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간 압축

도서명:시공간 압축
저자/출판사:김창현/푸른길
쪽수:252쪽
출판일:2024-09-09
ISBN:9791172670153
목차
서문
양배추와 감자만 먹다가 가출하다
박사학위 논문: 19세기 켄트 지방의 농촌 홉(hop) 생산의 변화
데이비드 하비 저작(박사학위 이후)
첫 저작: 『지리학에서의 설명Explanation in Geography』(1969)
『지리학에서의 설명』: 계량혁명 패러다임의 집대성
데이비드 하비, 미국으로 진출하다
배경: 1968년 전후 정치와 경제 상황, 불안한 평화
철학적 배경: 비판철학과 앙리 르페브르
1968 사회운동의 전개: “모든 형태의 억압으로부터 해방”
『사회정의와 도시』, 1973
하비, 마르크스에 눈뜨다
대학원생은 기숙사에 산다: 데이비드 하비의 입찰지대곡선 비판
“자본주의 도시 과정: 분석을 위한 틀”(1978)로 가기 위해
『자본의 한계』, 1982
『자본의 한계』를 읽기 위한 준비: 마르크스, 『그룬트리세』, 『경제학· 철학 수고』, 『자본론』
칸트의 관념론적 공간론과 마르크스의 역사유물론적 공간론
『자본의 한계』: ‘고양이똥으로 포장한 개똥’이 위기를 가져온다고?
반론: 칼 포퍼의 마르크스 비판과 밥 제솝의 하비 비판, 그리고 나의 비판
마르크스가 주식 투자를 장려한다고?
보충 설명: 번역의 한계?
데이비드 하비, 영국 옥스퍼드에서 새로운 시작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1989): 하비 교수의 출세작!
이렇게 쉬운 논지의 책이었다고?
언어라는 망할 도구(feat: 나는 스스로 이발할 수 없는 사람만 이발합니다)
사다리 걷어차기: 하비 교수는 왜 조절이론을 차용했는가?
데이비드 하비가 파리를 연구하기로 작정한 이유
광화문광장은 서울 시장의 ○○○이다?: 공간의 변증법
방시혁 의장과 뽀로로가 불가지론을 만나게 된 사연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에 대한 반론: 꿀벌의 노동과 인간의 노동
경제학자가 ‘시공간 압축’을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
나가면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