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을 통한 사고력 교육

도서명:문학을 통한 사고력 교육
저자/출판사:원자경/한국문화사
쪽수:590쪽
출판일:2024-03-22
ISBN:9791169191975
목차
머리말
제1장 : 문학교육과 사고력 교육
1. 문학교육에 대한 문제제기
1) 교육과정과 문학교육
2) 통합교육 시행의 문제
3) 언어 기능 중심 교육의 문제
4) 문학을 통한 사고력 교육은 시대적 요구
2. 문학교육에서 사고력 교육의 전개 과정
1) 제1기 : 6차 교육과정 시기 사고력 교육의 방향(1992~1997)
2) 제2기 : 7차 교육과정 초기 사고력 교육의 방향(1997~2005)
3) 제3기 : 2007년 개정 이후 사고력 교육의 방향(2005~현재)
4) 기존 연구 성과 평가 및 제****
3. 문학을 '통한' 사고력 교육의 방향
제2장 : 문학적 사고의 특성과 창의적 사고력 교육
1. 사고의 개념과 사고 과정의 원리
2. 문학적 사고의 개념과 구성 요소
3. 문학적 사고의 은유 원리와 창의적 사고력
1) 은유 개념의 변화와 의미 창조 기능
2) 은유적 사고와 문학적 사고의 의미구성 방식
(1) 개념은유의 의미구성 방식과 문학독서
(2) 개념적 혼성은유와 문학적 사고의 특성 비교
3) 심미적 체험의 은유적 사고 과정
(1) 심미적 체험의 특성과 의미구성 기능
(2) 심미적 체험의 지향성과 은유적 사고 원리
4. 은유적 사고 활용과 문학을 통한 사고력 교육의 의의
제3장 : 문학 텍스트 활용과 창의력 교수·학습 방법과 효과
1. 잠재적 사고력 계발을 위한 상호 교수·학습 전략
1) 상호 교수적 교수·학습 모형과 학습 전략
(1) 상호 교수·학습적 관계 형성
(2) 문제제기식 질문과 발산형 질문 활용
(3) 역동적인 문학현상 참여로 텍스트 재구성 능력 키우기
(4) 수업 전(全) 과정에서 내면화 적극 활용
(5) 수업 전(前) 지도로 문제발견 능력 기르기
(6) 총체적이고 복합적인 상호 교수 활동 실행
(7) 은유 원리를 활용한 고등 사고력 교육
(8) 읽기와 쓰기의 통합 사고력 교육
2) 상호 교수적 교수·학습의 실제
(1) 학습자 간 상호교수와 교사의 중재 : 조지훈 「낙화」
(2) 학습자 내 자발적 점검 및 내면화 : 나희덕 「땅끝」
(3) 상호보완의 콘텍스트 활용과 주제 심화·확장 : 나희덕 「땅끝」 & 이육사 「절정」
(4) 주제 확장을 위한 쟁점토론과 사회화 :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2. 상상력을 활용한 문학 텍스트 질문전략
1) 상상력을 활용한 문학 텍스트 질문 전략 설계
(1) 인식적 상상력을 활용한 질문법과 현실 인식
(2) 조응적 상상력을 활용한 질문법과 내면화
(3) 초월적 상상력을 활용한 질문법과 사회화
2)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텍스트 질문 전략 실제 : 이상 「날개」
(1) 인식적 상상력을 활용한 질문법과 현실인식의 실제 : <기억><이해> & <감수·감지>
(2) 조응적 상상력을 활용한 질문법과 내면화의 실제 : <평가하기> & <가치화하기>
(3) 초월적 상상력을 활용한 질문법과 사회화의 실제 : <창안하기> & <인격화/사회화>
3. 창의적 사고력 확장을 위한 콘텍스트 읽기 전략
1) 콘텍스트의 개념과 창의적 의미의 재생산
2) 문학 텍스트의 콘텍스트 활용 원리와 실제
(1) 문학 텍스트 내적 연합의 원리와 실제
(2) 문학 텍스트 외적 결합의 원리와 실제
(3) 문학 텍스트 간 통합 원리와 실제
3) 문학 텍스트의 콘텍스트 읽기 효과
제4장 : 문학을 통한 사고력 교육의 효과 검증과 평가
1. 연구 설계 및 과정
2. 검증 도구 설계
1) 독서실태 및 문학 인식도 사전·사후 설문조사
2) 양적 연구와 사고력 평가 사전·사후 진단 검사
⑴ 사고력 진단지 문제 구성의 형식
⑵ 사고력 평가 진단지 분석과 문항 구성의 타당도 검증
3) 질적 연구와 비평적 감상글 평가
3. 연구 결과 검증 평가 및 논의
1) 사고력 평가 사전, 사후 진단지 검사 결과
⑴ 채점자 신뢰도
⑵ 사전, 사후 사고력 진단 검사지 총점 비교 결과 : 사고력 향상
⑶ 개별 학생의 총점 변화 비교 결과 : 상향 평준화 현상
⑷ 범주별 사전-사후 대응 표본 검사 결과
⑸ 개별 학생 범주별 사고력 비교 결과
2) 문학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
⑴ 문학 작품에 대한 흥미
⑵ 문학을 배우는 목적
⑶ 문학 수업의 참여 방식
⑷ 문학 수업 후 내면화
제5장 : 맺는말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