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의 기원 1

도서명:한국전쟁의 기원 1
저자/출판사:브루스 커밍스/글항아리
쪽수:704쪽
출판일:2023-05-29
ISBN:9791169090957
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1부 배경
1장 식민지 한국의 계급과 지배 기구
식민지 통치 기구 | 철도망의 발달 | 상업 | 노동력의 동원 | 저항운동
2장 식민지 한국의 지주와 소작농
일제강점기의 농업 | 한국 농민과 시장의 출현 | 한국의 인구 유출 | 동원과 반란 | 결론
3장 혁명과 반발: 1945년 8~9월
일본 식민 통치의 종식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 조선인민공화국 | 인민공화국에 대한 반대 | 결론
4장 도가니 속의 한국 정책 - 1943~1945년 미국의 한국 정책에서 나타난 대립
신탁통치안의 대두 - 1943년 3월 | 카이로회담: “적절한 시기에” 독립시킨다 | 얄타와 포츠담: 불확실한 신탁통치 | 전후 최초의 봉쇄작전: 1945년 8월 한국의 분단 | 오키나와에서 서울로 “긴급히 이동하다” | 출발 전의 정책과 계획 | 결론
2부 1945~1947년 중앙의 정치 상황
5장 새 질서의 구축: 미군의 진주와 정부·경찰·국방 정책
인천과 서울: 새로운 우방과 적 | 식민지 관료 기구의 재건 | 사법과 경찰 기구 | 국방경비대의 출범
6장 남한 단독정부를 향해
임시정부의 귀국과 “정무위원회” | 좌익에 대한 탄압 | 토지·미곡 정책 | 결론
7장 국제협력주의적 정책과 일국독점주의적 논리: 경직되는 중앙의 태도, 1946년
후견과 독립, 민족 반역자와 애국자: 신탁통치를 둘러싼 혼란 | 궁지에 몰린 하지 | 미소공동위원회에서 남한 과도정부로 | 미소공위의 협상 | 미소공위를 전후한 좌익 탄압 | 좌우합작위원회와 과도입법의원 | 결론: “불만의 소리”
3부 1945~1947년 지방에서 발생한 한국인과 미군의 충돌
8장 지방 인민위원회의 개관
인구 변화 | 교통과 통신의 상황 | 토지 소유 관계 | 지리적 위치 | 공백기의 길이 | 정치적 전사와 지표 | 미군의 각 도 점령
9장 지방 인민위원회의 운명
전라남도 인민위원회 | 전라북도 인민위원회 | 경상남도 인민위원회 | 경상북도 인민위원회 | 충청남·북도 인민위원회 | 강원도와 경기도 인민위원회 | 제주도 인민위원회 | 결론
10장 9월 총파업과 10월 봉기
9월 총파업 | 10월 봉기 | 진압의 방법 | 파업과 봉기의 원인 | 결론
11장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소련의 점령 | 하의상달下意上達의 정치 | 상명하달上命下達의 정치 | 김일성의 집권 | 북한의 중앙집권화 | 사회혁명 | 통일전선 정책 | 남쪽으로 부는 북풍 | 결론
12장 결론: 부정된 해방
부록 / 주 / 참고문헌 / 옮긴이의 글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