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 전쟁

도서명:화장실 전쟁
저자/출판사:알렉산더 K. 데이비스 , 조고은/위즈덤하우스
쪽수:388쪽
출판일:2024-01-31
ISBN:9791171711024
목차
서문
왜 화장실을 연구하는가?/왜 화장실 전쟁인가?/포스트-젠더 사회?/젠더화된 조직을 관계 이론으로 접근하기/약속과 계획
1 / 화장실을 정치화하기
사적 욕실에서 (모종의) 공중화장실로: 1880~1905 / 직장의 수세식 화장실 한 곳에서 두 곳으로: 1880~1920 / 준 공중화장실에서 공공 편의 시설로, 그리고 다시 회귀: 1905~1970 / 분리된 공간에서 동등한 공간으로의 기록: 1945~1995 / ‘화장실 정치’라는 숨겨진 특권
2 / 화장실 설비의 전문화
“적절한 공중화장실 제공은 공리적이다” / “의료인, 건축가, 배관공은 모두 배관 시설이 과학임을 알고 있다” / “양질의 배관 시설은 건물의 가치를 높인다” / 젠더의 제도적 성취의 첫 번째 요소: 제도적 유동성
3 / 화장실 규제
“화장실이 없다” / “신체가 모든 사생활 보호 권리 중에서도 가장 신성하고 의미 있다” / “너무 분노한 나머지 몸이 아프기까지 했다” / 젠더의 제도적 성취의 두 번째 요소: 체화된 정동
4 / 화장실에 반대하기
“대대적인 배관 곡예” / “가짜 접근성 문제를 지어내다시피 하다” / “아예 건물을 완전히 밀어버리고 새로 지을 여유가 있다면” / 젠더의 제도적 성취의 세 번째 요소: 물질적 관성
5 / 화장실의 영향력
“별로 중요하지 않은 고려 사항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 “우리가 외우고 또 외운 주문은 ‘설계 우선’이었습니다” / “사람들이 무엇에 반응할지는 절대 알 수 없으니까요” / 젠더의 제도적 성취의 네 번째 요소: 담화 회로
6 / 화장실을 변신시키기
“변화를 꺼리는 의지야말로 그 기관을 일류로 만들어줍니다” / “우리의 진보적 평판을 고려하면, 논리적인 다음 단계죠” / “최소한에 안주한다면 과연 ‘톱 10’ 대학이라 할 수 있을까요?” / 젠더의 제도적 성취의 다섯 번째 요소: 조직적 네트워크
결론
젠더화된 조직의 관계 이론을 향해 / 젠더의 관계 사회학을 향해 / 하지만 우리가 더 나은
화장실을 만들 수 있을까?
ㆍ 부록 | 데이터와 방법론
ㆍ 감사의 말
ㆍ 옮긴이 후기
ㆍ 주
ㆍ 참고 문헌
ㆍ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