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고드 이코노미

도서명:에르고드 이코노미
저자/출판사:권오상/미지북스
쪽수:284쪽
출판일:2023-09-30
ISBN:9791190498524
목차
들어가는 말: 새로운 경제학을 찾아서
1장 왜 기존 경제학으로는 세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가?
- 대답 없는 메아리가 된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질문은 무엇이었나
- 경제학의 핵심에는 어떠한 주장들이 존재하는가
- 사람을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여기는 데서 경제학은 시작된다
- 경제적 이익이 확정된 게 아니라면 어떻게 선택할 수 있을까
- 인간은 돈이 아니라 효용의 기댓값을 최대화하는 존재다
- 두 명의 베르눌리가 숙고했던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설은 무엇일까
- 국가의 경제를 대변한다는 국내총생산은 어떻게 계산되는가
- 이익의 기댓값을 최대화하면 막상 무슨 일이 벌어지나
- 국내총생산의 증가가 국민 모두에게 좋은 일이라고 말해도 될까
2장 새로운 패러다임, 에르고드 이코노미
- 월가의 현자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가 처음으로 균열을 감지하다
- 물리학자 루트비히 볼츠만이 에르고드 개념을 세우다
- 에르고드는 에너지의 길을 뜻한다
- 경제와 에르고드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나
- 우리는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을 살 뿐 평행우주를 살지 않는다
- 돈이 불어나는 과정과 경제는 덧셈일까 곱셈일까
- 경제학의 에르고드 가정을 찾아낸 사람은 누구였을까
- 다니엘 베르눌리가 저지른 실수는 무엇이었나
- 라플라스의 신사다운 수정을 카를 멩거가 완전히 오해하다
3장 에르고드 경제학의 목적: 일차원이 아닌 다차원의 세계관
- 경제란 곧 사람의 살림이다
-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는 누구의 말이었을까
- 합리성은 단순한 계산 능력에 지나지 않으며 이성과 다르다
- 한 가지 기준으로만 행동하는 경제학 인간을 다른 말로 한다면
- 에르고드 경제학은 일차원이 아닌 다차원의 목적을 가진다
- 애덤 스미스는 사리사욕과 자신의 염려를 분명하게 구별했다
- ESG와 임팩트 투자의 등장이 놀랍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4장 에르고드 경제학의 시간: 단기적 이익이 아닌 장기적 성장의 극대화
- 19세기 크레디모빌리에와 21세기 제네럴일렉트릭의 공통점은 뭘까
- 경제학은 단기적 관점의 이익을 계산하고 챙기라고 말한다
- 에르고드 경제학은 단기적 이익이 아닌 장기적 성장을 극대화한다
- 리스크와 손실 혐오는 불합리가 아니라 장기적 생존 추구의 결과다
- 효용에 관한 코펜하겐 실험은 우리에게 무엇을 알려주나
- 에르고드의 잘못된 가정이 아닌, 진정한 확보가 장기적 성장을 이끈다
- 어떻게 삶 자체를 에르고드하게 만들 수 있을까
5장 에르고드 경제학의 지표: 소수의 부자가 아닌 모두의 성장 추구
- 효율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만든 분야는 물리학과 기계공학이다
- 경제학의 최적과 효율은 오직 일차원적인 전체에만 관심을 둔다
- 불평등한 세계의 동역학은 균형을 믿는 경제학과 어떻게 다를까
- 왜 극소수의 승자가 사실상 모든 파이를 독차지하게 되는가
- 에르고드 경제학은 소수의 부자가 아닌 모두의 성장을 추구한다
- 국내총생산과 1인당 국민소득을 대신할 국내민주생산은 무엇인가
- 옵션 이론의 기하브라운 운동은 부의 재분배에 관해 무엇을 알려주나
나오는 말: 방탄복과 국가 경제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