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우일기 6 > 한국사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봉우일기 6 > 한국사

봉우일기 6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책미래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책미래
시중가격 35,000원
판매가격 35,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봉우일기 6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봉우일기 6

    9791185134710.jpg

    도서명:봉우일기 6
    저자/출판사:권태훈/책미래
    쪽수:624쪽
    출판일:2024-04-25
    ISBN:9791185134710

    목차
    서문: 《봉우일기(鳳宇日記) 6권》을 펴내며 11
    1962년(壬寅)
    6-1 휴지통에서 〈임인원단(壬寅元旦)〉이라는
    제하(題下)의 난초(亂草)를 보고 기록해둔다 24
    6-2 박 정권(朴政權)에 대한 나의 사견(私見) 27
    6-3 유의미취(有意未就: 뜻은 있으나 이루지 못함) 34
    6-4 임인년(壬寅年: 1962년)을 보내며 39
    6-5 계명성(啟明星)은 방광(放光: 빛을 내쏨)한 지 오래다 43
    1963년(癸卯)
    6-6 머리에 쓰고자 하는 말(1) 48
    6-7 계묘(癸卯: 1963년) 원단(元旦: 설날아침)을 맞이하며 59
    6-8 축사(祝辭) 64
    6-9 김진홍(金振洪) 군의 내방(來訪: 찾아옴)을 받고 67
    6-10 금년 내 내 사생활에 대한 계획 72
    6-11 금란계(金蘭契) 창설(創設)을 보고 76
    6-12 호리유차(毫釐有差: 털끝만큼 차이가 있음)에
    천양(天壤: 천지)이 이처(易處: 곳이 바뀜) 78
    6-13 금영훈(琴榮薰) 동지의 서신(書信)을 받고 82
    6-14 하동인 군의 서신을 보고 83
    6-15 수필: 민정이양 선언 이후의 국내 정치 상황 87
    6-16 수필: 이윤직 형의 ‘도덕평화론’과 나의 ‘백산운화, 장춘세계론’ 92
    6-17 사불가역도(事不可逆睹: 일은 미리 알 수 없음) 96
    6-18 수필: 5.16 혁명 이후 우리나라의 발전 가능성 예측
    6-19 (박정희의) 3.16 성명(聲明)을 보고
    6-20 진여심(眞如心) 옹(翁)을 만나고
    6-21 방송을 듣고
    6-22 수필: 5.16 군사정권의 부패상
    6-23 정국수습회담 후보(後報: 뒷소식)
    6-24 미 국무성에서 성명 발표를 했다
    6-25 낙엽송(落葉松)을 심고
    6-26 미통(米統: 미국 대통령)이 박정희에게 보낸 서한(書翰: 편지)
    6-27 박정희 장군의 4.8 성명을 듣고
    6-28 한의석(韓義錫) 옹(翁)을 방문하고
    6-29 당국자미(當局者迷)
    6-30 근(勤: 부지런함)
    6-31 역(力)
    6-32 족(足)과 분(分)
    6-33 수필: 내 일생약력(一生略歷)
    6-34 검(儉: 검소함)
    6-35 수필: 표군(表君)이 신병(身病)을 완치(完治)하고 귀가(歸家)함
    6-36 수필: 우리 민족의 역사를 살펴보며 박 정권을 비판한다
    6-37 서울대학생들의 침묵데모를 보고
    6-38 모 신문 사설(社說)을 보다가
    6-39 곡가폭등(穀價暴騰: 곡물 가격이 갑자기 치솟음)을 보고
    6-40 심여사위(心與事違: 마음과 일이 어긋남)
    6-41 기자폭행(記者暴行) 사건
    6-42 수필: 미국에서 태평양 방위권을 일본에게
    이양(移讓)할 조짐이 보인다
    6-43 차○○ 청년을 초대면한 내 소감
    6-44 수필: 공소비(空消費)가 많은 문화 행사들
    6-45 수필: 현실에 ****맞는 품삯을 달라는 사람들
    6-46 박정희 대통령 출마를 결정하다
    6-47 행주비각(幸州碑閣) 건립의 보(報)를 듣고
    6-48 백성은 무엇을 바라는가
    6-49 실천할 수 있는 이상(理想)
    6-50 농촌생활 실정(實情)의 대체(大體)
    6-51 박창화(朴昌和: 1889~1962) 옹(翁)을 추억함
    6-52 친교(親交: 친밀한 사귐)
    6-53 자과부지(自過不知: 자신의 잘못을 모름)
    6-54 수필: 마음에 없는 경제론(經濟論)을 써보다
    6-55 진퇴유곡(進退維谷)
    6-56 수필: 단합이 ****되어 발전이 없는 상신(上莘) 마을
    6-57 백홍관일(白虹貫日: 흰 무지개가 해를 꿰뚫다)
    6-58 수필: 지도자 자처하는 인물들의 한심한 정치 수준
    6-59 수필: 전통 체술법 습득으로 올림픽 35종목 금메달이 가능하다
    6-60 수필: 시골과 도시의 교육과 소득 차이
    6-61 미숙한 경제정책
    6-62 이 충무공의 정신(精神)
    6-63 이 책을 마지막으로 쓰며
    6-64 머리에 쓰고자 하는 말
    6-65 수월간(數月間: 몇 달간) 경과사(經過事: 지낸 일)
    ****초(略抄:****간을 적음)
    6-66 올림픽 위원회의 북한과 단일팀 구성의 통지를 받은 후
    6-67 수필: 고해상사(苦海常事)
    6-68 변영태 군이 정민회에서 대통령 입후보 지명을 받다
    6-69 박정희 군의 대통령 지명을 듣고
    6-70 송요찬 장군의 자민당에서 대통령 지명설을 듣고
    6-71 ‘국민의 당’ 전당대회 유회(流會: 회의가 성립 ****됨)의
    보(報: 소식)를 듣고
    6-72 수필: 1963년 대통령 선거의 각 정당 후보자들을 평함
    6-73 기몽(記夢: 꿈의 기록)
    6-74 수필: 마음 산란한 요즘 대통령 후보자들
    6-75 중추월(仲秋月: 음력 8월의 맑고 밝은 달)의 명명(明明) 소식
    6-76 영친왕전하(英親王殿下)께서 환국(還國)하신다는
    보(報: 소식)를 듣고
    6-77 허정(許政) 옹의 출마 사퇴설(辭退說)을 듣고
    6-78 리준 열사(烈士) 유해(遺骸: 유골)를 고국에
    봉안(奉安)한다는 설(說)을 듣고
    6-79 자민당 송(宋) 장군의 대통령 출마 사퇴의 보(報)를 듣고
    6-80 십일오(十一五) 투표를 하고 내 소감
    6-81 박정희, 대통령으로 당선되다
    6-82 수필: 오성취두(五星聚斗)와 우주무쌍(宇宙無雙)의
    대성자(大聖者) 대황조(大皇祖) 님
    6-83 기몽(記夢: 꿈의 기록)
    1965년(乙巳)
    6-84 이 책을 속기(續記: 이어 씀)하며
    6-85 을사년(乙巳年: 1965년)은 저물었다
    1966년(丙午)
    6-86 병오(丙午: 1966년) 원단(元旦: 설날 아침)
    6-87 윤황후(尹皇后) 붕(崩: 죽음)하시다
    6-88 박돈하 옹(翁)의 졸서(卒逝: 급서急逝, 갑자기 세상을 떠남)의
    보(報)를 듣고
    6-89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 인산(因山: 장례식) 방송을 듣고
    6-90 양대 조류(兩大潮流)의 장점과 단점
    6-91 〈중앙일보〉 독자투고(讀者投稿)를 보다가
    6-92 내게서 구(求: 찾음)하라
    6-93 노력(勞力: 힘들여 일함)은 일반(一般)이다
    6-94 자기의 죄과(罪過: 죄가 되는 허물)를 용서하지 마라
    6-95 정철수 옹의 내방(來訪)을 보고
    6-96 수필: 간서유감(看書遺憾)
    6-97 차영갑 군 내신(來信: 온 편지) 중에 어느 구절을 보고
    6-98 장개석(蔣介石)이 대총통(大總統)으로 사선(四選)되었다는
    보(報)를 듣고
    6-99 새한당 발족의 보(報)를 듣고
    6-100 미기(尾記: 책 끝에 씀)
    6-101 기원동지회(紀元同志會)는 장차 어디로
    6-102 수필: 유종(有終)의 미(美)
    6-103 박태선 군을 월남에 보내고 내 소감
    6-104 수필: 말세를 구하는 경세목탁(警世木鐸)
    6-105 수필: 내 마음, 내 몸으로 지상천국을 건설하자
    6-106 수필: 잠을 청하기 위해 예부터 전해 오던 체육법을 쓰다
    6-107 김두한의 오물투척사건 추기(追記)
    6-108 병발(倂發: 두 가지 이상의 일이 한꺼번에 일어남)
    6-109 대인난, 대인난(待人難: 사람을 기다리는 어려움)
    6-110 박대완(朴大浣) 동지의 내방(來訪)을 보고
    6-111 강선필 옹의 내방을 보고
    6-112 중재옹(中齋翁)에게 엽서(葉書)를 날리고
    6-113 박도희(朴道羲) 옹(翁)의 내방(來訪: 찾아옴)을 보고
    6-114 유진오(俞鎭午) 옹(翁)의 민중당 대통령 지명 수락의
    보(報)를 듣고
    6-115 임달준 군의 요서(夭逝: 요절)의 보(報)를 듣고
    6-116 아베베 초청 마라손(마라톤) 대회를 보고
    6-117 존슨 대통령의 방한(訪韓)
    6-118 수필: 대전ㆍ공주여행 도중견문(途中見聞)
    6-119 재기(再記: 다시 기록함): 현대 중공(中共)의 본질과 미래

    6-120 신문 구편(舊片: 지나간 신문)을 보다가
    〈서울 국제마라톤의 교훈〉이라는 제목을 보고
    6-121 수필: 내 성의 부족으로 친척들을 찾아보지 못함
    6-122 수필: 청수제(請睡劑)이자 소견법(消遣法)의 일종인 글쓰기
    6-123 수필: 성사재천(成事在天: 일의 성공은 하늘에 달려 있음)
    6-124 수필: 단군기원(檀君紀元) 4,300년 기념사업회
    6-125 이 책을 마금(마감)하며
    1967년(丁未)
    6-126 무제(無題) 2수(二首)
    1985년(乙丑)
    6-127 기몽(記夢: 꿈의 기록) - 알 수 없는 이야기
    1987년(丁卯)
    6-128 양력(陽曆) 10월 3일 개천절(開天節) 행사를 마치고
    6-129 청량리 대종교(大倧敎) 분원(分院) 개원식에 참석하고
    6-130 이세신궁(伊勢神宮) 궁사(宮司: 신궁의 책임자)의
    내방(來訪)을 제(際: 사이)하여
    6-131 박영호 가다
    6-132 거거거중지(去去去中知) 행행행리각(行行行裏覺)
    1988년(戊辰)
    6-133 무제(無題)
    6-134 백두산족(白頭山族)의 설명
    6-135 무제: 개천절과 역사 개편과 조상의 뿌리 찾기
    6-136 무제: 몽중인생중(夢中人生中) 삶의 흔적 찾기
    6-137 심야무매(深夜無寐: 깊은 밤잠이 없음) 해서
    6-138 무진(戊辰: 1988년) 송년사(送年辭)
    1989년(己巳)
    6-139 양력(陽曆) 기사년(己巳年: 1989년)
    원단(元旦: 설날 아침)을 맞으며
    6-140 무제(無題): 석화광음(石火光陰) 소견법(消遣法)
    6-141 무제(無題): 곽면우(郭俛宇) 선생님과의 몽중(夢中) 대화
    6-142 《육서심원(六書尋源)》 8질(帙)을
    금일 규장각(奎章閣)에서 찾아오며
    6-143 무제(無題): 만 년 전부터 전해 내려온 우리의 역법과 천문
    6-144 삼종질(三從姪) 영근(寧根) 군(君)의
    병보(病報: 병소식)을 듣고
    6-145 무제(無題): 잠을 청하는 글
    6-146 무진년(戊辰年: 1988년)
    음력 제석(除夕: 섣달그믐날 밤)을 보내며
    6-147 무제(無題): 성지순례(聖地巡禮), 대황조 님과의 대화
    6-148 기사년(己巳年: 1989년) 원단(元旦: 설날 아침)
    6-149 무제(無題): 정월 초이틀 손님 접대
    6-150 무제(無題): 정초(正初)부터 기분 좋은 일
    6-151 무제(無題): 동심협력(同心協力), 합심동력(合心同力)
    6-152 무제(無題): 〈백두산족에게 보내는 말〉
    6-153 기사(己巳: 1989년) 정월(正月) 20일의 모수(耄壽) 기념을
    지내고 내 미안한 소감을 두어 자 적어 본다
    6-154 우리 노소(老少: 노인과 젊은이) 동지들에게 올리는 말씀
    6-155 삼일기념절(三一紀念節)을 맞으며
    6-156 무제(無題): 고생을 사서 하는 나의 일버릇
    6-157 금년의 내 사적(私的), 공적(公的)의 목표
    6-158 북악산음(北岳山陰: 북악산 그늘) 사방가가
    (四方家家: 사방이 집들일세)하고, 풍성(風聲: 바람소리)만
    부지(不止: 그치지 않음)한다
    6-159 기사년(己巳年: 1989년) 정월(正月)을 보내며
    6-160 무제(無題): 머지않아 동천조일(東天朝日)이 떠오름

    〈봉우(鳳宇) 권태훈(權泰勳) 연보(年譜)〉
    찾아보기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봉우일기 6
    봉우일기 6 35,000
  • 알쏭달쏭 캐치 티니핑 시즌3 멀티색칠북
    알쏭달쏭 캐치 티니 7,000
  • 영도의 글쓰기
    영도의 글쓰기 16,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꼭대기 주소 서울 특별시 마포구 연희로 11,5층 S-537호
사업자 등록번호 795-87-0042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마포-0052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dhwnqhd

Copyright © 2001-2013 (주)꼭대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