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의료산업의 시장동향과 한의약 이용실태 및 정책 추진방향
도서명:한방의료산업의 시장동향과 한의약 이용실태 및 정책 추진방향
저자/출판사:RIsearch센터/산업정책분석원
쪽수:539쪽
출판일:2018-05-23
ISBN:9791185782300
목차
제1편 보건/의약품산업
제Ⅰ장 보건산업 동향과 생명공학 육성 정책
1. 보건산업과 정책 현황
1) 보건산업의 특성과 의료서비스산업
(1) 보건산업의 특성
가. 미래 신성장동력산업
나. 인구고령화에 따른 보건산업 수요증가
다. 세계 보건산업의 급속한 성장세
라. 고부가가치산업
마. 일자리 창출
바. 공공재적 성격
사. 타 산업·기술과의 융합과 빠른 변화
(2) Healthcare Trend 2018
가. 보건의료분야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 확대
나. 소비자참여와 환자경험의 중요성 증대
다. 디지털헬스와 보안의 중요성 강조
라. 기술발전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
2) 보건산업에 대한 국내외 육성정책
(1) 보건산업에 대한 국내 육성정책
가. 보건산업 관련 국내 육성정책 수립 현황
나.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 ('13~'17)
다. 바이오헬스 미래 신산업 육성 전략
라.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 ('16~'20)
(2) 보건산업에 대한 국외 육성정책
가. 미국
나. 영국
다. 일본
라. 중국
3)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현황과 과제
(1) 개요
(2)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외국의 경험과 가치 창출 기전의 이해
가. 영국과 미국의 국가적 접근과 시사점
나.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의 가치 창출 기전과 사업 분류
(3) 국내 보건의료 데이터 현황과 활용의 한계
(4) 보건의료 빅데이터 관련 정책 현황
(5)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공익적 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
가. 보건의료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 촉진을 위한 국가적 거버넌스 구축
나. 품질 향상 측면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전략 수립
다.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전략적 접근
2. 국가 생명공학 육성 정책
1) 보건의료분야 생명공학 육성
(1) 개요
가. 필요성
나. 보건복지부 R&D 사업 추진체계
(2) 추진 경과
(3) 주요 정책
(4) 주요 사업
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나. 한의약연구개발사업
다. 암정복추진사업
라. 질병관리연구사업
(5) 향후 계획
가. 보건의료 R&D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나. R&D 투자확대를 위한 투자재원 다양화
다. R&D 평가관리의 전문성 및 효율성 제고
라. 실용화 성과창출 생태계 조성
2) 보건의료 연구개발 및 관련 산업 현황
(1) 노화과학
가. 개요
나. 해외 동향
다. 국내 현황
라. 발전 과제
(2) 합성신약
가. 개요
나. 해외 동향
다. 국내 현황
라. 발전 전망
(3) 바이오의약품
가. 개요
나. 해외 동향
다. 국내 현황
라. 발전 전망
(4) 진단 및 의료기기
가. 개요
나. 해외 동향
다. 국내 현황
라. 발전 전망
(5) 보건바이오 공정 (BT+ICT)
가. 개요
나. 해외 동향
다. 국내 현황
라. 발전 과제
3)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1) 개요
(2) 주요 내용
가. 글로벌 현황 및 우리의 현주소
나. 비전 및 목표
다. 전략
(3)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호기 비전 및 전략(안)
가. (전략 1) 글로벌 최초를 지향하는 바이오 R&D혁신
나. (전략 2)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을 책임지는 바이오경제 창출
다. (전략 3) 민간 주도 바이오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 생태계 기반 조성
제Ⅱ장 의약품산업의 주요 동향 분석
1. 세계 의약품 산업 현황
1) 의약품 산업 개요
(1) 의약품 시장 규모
(2) 의약품 시장 특징
2) 의약품 시장 주요 트렌드
(1) 바이오의약품의 부상
가. 개요
나. 진화
다. 종류
라. 변화
마. 바이오시밀러의 개발
(2) 아웃소싱 서비스 시장 확대
가. CMO
나. CRO
(3) M&A, 전략적 제휴 확대
가. M&A
나. 전략적 제휴
3) 의약품산업의 대응전략 및 정책 방향
(1) 세계 의약품 산업의 경쟁구도
(2) 주요 해외 신흥기업 성장 전략
가. 이스라엘 Teva
나. 미국 Gilead
다. 일본 Takeda
(3) 주요 국가 바이오의약품 지원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이스라엘
다. 일본
라. 중국
(4) 국내 바이오의약품산업의 대응방향
가. 환경변화
나. 제약기업의 역량
다. M&A의 활용
라. 정부의 지원
2. 바이오헬스 산업현황
1) 바이오헬스 개념
(1) 바이오헬스 산업
가. 바이오의약품
나. 맞춤(정밀)의료
다. 재생의료
(2) 바이오산업
(3) 바이오사이언스
2) 국내외 바이오헬스 산업현황
(1) 바이오의약품
가. 세계시장 동향
나. 국내시장 동향
(2) 유전자치료제
가. 세계시장 동향
나. 국내시장 동향
(3) 줄기세포·재생의료
가. 세계시장 동향
나. 국내시장 동향
3) 신시장·신제품 창출을 위한 국내외 정책 동향
(1) 글로벌 헬스케어산업
가. 의료기관 해외 진출(Out-Bound) 현황
나. 외국인 환자 유치 정책 (In-Bound)
(2) 바이오약품산업
가. 바이오의약품 R&D 지원 동향
나. 임상시험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3) 첨단의료제품산업
가. 유전체·맞춤의료
나. 줄기세포·재생의료
다. 바이오장기
3. 천연물 의약품 산업현황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2)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가.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로 만성복합질환 증가
나. 천연물 의약품에 대한 정책적 지원
다. 높은 R&D 투자 효율성
라. 천연물에 대한 경험적 지식과 풍부한 정보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천연물의약품 개발 및 허가 전략
(1) 서론
(2) 개발 및 허가 전략
가. 의약품 개발과 허가
나. 천연물의약품 허가의 특징
다. 임상시험 승인 시 필요한 자료
라. 천연물의약품 임상시험 수행 시 고려할 사항
(3) 시사점
제2편 한방/한의약산업
제Ⅰ장 한방산업의 시장동향과 R&D 현황
1. 한의학 및 전통의학의 연구현황
1) 한의학의 개요
(1) 한의학의 정의 및 범위
가. 한의학의 정의
나. 한의학 기술의 범위
다. 한의학의 범위
(2) 한의학 건강보험 정책 추이
2) 한의학 연구현황 및 주요국의 R&D 규모
(1) 한의과대학 정부지원 연구센터별 사업현황
가. 경희대학교 한의과학사업단 (BK21PLUS)
나. 경희대학교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KMCRIC)
다. 대구한의대학교 방제과학글로벌연구센터 (MRC)
라. 대구한의대학교 중독제어연구센터
마. 대전대학교 난치성 면역질환의 동서생명의학연구 지역혁신센터 (RIC)
바. 부산대학교 (BK21PLUS) 건강노화 한의전문인력 양성팀
사. 부산대학교 건강노화한의과학연구센터
아.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 (RIC)
자. 원광대학교 한방체액조절연구센터 (MRC)
(2) 주요국가의 전통의약학 및 통합의학의 R&D 규모
3) 전통의학 수용의 특징과 역사적 전개
(1) 전통의학 수용의 유형
(2) 중의학 위상 변화의 역사적 전개
가. 중국 중의학의 위상 변화
나. 대만 중의학의 위상 변화
2. 한방산업 시장 현황
1) 한약재 및 한약제제 시장 현황
(1) 한약재
가. 한약재(인삼류 제외) 생산 현황
나. 한약재(규격품) 제조 현황
다. 한약재 수출입 현황
라. 한약재 시장 현황
(2) 인삼류
가. 인삼류 생산 현황
나. 인삼류 제조 현황
다. 인삼류 수출입 현황
(3) 한약제제 생산현황 및 임상시험계획서 (변경)승인 현황
가. 한약제제 생산 현황
나. 한약(생약)제제 관련 임상시험계획서 (변경)승인 현황
(4) 보완대체(약초) 효능 현황
가. 에이에이치씨씨 (AHCC,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나. 다당류 K (PSK, Polysaccharide K)
다. 노니 (Noni)
라. 덩굴월귤 (Cranberry, 크렌베리)
마. 미슬토 (Mistletoe)
바. ****쿠스 (Agaricus)
사.****모밀 (H. cordata)
아. 뽕나무 (Morus)
자. 가시오갈피 (Siberian ginseng)
차. 밀크티슬 (Milk Thisle)
카. 버섯
타. 기타
2) 한의 의료기기 시장 현황
(1) 주요 한의 의료기기 생산 현황
(2) 주요 한의 의료기기 수출입 현황
3) 지역 한방산업 동향
(1) 지자체 한방산업 추진 현황
가. 대구광역시
나. 경상북도
다. 제천시
라. 산청군
마. 금산군
(2) 지역 한방산업 관련 기관 현황
가. 한약진흥재단
나. 제주한의약연구원
4) 해외 의학 시장과 중의병원 현황
(1) 국외 전통의약학 및 통합의학 시장 동향
(2) 중의병원 조사 사례
가. 중의과학원 광안문병원 (中國中醫科學院廣安門醫院)
나. 선무중의병원
다. 중의과학원 서원병원 (中國中醫科學院西苑醫院)
라. 북경중의병원 (北京中??院, 콴지에?街중의병원(별칭))
마. 상해중의약대학부속 서광병원 (上海中??大?附? 曙光?院)
바. 상해중의약대학부속 용화병원 (上海中??大?附? ???院)
5) 의약품(한약재 등) 통계 연보
(1) 업체 현황
(2) 산업 현황
(3) 수·출입 현황
(4) 감시 현황
(5) 허가·신고 현황
(6) 수거·검사 현황
제Ⅱ장 한약 소비 및 이용 실태와 생산현황
1. 한약 소비실태 현황
1) 한방의료서비스 부문(한의원) 조사분석 현황
(1) 일반 현황
가. 진료분야
나. 의과와 진료협약 유무
다. 타 한방기관과 진료협약 유무
라. 프랜차이즈 또는 네트워크 가입 유무
마. 의료기관 평가인증 유무
(2) 진료 현황
가. 입원 연환자 수
나. 외래 연환자 수
다. 탕약 처방 건수
라. 한약제제(탕약제외, 보험한약) 처방 건수
마. 한약제제(탕약제외, 비보험한약) 처방 건수
(3) 선호 제형 및 이유
(4) 탕약 및 한약제제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가. 2015년 대비 2016년도 탕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나. 2015년 대비 2016년도 한약제제(탕약 제외, 보험한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다. 2015년 대비 2016년도 한약제제(탕약 제외, 비보험한약)의 처방(조제) 건수 변화
(5) 탕약 및 한약제제 용도별 비중 및 다빈도 처방명
가. 탕약 처방(조제)건 대비 용도별 비중
나. 한약제제(탕약제외, 보험한약) 처방(조제)건 대비 용도별 비중
다. 한약제제(탕약제외, 비보험한약) 처방(조제)건 대비 용도별 비중
라. 질환치료 시 탕약이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마.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탕약제외, 보험한약)가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바. 질환치료 시 한약제제(탕약제외, 비보험한약)가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질환
사. 질환치료 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탕약
아. 질환치료 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한약제제(탕약제외, 보험한약)
자. 질환치료 시 가장 많이 처방(조제)된 한약제제 (탕약제외, 비보험한약)
(6) 탕전의 이용형태 및 현황
가. 탕전 이용형태
나. 탕약 1제(20첩)당 최저가격
다. 탕약 1제(20첩)당 최고가격
(7) 한약재 구입처
(8) 사용한 한약재 가지 수 및 다소비 한약재
가. 사용한 한약재의 총 가지 수
나. 가장 많이 소비한 한약재
2) 한의과 다빈도 처방 및 요양급여 (한의병·의원)
2. 한방 의료이용실태 현황
1) 한방의료 이용 경험
(1) 평생 한방의료 이용 경험
(2) 한방의료 이용 경험이 없는 이유
(3) 한방의료 이용 경험 관련
가. 한방의료 이용을 위해 방문한 기관
나. 한방의료 이용 목적 - 분류1
다. 한방의료 이용 목적 - 분류2
라. 이용한 한방의료의 치료법
마. 한방의료를 선택하는 이유
바. 한방의료에 대한 부문별 만족도
사. 한방의료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아. 최근 한방의료 이용 시기
자. 평소 한방의료 이용 빈도
2) 한방의료에 대한 인식
(1) 한방의료 인지도
가. 한방의료에 대한 인지도
나. 한방의료에 대한 정보/지식 획득 경로
(2) 질환별 한방의료 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생각
(3) 한방의료 이용 비용에 대한 생각
가. 한방의료 이용 비용에 대한 생각
나. 비싸다고 생각되는 한방의료의 치료법
3. 한약재 생산 현황
1) 국산 및 수입한약재 현황
(1) 국산****용작물 생산 현황
(2) 한약재 수입 현황
2) 한약제제 생산실적
제Ⅲ장 한방의료관광 시장 현황
1. 한방의료관광 개요
1) 한방의료관광의 개념
2) 한방의료관광의 유형
(1) 한방의료자원 유형 분류
(2) 한방의료관광상품 유형 분류
(3) 한방의료관광상품 개발 현황
3) 한방의료관광의 의의와 클러스터 구축
(1) 의의
(2) 클러스터 구축
가. 클러스터의 기본개념
나. 클러스터의 발전단계
다. 클러스터의 경쟁력 제고요인
라. 국내 여건에 맞는 성공 가능한 한방 의료관광 클러스터의 컨셉 및 유형
2. 외국인환자 유치실적 및 해외 의료관광국 현황
1) 국내 외국인환자 유치실적 및 주요 국적별 특성
(1) 외국인환자 유치 실적총괄
(2) 주요 국적별 특성
가. 중국
나. 미국
다. 일본
라. 러시아
마. 몽골
바. 동남아시아
사. 중앙아시아
아. 중동
2) 해외 주요 의료관광국 현황
(1) 태국
가. 의료관광 현황
나. 의료관광 활성화 정책
다. 의료관광 사례
(2) 싱가포르
가. 의료관광 현황
나. 의료관광 활성화 정책
다. 의료관광 사례
(3) 말레이시아
가. 의료관광 현황
나. 의료관광 활성화 정책
(4) 인도
가. 의료관광 현황
나. 의료관광 활성화 정책
다. 의료관광 사례
(5) 헝가리
가. 의료관광 현황
나. 의료관광 활성화 정책
다. 의료관광 사례
3) 웰니스관광
(1) 웰니스관광의 개요
가. 웰니스의 개념
나. 웰니스관광 시장의 규모와 특성
다. 주요 웰니스관광 상품
(2) 웰니스관관 사례 분석
가. 태국 치바솜 헬스 리조트 (Chiva-Som International Health Resorts)
나. 싱가포르 리조트 월드 센토사 (Resorts World Sentosa)
다. 필리핀 더 팜 앳 산 베니토 (The Farm at San Benito)
라. 인도 스와스와라 (SwaSwara)
마. 제주 WE 호텔
바. 홍천 힐리언스 선마을
3. 한의약 해외환자 유치 시장조사 및 분석현황
1) 전략 대상국의 현지 인터뷰 조사현황
(1) 중국
가. 의료 및 해외 의료관광 현황
나. 중국인들의 특성 및 주요 질환
다. 한의학 인지도
(2) 일본
가. 의료 및 해외 의료관광 현황
나. 일본인들의 특징 및 주요 질환
다. 한의학 인지도
(3) 러시아
가. 의료 및 해외 의료관광 현황
나. 러시아인들의 특성 및 주요 질환
다. 한의학 인지도
2) 국가별 한의약 의료관광 유치전략
(1) 중국
가. 진료 시 주의점
나. 해외환자 유치전략
(2) 일본
가. 진료 시 주의점
나. 해외환자 유치전략
(3) 러시아
가. 진료 시 주의점
나. 해외환자 유치전략
3) 한방의료기관의 해외환자 유치 역량 강화를 위한 제****
(1) 해외환자 유치 사업과 의료서비스 특징 이해
가. 비시험성/불가촉성 (Intangible nature of services)
나. 다양성(혹은 변동성) (Variability)
다. 소멸성 (Perishability)
라. 동시성, 비분리성 (Inseparability)
마. 가격 결정의 복잡성 (Cost determination)
(2) 해외환자 유치 사업 시작을 위한 프로세스
가. 사업 방향 결정
나. 브랜드 기획
다. 서비스(상품) 개발
라. 미디어 구축 및 활용
마. 해외환자 유치 업체 연계 및 사업 확대
4. 한방의료관광 상품개발
1)한방의료관광 상품기획 컨셉 및 방향
(1) 맞춤형 한방의료관광상품
(2) 패키지 상품개발
2) 한방의료관광 상품기획 전략
(1) 방향성 정립
가. 연계를 통한 핵심기능의 강화
나. 의료관광객 수요 확보 측면
(2) 상품 Positioning
가. 한방의료관광객 수요확보의 관광객 유형별 흐름
나. 향후 상품 이용 가능성
제Ⅳ장 한의약 정부정책 추진현황
1.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 종합계획 (2017-2021)
1) 추진 배경 및 경과
(1) 추진 배경
(2) 추진 경과
2) 목표 및 추진 방향
3) 전략 과제
(1) 한국의료 패키지 진출 확대
가. 한국의료 연관산업 동반 패키지 수출
나. 진출 단계별 지원을 통한 민간역량 강화
다. 금융·세제·정보 지원
라. 한의약 세계화 지원
(2) 의료 ? 관광 ? IT 융합을 통한 외국인환자 유치 활성화
가. 의료?관광 융합 의료상품 확대
나. 한국의료 연관산업 동반 패키지 수출
다. 비의료서비스 등 맞춤 서비스를 통한 외국인환자 편의성 강화
라. 외국인환자 권익?안전 보호를 통한 신뢰도 제고
(3) 글로벌 진출을 위한 지역 특화 전략
가. 중국·아시아 전략
나. 중동·아프리카 전략
다. 러시아·CIS ?몽골 전략
라. 중남미 전략
(4) 글로벌 역량 강화
가. 국내 글로벌 헬스케어 인재 양성
나. 외국 의료인 국내 연수 확대
다. 지방 의료기관 글로벌 역량 강화
(5) 한국의료 브랜드 글로벌 위상 제고
가. 한국의료 브랜드 포지셔닝
나. 한국의료 해외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강화
다. 인류사회에 기여하는 한국의료
2. 조제한약(탕약) 현대화 시범사업 추진방향
1) 개요
2) 주요 내용
(1) 추진 배경
가. 한약에 대한 국민신뢰 지속적 저하
나. 조제한약(탕약)도 의약품으로 체계적 관리 필요
(2) 추진 방향
가. 조제한약(탕약)을 의약품 수준으로 생산·관리
나. 한의계와 협의 및 참여를 통해 점진적으로 추진
(3) 세부 추진방****
가. 조제한약(탕약) 현대화 시범사업 추진 ('17∼'20, 4년간)
나. 조제한약(탕약) 조제 기준 강화 ('21년∼)
다. 공용 탕약표준조제시설 인프라 구축 ('21년∼)
라. 조제한약(탕약) 임상연구기준 마련
마. 한의약 전체의 산업화 기반 조성
3. 제3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 (2016-2020)
1) 개요
2) 주요 내용
(1) 전통의약 시장 동향
(2) 국내 한의약 현황과 과제
(3) 제3차 주요 내용
가.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보급을 통한 근거 강화 및 신뢰도 제고
나. 보장성 강화 및 공적의료 확대를 통한 한의약 접근성 제고
다. 기술혁신과 융합을 통한 한의약 산업 육성
라. 선진 인프라 구축 및 국제 경쟁력 강화
3) 해외 전통의약(보완대체의학) 정책 추진 현황
(1) 중국, "정부 주도의 중의약 육성 추진”
(2) 미국,“이용 수요 증가에 따라 정부서 관심 갖고 육성”
(3) 유럽,“약초제품에 대한 안전성·유효성 검증 강화”
(4) 일본,“민간을 중심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한약제제 생산”
4. 한의약 표준화 전략 로드맵 (2015-2024)
1) 한의약 표준 국내외 동향 및 환경분석
(1) 거시환경분석
(2) 국내외 한의약 표준화 정책 동향
가. 국제기구의 표준화 동향
나. 국내 표준화 정책
다. 국외 표준화 정책 및 동향
라. 무역협정 및 기타 국제협약
(3) 국내외 한의약 기술 표준화 동향
2) 한의약 표준화 비전 및 표준화 총괄로드맵
(1) 표준화 역량 분석
(2) 한의약 표준화를 위한 분류체계 재정립
(3) 한의약 표준화 환경분석 - 표준화 추진분야 매핑
(4) 한의약 표준화 SWOT 분석
(5) 표준화 추진 분야 및 추진 전략 도출
(6) 한의약 표준화 미션 및 비전 수립
(7) 한의약 표준화 총괄로드맵 수립
3) 분과별 한의약 표준화 중장기 로드맵
(1) 표준화 아이템 상세분류체계 및 추진전략 확정
(2) 표준화 아이템 Pool 구성
가. 표준화 범위 설정
나. 표준화 아이템 Pool 구성
(3) 표준화 아이템 평가
가. 용어 및 의료정보 분과 아이템 정의
나. 한약 분과 아이템 정의
다. 의료기기 분과 아이템 정의
라. 한의약서비스 분과 아이템 정의
(4) 분과별 중점기술 선정
(5) 4개 분과 표준화 중장기 전략 로드맵 수립
5. (생약)제제, 한약재 분야 2018년 바이오생약국 소관 한약제조?유통관리 기본계획
1) 제조·수입자 감시
(1) 기본방향
(2) 세부시행계획
(3) 행정사항
2) 판매업자 감시
(1) 기본방향
(2) 세부시행계획
가. 정기감시
나. 수시감시
다. 기획감시
(3) 행정사항
3) 광고 감시
(1) 기본방향
(2) 세부시행계획
(3) 위반사항 조치
(4) 행정사항
4) 품질 감시
(1) 기본방향
(2) 세부시행계획
(3) 수거요령
(4) 기타 행정사항
5) 표시기재 감시
(1) 기본방향
(2) 세부시행계획
(3) 행정사항
6) 온라인 불법유통 감시
(1) 기본방향
(2) 세부시행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