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과 지혜 수행입문

도서명:선정과 지혜 수행입문
저자/출판사:원환선 , 남회근/마하연
쪽수:572쪽
출판일:2024-06-15
ISBN:9791185844183
목차
방법의 요점 ... 17
계정혜 삼학을 부지런히 닦으라 17 | 의지가 예사롭게 여김에 빠져 있다 18 | 마음이 태만함에 빠져 있다 21 | 계학(戒學) 22 | 정학(定學) 25 | 승묘지관(勝妙止觀) 27 | 수순지관(隨順止觀) 27 | 혼침(昏沈) 28| 도거(掉擧) 28 | 지관을 닦기 전에 갖추어야 할 기본 사항 41 | 지관수행 중의 보조 행 43 | 혼침과 도거를 없애는 올바른 수행법 46| 혜학(慧學) 48 | 본체의 작용에 따라 집착을 없애다 53 | 인연으로부터 깨달음에 들어가다 53 | 문자에 의지하다 54 | 화두참구 54 | 화두법문의 연기 55 | 화두법문의 뛰어남 60 | 화두참구법 61|화두참구의 갈림길 65 | 화두의 선택 67 | 화두참구를 끝냄 68
제2강 선(禪)의 수습과 참선(參禪) 방법 요점 ... 71
비로자나불 칠지좌법 73 | 선정 초보 수행의 입문방법 87 | 안색법문(眼色法門) 89 | 이성법문(耳聲法門) 92| 비식법문(鼻息法門) 101 | 신촉법문(身觸法門) 102 | 의식법문(意識法門) 104 | 정(定)과 혜(慧)의 영상(影像) 108| 무엇이 정(定)인가 109 | 산란 110 | 혼침(昏沈) 112 | 참선지월(參禪指月) 120
제3강 선정쌍수(禪淨雙修) 조화론 ... 151
염불 입문 방법 153 | 염불의 성과 157
제4강 관무량수불경의 대의 ... 161
정토삼경의 높고 낮음 161 | 선(禪)ㆍ유식(唯識)ㆍ정토(淨土) 165 | 관상(觀想)과 염불 168 | 대도가 쇠퇴하니 인의도덕을 제창하다 172
제5강 선관(禪觀) 연구 ... 249
정좌자세-칠지좌법 249 | 정좌와 칠지좌법(七支坐法) 249 | 칠지좌법의 요점 250 | 정좌 환경과 주의사항 251 | 칠지좌법에 대한 전설 253 | 정좌의 기본지식 253 | 반드시 생리(生理)와 의학적 이치를 알아야 한다 254 | 정좌 자세의 교묘한 운용 256 | 올바른 정좌 효과 256 | 수증과 방법 257 | 수증(修證)의 중요성 257 | 수증의 길 258 | 수행의 핵심 이치 258 | 불법의 기초 259|선ㆍ선종ㆍ선학 259|십념법 260 | 맺는 말 265 | 육묘법문 265 | 수(數): 호흡을 헤아림 266 | 수(隨): 호흡에 맡겨둠 269 | 지(止): 숨과 잡념이 멈춤 270 | 관(觀): 망상미혹을 관찰함 270 | 환(還): 법신ㆍ반야ㆍ해탈로의 전환 271 | 정(淨): 청정법신의 정토 271 | 한 생각 사이에 육묘법문을 갖추고 있음 272 | 육묘법문 지관의 인식과 실천 272 | 지(止)에서 정(定)에 이르고, 정에서 신통을 발하고, 정을 얻어 관을 일으킴에 대한 인식 274 | 천태종 삼관의 이론과 실천 278 | 밀종 관상의 이론과 실천 280 | 결어 284 | 염신법문에 대한 기본 인식 286 | 염수ㆍ염심ㆍ염법ㆍ염신 286 | 색심일원(色心一元)의 수행원리 289 | 염신법문에 대한 인식 292 | 티베트 밀교의 염신법문 292 | 중국 도가의 염신법문 293 | 불가의 염신법문 294 | 종합설명 297 | 결어 299
제6강 반야정관(般若正觀) 요약 강의 ... 325
보현행으로부터 삼마지에 들다 325 | 진무진법문(盡無盡法門)을 배워야 한다 328 | 반야심경은 반야법문의 정수 329 | 어떻게 괴로움을 마칠 것인가 먼저 관상(觀想)을 중시하라 334 | 조견오온개공(照見五蘊皆空) 337 | 소승불법을 어떻게 선정 수행할 것인가 339 | 반야가 곧 무상의 주문이다 340 | 색과 공의 문제 342 | 색불이공(色不異空) 공불이색(空不異色) 345 | 수상행식(受想行識) 역부여시(亦復如是) 347 | 한 가지 주문을 가르쳐 드리지요 350 | 공속에서 공을 얘기하는 것 모두 다 빈 말이다 351 | 5온이 공하고 나서는 본성에 의지하여 닦기 시작하다 354 |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356 | 관(觀)과 조(照)는 같은가 다른가 357 | 반야를 바르게 수행하면 사실과 이치가 반드시 원융하다 359 | 불법수행은 유심유사(有尋有伺)부터 시작하라 363 | 6경 바람이 6식 물결에 불어도 따라 구르지 않는다 365 | 가만 가만 심두로부터 관을 일으키라 369 | 선종에 나오는 한 이야기 371 | 고통은 나로부터 오고 나가 있으면 고통이 있다 374 | 4대가 당신에게 장애가 되지 않는다 377 | 고통을 받은 만큼 업장이 녹는다 379 | 착한 생각 악한 생각 모두 달라붙지 못한다 382 | 생사가 본래 공하니 두려워할 게 없다 384 | 견성 해탈하여 주관과 객관이 둘 다 사라지다 387 | 자기를 제도하라 빨리 빨리 자기를 제도하라 389
제7강 관음법문 강의 ... 397
제8강 어떻게 염불해야 일심불란의 경지에 도달할까 ... 437
일심으로 정토법문에 귀의함 437 | 몇 사람이나 염불이 일심불란을 얻었을까 440 |****사경과 결합시켜 참구해야 한다 443 | 염불할 때는 온 마음 온 뜻으로 생각하라 445 | 염불 관련 우스개 이야기 한 토막 447 | 임종 때 왜 염불이 ****될까 449 | 자기를 속이고 남을 속이고 남에게 속임을 당하고 452 | 마음에 오로지 이 한 생각만 걸려 있어야 455 | 곤궁이 극에 달하면 하늘을 부르고 고통이 극에 달하면 부모를 부른다 457 | 완공정(頑空定) 염불법 459 | 정념만 유지하고 망상의 검은 연기는 상관 말라 462 | 생멸이 사라지고 나면 적멸이 즐거움이다 464
제9강 대업왕생(帶業往生)과 소업왕생(消業往生) ... 469
(부록 1) 37조도품 ... 505
(부록 2) 허운대사(虛雲大師) ... 533
저자소개 ... 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