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큐레이터

도서명:뉴 큐레이터
저자/출판사:플러 왓슨/안그라픽스
쪽수:452쪽
출판일:2023-11-28
ISBN:9791168230439
목차
서문 (데얀 수직, 런던 디자인박물관 명예관장)
머리말: 뉴 큐레이터, 건축과 디자인을 전시하기
——— 동시대 디자인을 지역적/전 지구적 맥락에서 큐레이팅하고 수집한다는 것: 에릭 첸(상하이)과
오타 가요코(도쿄)가 나눈 대화
1장 전시물로서 디자인 (공간 제작자로서 큐레이터)
——— 포용과 다양성을 위한 메타 큐레이션: 캐서린 인스(런던)와 프렘 크리슈나무르티(뉴욕, 베를린)가
나눈 대화
2장 과정/연구의 매개자 (번역자로서 큐레이터)
——— 나무에 걸린 냉장고: 큐레이팅과 기억, 회상, 재현에 대하여: 브룩 앤드루(멜버른)와
캐럴 고샘(브리즈번)이 나눈 대화
3장 보철술 (개입자로서 큐레이터)
——— 잠재력을 큐레이팅하기: 로리 하이드(런던)와 에바 프랑크 이 질라베르트(런던)가 나눈 대화
4장 디지털 혼종 (사변자로서 큐레이터)
——— 큐레토리얼 노동: 미미 자이거(로스앤젤레스)와 마리나 오테로 베르시에르(로테르담)가 나눈 대화
5장 행동주의자 (행위자로서 큐레이터)
——— 문화 행위성으로서 디자인: 조이 라이언(시카고)과 베아트리체 레안차(리스본)의 대화
6장 퍼포먼스로서 행사 (드라마트루그로서 큐레이터)
——— ‘디자인 아이디어’를 실행하고 전시하기: 파올라 안토넬리(뉴욕)와 플러 왓슨(멜버른)이 나눈 대화
결론: 뉴 큐레이터, 전문적 실천을 향하여
——— 남반구의 담론적 큐레토리얼 실천으로서 독립성: 파티 아나오리(프라이아, 카보베르데)와
파울라 나시멘토(루안다, 앙골라)가 나눈 대화
후기: 뉴 큐레이터, 책이 나오기까지 (리언 밴 스카이크, 오스트레일리아 오피서 훈장 AO,
RMIT 대학 명예교수)
——— 한국에서 뉴 큐레이터를 꿈꾸며: 김상규(서울)와 정다영(서울)이 나눈 대화
참고 문헌
도움을 준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