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수민족 특색마을 문화 연구

도서명:중국 소수민족 특색마을 문화 연구
저자/출판사:전월매/한국학술정보
쪽수:273쪽
출판일:2023-08-30
ISBN:9791169836548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중국소수민족 특색마을의 문화자원 현황과 활용
제1장 흑룡강성 녕안시 조선족 민속촌의 문화자원 현황과 과제
1 들어가며
2 녕안시 개황과 녕****조선족
3 녕안시 조선족 민속촌 문화자원의 현황과 특성
4 조선족 민속촌 문화자원 개발에서 존재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5 나가며
제2장 흑룡강성 탕원현 탕왕향 조선족 민속촌의 문화자원 현황
1 들어가며
2 탕원현 개황과 탕왕향 조선족
3 탕원현과 조선족 민속촌 금성촌의 문화자원 현황
4 나가며
제3장 인터넷시대 귀주성 홍심촌, 남화촌, 상랑덕촌 소수민족 특색마을의 문화전파 및 건설 경로
1 연구대상 소개
2 인터넷시대 소수민족 특색마을 문화전파의 일반 패턴
3 인터넷시대 소수민족 특색마을 문화전파에서 존재하는 문제점
4 인터넷시대 소수민족 특색마을의 문화 보급 전략
5 나가며
제4장 소수민족 특색마을 운남성 맹해현 맹경래촌의 문화산업 보호와 전승
1 소수민족 특색마을 맹해현 맹경래촌의 기본 상황
2 소수민족 특색마을 맹해현 맹경래촌의 민족문화와 특색산업 현황
3 소수민족 특색마을 맹해현 맹경래촌의 전통문화 보호와 전승
4 기업과 마을의 협력, 문화산업 발전 및 민족문화 보호와 전승
5 나가며
제5장 총론 중국소수민족 특색마을의 전통문화 보호 현황과 인터넷시대 문화전파 건설 경로
1 소수민족 특색마을의 전통문화 보호 현황
2 소수민족 특색마을의 민족문화 보호와 전승에서 존재하는 문제점
3 인터넷시대 소수민족 특색마을의 문화 전파경로 방안
제2부 천진조선족사회의 문화행사 현황과 중국조선족 문화 담론
제6장 천진조선족사회의 민족문화 행사
1 천진의 역사적 연혁과 천진조선족사회의 형성
2 문화, 문화행사의 기능과 디아스포라
3 천진조선족사회의 민족문화행사(1988-2017)
4 천진조선족사회의 민족문화행사(2022-현재)
5 민족문화행사의 의미와 이후의 방향
제7장 중국조선족 문화 담론
1 디아스포라 조선족 아리랑의 서사와 담론
2 전승과 발전: 조선족의 무형문화유산에 나래를!
3 중국조선족의 융합문화
제3부 중국에서 『한국문화』와 『조선어문』 교과서 분석 및 수업의 실제
제8장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과서 내용분석
1 들어가며
2 기존 『한국문화』 교과서의 교육내용 분석
3 교과서 분석에서 존재하는 문제점 및 해결방안
4 나가며
제9장 중국조선족 중고등학교 『조선어문』 교과서의 내용분석(2014-2019)
1 들어가며
2 국적별 작품 분류
3 장르별 작품 분류
4 주제별 작품 분류
5 나가며
제10장 포스트 코로나시대 중국대학 한국어 교과의 실시간 원격수업 사례 분석 -위챗과 텐센트 활용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실시간 원격수업의 정의와 유형
3 대학 한국어 교과의 실시간 원격수업 사례
4 원격수업 만족도 및 선호도
5 나가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