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도서명:초기불교
저자/출판사:박광준/민족사
쪽수:446쪽
출판일:2020-12-30
ISBN:9791189269777
목차
머리말·5
서장: 초기불교를 어떻게 탐구할 것인가?
1. 초기불교에의 접근·21
비교종교적 관점·21 비교경전적 관점·24
경전 활용과 한역 경전 문제·28
2. 초기불교에 관련된 네 가지 쟁점·29
쟁점 ①: 깨달음의 조건은 무엇인가?·29
쟁점 ②: ‘육년고행설’이라는 오해는 어떻게 고착화되었는가?·31
쟁점 ③: 붓다는 윤회를 어떻게 보았는가?·33
쟁점 ④: 붓다 업론과 바라문 업론은 어떻게 다른가?·35
3. 초기불교 관련 용어·37
불교·37 한국 역사에서 본 불교라는 용어·38
불교의 시작·40 초기불교란?·43
4. 초기불교 경전과 참고문헌·46
초기불교 경전이란: 남전과 북전·46
초기불교 경전 번역본과 참고문헌·50
제1부: 연기론적 관점에서 본 붓다와 불교 경전
제1장 붓다 탄생의 땅, 고대 인도·57
1. 인도의 역사·문화적 풍토·57
붓다 사상을 연기론적으로 보기·57
인도의 종교 및 사상들과 공유한 핵심 용어들·59
불교 경전의 문화적 해석·61 인도의 역사·문화적 풍토·64
2. 아리안, 베다 및 우파니샤드·66
아리안의 이동·66 ‘베다’란?·68
바라문 출가자·70 우파니샤드·73
3. 바라문교와 인간 차별의 사회문화·76
바라문계급과 ‘진정한 바라문’·76 인간 차별의 풍토: 카스트제도·79
수행자로서의 바라문·81 지배 이데올로기로서의 바라문교·84
4. 베다질서에의 도전·88
이단설에 대한 관용성·88 해탈사상의 대두·90
슈라마나의 기본 수행법: 고행과 명상·92
베다에 도전한 사상가들·95 자이나교·97
5. 불교 탄생의 정치·경제적 배경·100
정치적 배경의 중요성·100 신분제 동요와 공화제·103
농업발전과 상인계급의 대두·105
제2장 인간 붓다와 초기불교·108
1. 인간 붓다·108
길 위의 사람, 붓다·108 완전히 건넌 사람, 붓다·112
깨달음과 전법(傳法)의 삶·115 법(다르마)·118 승가와 계율·120
2. 초기불교 경전 성립과정·123
경전 결집의 경위·123 암송에 의한 법의 전승·125
근본분열과 2차 결집·127 비중앙집권 전통과 승가의 다양성·130
1차 결집 이후 경전 편집·133 부파불교를 거쳐서 전해진 경전·135
3. 초기경전 시기 구분과 경전 내용 차이: 출가와 입멸·137
초기경전 시기 구분과 그 필요성·137 초기경전 시기 구분의 방법·139
출가 동기에 관하여: 설화와 초기경전·141
최고층 경전으로 본 출가 동기·144
붓다 입멸에 관련된 경전과 그 해석·147 춘다의 공양에 관하여·151
4. 초기불교의 특성·156
인간 평등의 승가·158 불가촉천민 및 여성의 수용·160
교리의 합리성과 객관성·164 현실주의 내지 현장주의·166
도덕적 행위론, 그리고 전통과 개혁의 조화·169
제3장 경전의 중국 전파와 한역·172
1. 설법 기록과 대기설법·172
대기설법이 담긴 경전·172 엄격한 계급사회와 설법·174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설법·178 선택적 설법·180
질문만 있고 대답이 없는 경우: 무기(無記)·183
2. 불교의 중국 전파·188
경전 언어와 전파·188 불교의 중국 전파·191
인도와의 문화교류와 중국 독자적 발전·193
3. 중국 전파를 전후한 인도불교: 대승불교의 발흥·196
인도불교의 역사·196
불교 교리는 왜 이론화되었는가: 내부경쟁과 타종교와의 경쟁·198
대승불교와 밀교·202 인도에서의 불교 소멸과 그 시사·206
재가신자의 성격 변화·209
4. 경전 한역과 한역 경전의 문제·211
인도 경전의 한역: 용어 문제·212
불교에 대한 중국의 파격적 예우·215
한문 번역의 과정과 절차·217 가부장적 내용의 주입·221
지의(智?) 교판론의 악영향·223 한반도불교에의 영향·226
제2부: 초기불교에 관한 네 가지 쟁점
제4장 깨달음의 조건 및 의미·231
1. 붓다 및 깨달음의 조건·231
붓다의 조건 ①: 깨달음·231
붓다의 조건 ②: 자비와 완전한 인격·233
깨달음의 조건 ①: 철학적 지식과 소양·236
깨달음의 조건 ②: 태만 및 바르지 않은 수행방법 멈추기·240
2. 연기법과 그 사회성·244
연기법의 의의·244 깨달음의 사회성·247
연기론적 신체관: 오온가화합·250
3. 문제 해결 방법 발견으로서의 깨달음: 팔정도와 사성제·253
문제 해결 방법의 발견·253 완전한 깨달음·255
사성제·257 달라이 라마의 사성제론·259 팔정도·261
4. 신앙이자 수행방법으로서의 팔정도·263
수행의 전제와 실천수행·263 신앙으로서의 정견·266
제5장 ‘육년고행설’에 관하여·270
1. 고행과 수행에 관한 두 가지 쟁점·270
육년고행설의 오해·270 계율이 의미하는 것·273
2. 고행의 의미와 붓다의 고행관·277
고행의 내용과 관련 개념·277 초기경전에 나타난 고행·280
붓다가 행한 고행·283 극단적 고행을 버린 이유는 무엇인가?·287
육년고행설은 왜 고착화되었는가?·290
3. 붓다의 신체관과 수행·293
붓다의 신체관·293 유물론‘적’ 신체관·295
신체는 바른 수행의 조건·297
4. ‘악마’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깨달음 이후의 수행·300
악마는 왜 등장하는가·300
유혹을 뿌리친다는 것: 붓다 만년에 등장하는 악마·302
제6장 윤회에 관하여·306
1. 윤회의 의미와 관점·306
윤회적 사고·306 붓다의 삶을 도외시한 윤회 논의·308
윤회의 개념·310 경전상의 첫 용례·313
2. 바라문교의 윤회관·315
오화이도설·315 인도의 죽음 문화·317 아트만이란 무엇인가·320
3. 무아설과 비아설·324
삼법인과 무아·324 초기경전의 비아·326
붓다는 왜 무아를 명언하지 않았는가?·330
버려야 할 자기와 추구해야 할 자기·332
4. 붓다의 윤회관·334
대승불교 및 밀교의 입장·334 초기경전의 윤회관·338
붓다 윤회관의 추정·340 윤회를 수용한다는 것·343
윤회에 대한 무기가 의미하는 것·346
제7장 업론과 ‘인-연-과’·349
1. 업의 정의와 그 구속력·349
바라문교 업론·349 붓다가 본 업의 주체·351
카스트를 설명하다·353
2. 붓다 업론의 특징·356
보편적 규범을 지킨다는 것·356 이숙인 이숙과의 논리구조·359
과거업을 수용한다는 것: 업의 소멸·361
3. 붓다 업론의 구조와 시사점·362
‘인-연-과’(因-緣-果)·362 한 열차사고로 본 업론·364
현재 중심의 업론·366 자기 책임론과 『신 없는 사회』의 시사점·368
4. 문화의 관점에서 본 업·372
문화로서의 생활 습관·372 공업과 문화전승·375
종장: 붓다의 길 따라 걷는다는 것
1. 자신(自信)을 가진 삶·386
2. 인간과 사회를 연기적으로 보기·392
3. 오직 법의 길만을 걷기·398
4. 멈추기에 도전하기·403
5. 타인의 고통 해소에서 가치 찾기·409
6. 제념(諦念)하기·414
ㆍ 찾아보기·419
ㆍ 사진과 해설·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