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불교건축의 역사
도서명:조선시대 불교건축의 역사
저자/출판사:홍병화/민족사
쪽수:232쪽
출판일:2020-08-31
ISBN:9791189269685
목차
추천사 / 윤대길(서울시 전통사찰위원) - 4
머리말 - 8
15세기 불교건축 - 18
- 명분으로서의 억불과 전통으로서의 불교
ㆍ 외유내불, 명분과 습관 - 18
ㆍ 불교와 유교의 연합, 외유내불의 불씨 - 20
ㆍ 효와 능침사 - 24
15세기의 배치 계획 : 능침사의 부상 - 28
ㆍ 고려 말 남중국 간화선풍의 유행과 회암사 - 28
ㆍ 조선 초 왕실원찰의 보편성 - 35
ㆍ 태조의 흥천사 창건과 고려의 유습 - 36
ㆍ 진관사의 수륙사 - 38
ㆍ 조선 초 왕실원찰의 두 종류 - 39
ㆍ 조선 초 왕실원찰의 대표성 - 44
ㆍ 안마당에 면한 요사의 성격 - 49
15세기의 구조적 건축형식 : 새로운 시대의 공포, 익공 - 52
ㆍ 건축형식을 구분하는 방법 - 52
ㆍ 공포의 독자성과 가구법의 통일성 - 56
ㆍ 공포의 다양함은 활발한 생명력이 원천 - 62
16세기 불교건축 - 69
- 성리학의 완고함과 불교건축의 잠재력
ㆍ 사림의 등장과 기신재의 퇴조 - 69
ㆍ 산릉제사의 두 가지 성격과 기신제의 정착 -71
ㆍ 과거의 지위는 잃었지만 생활 속에서는 건재한 불교 - 72
ㆍ 문정왕후와 보우, 그리고 불교 - 74
ㆍ 수륙재의 성행과 불교에 대한 새로운 경험 - 75
ㆍ 조선을 전후기로 구분하는 역사적 사건,
임진년 왜구들의 침략 - 77
16세기의 배치 계획 :사라진 시기, 미지의 공간 - 78
ㆍ 청평사와 기신재 - 78
ㆍ 사대부들의 원찰, 분암 - 82
ㆍ 수륙재의 유행과 중심사역 - 88
ㆍ 문루의 초기 형식 - 90
16세기의 구조적 건축형식 : 부족함 속에 감춰 놓은 완성된 건축 - 94
ㆍ 익공과 다포의 각축, 주심포의 퇴장 - 94
ㆍ 동아시아 건축에서 최고의 발명품, 익공 - 102
ㆍ 공포형식과 가구법의 상관성 - 104
17세기 불교건축 - 108
- 후원 세력의 교체와 사회의 보수화
ㆍ 새로운 전기를 맞은 불교계 - 108
ㆍ 재조지은의 강조와 불교의 현실적 필요성 - 110
17세기의 배치 계획 : 능침사의 복구와 수륙재의 대유행 - 113
ㆍ 재현되는 능침사의 건축 계획 - 113
ㆍ 기록으로 본 17세기의 대형 사찰 - 120
ㆍ 기록으로 본 17세기 산중소찰 - 123
ㆍ 현존하는 17세기 산중소찰 - 128
ㆍ 대형 불전의 유행 - 131
ㆍ 천왕문의 성행 - 133
ㆍ 명부전, 나한전의 유행 - 139
ㆍ 정문의 일반화 - 141
17세기의 구조적 형식 : 새로움의 수용과 전통의 고수 - 146
ㆍ 불교건축과 관영건축의 공포 차이 - 146
18세기 불교건축 - 153
- 문중불교의 강화와 대중불교의 심화
ㆍ 각종 역의 전가와 원당의 유치 - 153
ㆍ 백성의 경제적 성장과 후원자의 증가 - 157
ㆍ 법통의식의 강화와 향촌사회의 하위 파트너 - 158
ㆍ 동원되는 승려, 충신이 된 승려 - 160
ㆍ 화엄 공부와 불교계의 결속 - 163
18세기의 배치 계획 : 중창의 시대 - 167
ㆍ 임란 이후의 첫 중창 - 167
ㆍ 문루의 대형화 - 169
ㆍ 문루와 합쳐지는 정문 - 173
ㆍ 요사의 대형화 - 176
ㆍ 요사의 종류 - 180
ㆍ 새로운 대중공간의 등장 - 183
ㆍ 안마당에 면하는 또 다른 법당들 - 186
18세기의 건축형식 : 화려함의 극치, 날개를 닮은 공포 - 187
ㆍ 익공의 전성시대 - 187
19세기 불교건축 - 193
- 사회적 혼란과 불교의 선택
ㆍ 극심한 혼란과 불교의 신앙적 역할 - 193
ㆍ 활발한 보사활동과 사찰계 - 195
ㆍ 하삼도에서 서울·경기 지방으로 - 199
19세기의 배치 계획 : 사람들이 모이면 힘이 쌓인다 - 201
ㆍ 불교건축의 빛나는 성과, 대형요사(대방) - 201
ㆍ 산문체계의 위축과 신중도의 유행 - 208
ㆍ 수행보다는 신앙의 가람 - 211
ㆍ 대중의 새로운 선택과 불교건축 - 217
19세기의 건축형식 : 마감과 시작 - 219
ㆍ 의장보다는 공간의 건축 - 219
찾아보기 -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