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과 기독교 세계관

도서명:현대문학과 기독교 세계관
저자/출판사:남금희/한국학술정보
쪽수:351쪽
출판일:2023-11-10
ISBN:9791169837859
목차
책머리에 _ 생의 구경적 양식으로서의 문학과 종교
I. 한국 현대시와 기독교 세계관
제1장 김현승 시의 정신주의와 절대귀의
1. 들어가며
2. 사색과 순결 지향의 신앙시
3. 견고한 고독과 절대고독의 시
4. 양심과 신앙 회복의 시
5. 관념의 시어와 ‘보석’과 ‘재’ 이미지
6. 나오며
제2장 박목월 시에 나타난 신앙의식의 세 양상
1. 들어가며
2. 인고의 아버지상(像)과 신앙의식
3. 돌봄의 모성상(像)과 신앙의식
4. 고독한 단독자상(像)과 구경적 신앙의식
5. 나오며
제3장 박두진 시에 나타난 구원의 서정(序程) - 『나 여기에 있나이다 주여』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구원의 서정을 묘사하는 시적 서정성
3. 나오며
제4장 시적 진실로서의 고통과 성서 인유 - 김춘수의 예수 소재 시편들
1. 들어가며
2. 고통 콤플렉스와 성서관
3. 수난사화 고통과 성서 인유
4. 인간의 모범자 예수와 성서 인유
5. 나오며
제5장 예수를 이해하는 시적 세계관의 두 양상 - 박두진 시편과 김춘수 시편
1. 들어가며
2. 박두진 시편에 나타난 인자 예수와 사도 의지
3. 김춘수 시편에 나타난 인간 예수와 역사의 이율배반성
4. 나오며
II. 현대소설과 기독교 세계관
제1장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성서 모티프의 샤머니즘적 변용과 신인간주의
1. 들어가며
2. 예수의 탄생과 양육을 이해하는 샤머니즘적 방식 - 「마리아의 회태」와 「목공 요셉」
3. 예수의 죽음을 이해하는 샤머니즘적 방식 - 「사반의 십자가」와 「부활」
4. 신앙인을 이해하는 샤머니즘적 방식과 신인간주의 - 「천사」
5. 나오며
제2장 한국 소설에 나타난 가룟 유다 서사
1. 유다는 왜 예수를 배반했을까
2. 유다의 배반 동기에 대한 몇 가지 가설
3. 금전 탐욕설로서의 유다 서사
4. 양심의 가책설로서의 유다 서사
5. 역사적 희생양으로서의 유다 서사
6. 배반자들의 회합으로서의 유다 서사
7. 사랑에 대한 항거로서의 유다 서사
8. 나오며
제3장 『침묵』에 나타난 율법과 사랑
1. 들어가며
2. 신의 침묵과 인간의 고통
3. 그리스도의 얼굴과 인간의 얼굴
4. 율법의 배교와 구속의 사랑
5. 나오며
제4장 순교의 진실과 침묵하는 신 - 김은국의 『순교자』와 엔도 슈사쿠의 『침묵』
1. 들어가며
2. 박제된 신앙과 순교의 진실 - 『순교자』
3. 배교의 진실과 그리스도상(像) - 『침묵』
4. 속죄양 의식과 배교 행위에 대한 재고
5. 나오며
제5장 신정론의 고뇌와 신비 체험 양상 - 「벌레 이야기」와 「남경의 그리스도」
1. 들어가며
2. 신정론적 고뇌와 희생자 증언하기
3. 신비체험과 자기애적 신앙
4. 나오며
제6장 존재의 구원 문제와 은유적 성육신 고찰 - 엔도 슈사쿠의 『깊은 강』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존재의 심연에서 경험하는 신 인식의 전환
3. 그리스도 밖에서 구원을 향한 신 인식의 전환
4. 재생의 강을 통한 종교 체험과 종교다원주의로의 귀착
5. 나오며
제7장 『천국의 열쇠』에 나타난 목회자상
1. 들어가며
2. 아무것도 무(無)에서 생겨나지는 않는다
3. 권위주의와 편견에 맞서다
4. 그리스도의 살아 있는 배필
5. 나오며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