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배 애도 적대
도서명:숭배 애도 적대
저자/출판사:천정환/서해문집
쪽수:400쪽
출판일:2021-12-20
ISBN:9791192085067
목차
머리말
서설: 끝나지 않은 5월, 1991년
어둠이 빛을 이긴다 | 패배의 기억, 어둠의 심연 | 젊은 삶/죽음 | 패배의 효과, 아포리아 | 열사 그리고 애도 | 끝나지 않은 5월
1부 - 열사
01. 열사의 정치학, 기원에 대하여
‘민주화’와 열사
‘열사들’과 시대 | 젊은 죽음, 살아남은 자의 슬픔 | ‘열사의 시대’ 이후, 추방된 죽음들
죽음의 정치, 열사의 정치학
누가 ‘열사’인가, ‘열사’의 사회언어학 | 죽음의 형식들, 기억되거나 기억되지 못하거나 | 노동운동과 열사
노동열사 정치: 전태일에서 1990년대까지
분신: 숭고의 스펙터클, 최후의 ‘도덕적’ 무기 | ‘민주화’ 이후의 노동자의 죽음: 1990년대의 ‘노동열사’ | ‘강성 노조’ 혹은 ‘노조의 전투성’에 대하여
02. 오월 혹은 요절: 죄의식의 계승과 젊은 죽음에 관한 두 개의 고찰
5월 광주, ‘1980년대적 죽음’의 사회적ㆍ도덕적 연원
‘1980년대적’인 죽음 | ‘애도되지 못한 죽음’의 죄의식 | 1986년 5월, 스물세 살 박혜정
이념과 ‘삶’ 사이에 있는 것: 1991년 5월, 열아홉 살 박승희
‘나’와 ‘너’, 죽음과 상호작용하는 정동 | 이념의 정치적 맥락 | 두 개의 결론: 죽음의 개별성과 역사성
03. 고독한 죽음들: 2000년대 이후의 노동열사
신자유주의와 2000년대 이후 노동자의 죽음
세계화의 덫, 또 다른 제단에 바쳐진 목숨들 | 1991년과 2003년 사이: 이현중ㆍ이해남 씨의 죽음 | 죽음 앞의 고독: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죽음 | 21세기형 ‘합법적’ 노동탄압: 손해배상소송과 노동억압의 신자유주의화
전태일 유서가 여전히 쓰이는 나라
노동의 분할, 여전히 ‘해고’는 ****이다 | “열사의 칭호를 던지지 마세요”: ‘열’에서 ‘울’로 | 결론을 대신하여: 두 개의 불가능함 사이에서
2부 - 애도의 정치, 증오의 정치
04. 노무현 애도사事/史: 한국 정치의 감정구조에 대하여
‘이 죽음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아무도 없다’
2009년 5월 23일, 새로운 정치사의 시작 | “정치하지 마라” | 대통령의 죽음, 그리고 ‘가부장-국가’의 ‘가족-로망스’ | 7일간의 장례식, ‘미안함’이라는 정동 | 복수심: 증오와 죽음의 정치 | “미안해하지 마라, 누구도 원망하지 마라”
애도의 정치, 증오의 정치
엘리트 특권동맹의 공포·조롱·혐오 | 죄의식과 우상화, 그리고 애도를 정치에 이용하기 | 촛불혁명 이후, 끝나지 않은 원한의 정치 | ‘노무현 정신’은 무엇인가: 횡령된 애도, 박제된 애도
05. 죽음, 책임, 명예: 대한민국 공직자들의 자살
다양한 사건들의 공통점
세속의 ‘승리자’들의 자살 | 자살 유발자, 검찰 | 죽음을 통해 생각하는 한국 사회의 지배구조와 문화정치
노회찬의 죽음, 애도와 반(反)애도
“나는 여기서 멈추지만…” | 애도와 반애도 사이의 심연 | 추모와 과제, 연민과 공동체의 윤리
‘회사원’ 최 씨의 죽음: 어느 경찰공무원의 선택이 말해준 것들
국정원 비위와 직원들의 연쇄 자살 | ‘정윤회 문건’ 사건이 쏘아올린 공 | 누가 범인이 될 것인가, ‘몰아가기’의 공포 | 유서에 담긴 회사(경찰), 언론, 동료 | 언론은 책임이 없는가 | ‘진상 규명’이란 결국 화해와 회복적 정의 | ‘명예자살’은 명예로운가 | 정치가 야기하는 자살: 정치의 잔혹함과 회피로서의 자살
소결: 극단의 진영정치와 ‘진보’에 대하여
‘진보’의 윤리: 인간은 완벽하지 않기에, 더 깨끗하고 도덕적인 ‘정치’를 원한다
3부 - 잔혹한 사회, 취약한 인간
06. 연예인의 자살과 한국 사회: 2000년대 이후의 ‘잔인성 체제’
‘블랙 카펫’ 위의 연예인들: 최진실, 설리, 샤이니 종현의 죽음을 중심으로
대중의 갈취, 존재론적 불****| 최진실, 연예인-여자의 일생 | 설리, ‘아이돌’과 착취 그리고 죽음 보도 경쟁 | 연예인-베르테르 효과 | 샤이니 종현, 내면의 우울과 과로하는 삶
관종의 시대, 연예인화되는 삶과 죽음정치
연예인으로 살아가기, 연예인을 ‘소비’하기 | 주목경쟁, 만인의 연예인화 | ‘화려한 인생’이 지불하는 것
07. 보이는 심연, 고착된 구조: 201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자살과 자살예방정책
자살예방법과 자살예방정책
자살에 대한 사회의 의무, ‘자살예방법’ | 자살예방정책의 영향 | 유가족이 자살 사건에 대해 말하기, ‘심리부검’의 의의와 한계 | 유가족에 대한 위로와 애도
‘극단적 선택’에 이르는 경로들
한국인의 82개 자살 위험요인 | 생애주기ㆍ연령대별 자살 요인 | 10대 청소년: 따돌림, 학교폭력 | 20-30대: 청년 여성 자살률의 증가 | 30대 직장인: 고용문제와 ‘직장 내 갑질’ | 40-50대 중년 남성: 자살자도 가장 많은 세대 | 40-60대 중장년 여성: 돌봄, 가족, 갱년기 우울의 문제 | 최고의 노인 자살률, 고통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의 자살
알면서도 고치지 못하는 것: 자살 문제의 전망
노동과 자살: ‘과로’와 직장인 자살의 경로 | ‘잔인성의 체계’의 최전선 | 자살예방사업 업그레이드? ‘사회적 정신건강’을 향한 길 | ‘자기책임주의’라는 이데올로기의 덫 | ‘죽음의 스펙터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