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표로 읽는 반야심경

도서명:도표로 읽는 반야심경
저자/출판사:허암 김명우/민족사
쪽수:280쪽
출판일:2024-02-20
ISBN:9791168690479
목차
들어가는 말
제 1장 반야심경을 읽기 전에
ㆍ 원래 제목이 없는 경전이다
ㆍ 형식을 파괴한 경전이다
ㆍ 『반야심경』의 인기 비결
ㆍ 범본 『반야심경』과 한역 『반야심경』
ㆍ 『반야심경』을 한역한 구마라집
ㆍ 『반야심경』을 한역한 현장
ㆍ 현장과 구마라집 한역의 차이
ㆍ 한역 『반야심경』의 주석서
ㆍ 한역 『반야심경』
ㆍ 한역 『반야심경』의 우리말 번역
ㆍ 범본 『반야심경』 로마자
ㆍ 범본 『반야심경』의 우리말 번역
제 2장 『반야심경』의 제목을 해설하다
ㆍ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제목을 해설하다
ㆍ 위대하고 위대하도다, 마하
ㆍ 공을 체득한 완전한 지혜, 반야 1
ㆍ 공을 체득한 완전한 지혜, 반야 2
ㆍ 차안에서 피안으로 건너다, 바라밀다
ㆍ 완성
ㆍ 반야경의 엑기스를 담다, 심
ㆍ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를 담은 책, 경
ㆍ 결집
ㆍ 여시아문
ㆍ 팔만대장경이란?
ㆍ 『반야심경』을 4장으로 나누어 해설하다
제 3장 입의분(入義分)을 해설하다
ㆍ 나는 누구이며, 또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ㆍ 자유자재하게 세상의 이치를 관찰하다, 관자재
ㆍ 중생의 고통스러운 소리를 듣고 구제하다, 관세음
ㆍ 달라이 라마는 관세음보살의 화신이다
ㆍ 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며 중생을 구제하는 자, 보살
ㆍ 깊고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실천하다
ㆍ 완전한 지혜로 깨달음의 경지인 피안으로 건너게 하다
ㆍ 6바라밀이란
ㆍ 나의 본래 모습은 공한 존재이다, 조견오온개공
ㆍ 다섯 가지 덩어리로 이루어진 나는 공한 존재이다
ㆍ 물질은 공하다
ㆍ 감수 작용은 공하다
ㆍ 개념 작용은 공하다
ㆍ 의지 작용은 공하다
ㆍ 인식 작용은 공하다
ㆍ 5온에서는 왜 수·상·행만을 설정했을까
ㆍ 공은 제로이다
ㆍ 자성이 공하다
ㆍ 인류의 위대한 발견, 제로[공]와 아뢰야식
ㆍ 나는 왜 연기적 존재이고, 공한 존재인가?
ㆍ 모든 고난과 재앙에서 벗어나다
제 4장 파사분(破邪分)을 해설하다
ㆍ 깨달은 눈으로 보면 모든 것은 공하다
ㆍ 지혜제일 사리자
ㆍ 조롱의 대상인 된 사리자
ㆍ 깨달은 눈으로 보면 색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은 색과 다르지 않다
ㆍ 제법실상 진공묘유
ㆍ 깨달은 눈으로 보면 색이 공이고, 공이 색이다
ㆍ 즉시란
ㆍ 정신작용도 공하다
ㆍ 깨달은 눈으로 보면 존재하는 모든 것은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이다
ㆍ 존재하는 모든 것은 공한 특질을 가졌다
ㆍ 제법이란
ㆍ 법이란
ㆍ 법이란 본보기이다
ㆍ 공의 눈으로 보면 제법은 불생불멸이다
ㆍ 공의 눈으로 보면 제법은 불구부정이다
ㆍ 초기불교의 수행법인 부정관
ㆍ 공의 눈으로 보면 제법은 부증불감이다
ㆍ 깨달은 눈으로 보면 5온, 12처, 18계는 공하다
ㆍ 깨달은 눈으로 보면 5온은 공하다
ㆍ 깨달은 눈으로 보면 12처는 공하다
ㆍ 깨달은 눈으로 보면 18계는 공하다
ㆍ 깨달은 눈으로 보면 12연기도 공하다
ㆍ 12연기란 무엇인가?
ㆍ 12연기 ① 무명·행
ㆍ 12연기 ② 식·명색·육입
ㆍ 12연기 ③ 촉·수
ㆍ 12연기 ④ 애
ㆍ 12연기 ④ 애/ 가. 까마
ㆍ 12연기 ④ 애/ 나. 욕
ㆍ 12연기 ④ 애/ 다. 탐욕
ㆍ 12연기 ⑤ 취·유·생·노·사
ㆍ 깨달은 눈으로 보면 4성제도 공하다
ㆍ 4성제란
ㆍ 고성제
ㆍ 고집성제
ㆍ 고멸도성제란
ㆍ 8정도
ㆍ 고멸성제
ㆍ 지혜도 얻음[소득]도 공하다
제 5장 공능분(功能分)을 해설하다
ㆍ 보살은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므로 마음에 장애가 없다
ㆍ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ㆍ 마음에 장애가 없기에 두려움도 없다
ㆍ 『범망경』의 가르침
ㆍ 전도몽상을 벗어나다
ㆍ 전도란 상락아정이다
ㆍ 깨달음의 세계[열반]에 들어가다
ㆍ 유여열반과 무여열반
ㆍ 삼세제불
ㆍ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여 무상등정각을 얻다
제 6장 총결분(總結分)을 해설하다
ㆍ 반야바라밀다는 최상·최고의 주문임을 알아야 한다
ㆍ 반야바라밀다는 대신주, 대명주, 무상주, 무등등주이다
ㆍ 반야바라밀다는 괴로움을 제거하며, 진실하다
ㆍ 최상·최고의 주문, 아제 아제 바라아제
ㆍ 아제 아제
ㆍ 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
ㆍ 반야바라밀다심경을 마치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