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과 기억

도서명:진실과 기억
저자/출판사:홍순권/산지니
쪽수:336쪽
출판일:2023-12-29
ISBN:9791168612235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진실화해위원회 활동과 과거사 정리
1. 과거사 정리는 왜 필요한가?
2. 진실화해위원회의 과거사 진상규명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과 진상규명
살구쟁이에 묻힌 영혼들의 침묵
르완다의 과거사 현장을 다녀와서
임기 2년 진실화해위원회 위원 활동에 대한 소회
3. 진실화해위원회 활동 이후
과거사 청산과 정부의 책임
‘간첩조작 사건’ 진상규명, 그 이후
‘다크 투어리즘’에 대해서
픽션과 팩션, 영화 속의 과거사 논쟁
과거사 진실규명과 ‘악의 평범성’
2부 역사교육과 역사 교과서
1. 교육과학부의 역사 교과서 수정 명령
역사 교과서의 강제 수정과 교과부의 무리수
2008년 한국 사회의 ‘역사전쟁’과 저들의 색다른 역사인식
한국 근현대사 인식과 역사 교과서 수정 논란
2.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검정 전말
상식이 무너진 자리에 난무하는 이율배반의 언어유희
독선과 선무당의 은유가 된 국정교과서
통합과 배제의 원리
3부 민주화운동과 지역사회
1. 부마민주항쟁의 기억과 진상규명
다시 시월의 그날을 되새기며
국가기념일이 된 ‘부마민주항쟁’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의 성과와 과제
부마민주항쟁과 트라우마
『부마민주항쟁보고서』 발간 이후 관련자 피해 구제와 후속 조치
영화 〈남산의 부장들〉_부마민주항쟁과 김재규
부마민주항쟁의 진상규명과 헌법적 논의
부산대학교 교정의 부마민주항쟁기념관 건립을 반기면서
시월 그날의 기억법
2. 지역사회의 정체성과 민주화운동
되돌아보는 독립운동의 지역 기반
강제징용 노동자상의 부산 건립
5월 그날의 광주와 시민의식
부산의 민주운동사를 기억해야 하는 까닭
5월에 돌이켜 보는 민주주의와 지방분권
부산에 ‘항일독립운동기념공원’ 건립한다면
3. 민주화를 향한 또 다른 시선
어제의 개혁 담론, 『북학의(北學議)』
주술에 포획되었던 대한민국
‘대장부’가 아쉬운 시대
반유신 시위 진압 현장을 목격했던 어떤 경찰관 이야기
‘정의’를 곱****어보기
4부 동아시아 평화와 인권의 길
1. 한일관계와 동아시아 과거사
‘경술국치’ 100년, 의병항쟁과 안중근의 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소송 판결
3·1운동 100주년, 한 해를 보내며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의 정상 운영을 위하여
과학의 이름으로 포장한 램지어의 망언
경제와 과학의 발전과 역사인식의 상관성
소설 『파친코』의 주인공, 순자의 고향에서 맞는 광복 77주년
일본의 동아시아 과거사 인식의 어제와 오늘
한일 간 과거사에 대한 침묵 이후 생길 수 있는 일들
일본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대학살
2. 남북관계와 역사교류
개성 만월대 1일 답사기
평창에서 열리는 만월대 공동발굴 특별전
남북 화해와 역사교류
한반도의 봄, 동아시아의 봄
남북철도 복원 사업에 거는 기대
3. 동아시아 평화 인권 역사기행 외
‘2005 타이페이’의 대만
강제동원의 현장, 탄바 망간 광산을 가다
한류를 보며 개혁을 말하다.
한민족의 디아스포라와 한류
먼구름 한형석과 부산의 추억
논고 | 역사바로세우기의 어제와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