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시

도서명:김명시
저자/출판사:이춘/산지니
쪽수:400쪽
출판일:2023-10-23
ISBN:9791168611856
목차
여는 글 | ‘여장군’ 호칭을 가진 유일한 독립운동가
서장 김명시를 찾아서
명시 누나!
골로 가고 싶나? 물 알로 보내삘까?
1장 마산의 딸, 조선의 잔다르크 김명시(1907년 마산 출생 ~ 1925년 모스크바 유학)
김명시의 가계
3.1만세운동 어머니, 김인석
마산포 개항
해안권 매축운동
마산 민의소
어린 김명시가 본 3.1만세운동
유관순 열사와 김명시 장군
야학으로 공부한 김명시
소년 가장 김형선
김명시 남동생 김형윤
김명시 선생님 김명규
마산에서 열린 최초의 메이데이 행사
마산노농동우회
마산노동회와 벽신문 『첫소리』
조선공산당의 강력한 지방 조직, 마산 공산당
조선공산당과 마산 야체이카
고려공산청년회와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파견
2장 비거비래(飛去飛來) 홍일점 투사 김명시(1925년 모스크바 대학생활, 사회주의운동, 구속 ~ 1939년 석방)
모스크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의 세 여성 독립운동가
1927년 상해 파견
김명시의 동지 홍남표와 조봉암
코민테른 12월 테제
하얼빈 영사관 공격
『코뮤니스트』 잡지
인천의 성냥공장 파업 지도
독고전의 배신으로 인한 체포
조선 사상범 검거 실화집
용감한 3남매
김형윤과 마산 적색교원회
비거비래(飛去飛來)의 홍일점 투사 김명시
태중에도 감옥살이
“주소는 신의주 형무소, 직업은 혁명운동”
죽음의 집, 조선 감옥
방청 금지 상태로 속행된 김명시 공판
신의주형무소
3장 김명시 장군의 항일무장투쟁(1939년 팔로군 합류 ~ 1945년 해방)
항일무장투쟁
팔로군 종군
무정 장군
조선의용대 대장 김원봉
조선의용대의 북상항일
화북 조선청년연합회
호가장 전투
호가장 전투의 순국 4열사
1942년을 기억하라!
1942년 5월 반소탕전
조선의용군의 선전사업
독립동맹원의 생활
여성 조선의용군 생활
적구 공작을 통한 의용군의 확대
최후의 일각까지
4장 해방 후 김명시 장군의 행적(1945년 해방 ~ 1947년 해방 2주기 기념일)
태항산에서 해방을 맞이하다
조선의용군 봉천 집결
조선의용군 선견종대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조선의용군
조선의용군의 무장해제
연****혁명투사들 고국으로 진주 중
여운형과 김명시
건국준비위원회
1945년 9월 6일 ‘조선인민공화국’ 선포
김명시 장군의 귀국
친일파나 민족반역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 뭉치가 되어야 한다
건국부녀동맹
전국부녀단체 대표자대회
조선부녀총동맹의 간부들
부총 대회에서의 김명시 연설
조선국군준비대 전국대표자대회
국군준비대 전국대표자대회에서의 김명시 연설
인기 강연자이자 토론자 김명시
〈호접〉 공연과 ‘백마 탄 여장군’
마산에서도 김명시 장군 만세
1946년 5월 1일 해방 후 첫 노동절 행사
전평과 대한노총
모스크바 3상회의
찬탁과 반탁의 소용돌이
민주주의민족전선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이승만의 정읍 발언
우익 원정 폭력단
9월총파업과 10월항쟁
21년간 투쟁생활, 태중에도 감옥사리
제2차 미소공위의 재개와 좌우합작운동
테러를 방임하는 미군정
미소공위를 파괴하려는 반탁시위에 항의하다
1947년 7월 서울역
8.15폭동****사건
김명시의 잠적
5장 김명시가 잠적한 2년 3개월(지하 잠적 ~ 사망)
미소공위 결렬과 단독정부 수립
단선단정 반대운동
제헌의회와 반민특위
제주 4.3항쟁과 여순사건
1949년 6월공세
‘조선의 잔다르크’ 김명시의 죽음
6장 김명시 장군, 고향의 품으로 돌아오다
건국훈장 애국장
열린사회희망연대
김명시 장군의 흉상 건립
독립포상 신청과 탈락
사람을 찾습니다
독립투사 김명시 장군 친족, 120여 년 만에 만나다
친족들이 기억하는 김명시 일가
국가보훈처의 성의도 영혼도 없는 답변
국가보훈처와의 간담회
장군이 돌아왔다
명시 고모는 우리 영웅이었어요
건국훈장 추서에 보훈단체 반발
보훈단체에 대한 국가보훈처의 답변
『오마이뉴스』 윤성효 기자
김명시 장군의 직계가족
김명시 장군 기림일
7장 김명시를 역사에 소환한 사람
3.15의거 그날 밤
세상 디비러 나왔다
4.19혁명은 나의 학교
5.16군사쿠데타
베트남전쟁 참전과 짜빈동전투
산재노동자
나만 사는 게 이렇게 힘든 게 아니었다
동지여! 내가 있다
사람답게 사는 세상
참회는 인간을 명예롭게 만든다
몰염치한 사회
김명시를 역사에 소환한 이유
후기
부록
1. 김명시 연표
2. 김명시 연설문 및 인터뷰 기사
3. 김명시 서훈 신청 자료
4. 김명시 가계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