. 명부-현세의 유비적 관계에 대한 주적: 지옥의 현재성_ 287
3. 극락[천계]ㆍ지계ㆍ하계(지옥)의 시ㆍ공간 표상형식에 반영된 현실감각과 미의식_ 300
Ⅴ 맺음말 ㆍ 313
|참고문헌| _ 322
|English Abstract| _ 335
|참고도판| _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