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학의 글로벌 의식과 학술적 자각

도서명:인류학의 글로벌 의식과 학술적 자각
저자/출판사:마궈칭허련화,번역/역락
쪽수:472쪽
출판일:2024-05-30
ISBN:9791167427755
목차
머리말
제1부 인류학의 확립과 학술적 자각
1장 비교사회학: 사회학과 인류학의 상호 작용
1. 비교 방법과 비교 연구
2. 고전 사회학자의 유산: 비교 방법
3. 단순사회 비교 연구부터 복합사회 비교 연구까지
4. 비교사회학의 연구 패러다임
2장 생산양식의 연결과 당대 민족 연구:서양 마르크스주의 민족학 평가 분석 38
1. 서양 마르크스주의 민족학의 전경
2. 서양 마르크스주의 민족학 시각에서의 생산양식
3. 생산양식의 연결 문제
4. 중국 당대 민족학 연구에 대한 계시
5. 결어
3장 인류학과 교양교육
1. 타문화의 이해와 타자 인식
2. 과학 기술과 인문
3. 생명 윤리의 문제
4. 문화 자원의 보호와 활용: 교육의 힘
5. 실천적 학문으로서의 인류학
4장 중국 인류학의 학술적 자각과 글로벌 의식
1. 중국 인류학의 학술적 자각과 학문 수립
2. 중국 인류학 발전의 학제간 연구
3. 중국 인류학 연구의 글로벌 의식
4. 현장 작업과 학문적 윤리 문제에 관하여
5장 일본 인류학의 발전과 전환
1. 초기 일본 인류학(1884~1945년)
2. 중기 일본 인류학 (1945년~1970년대)
3. 현대 초기의 일본 인류학
4. 현대 일본 인류학(1990년대 중기부터 지금까지)
6장 또 하나의 타자:영장류 사회 연구가 인류학에서 가지는 가치
1. 영장류의 사회문화와 행위
2. 영장류 연구와 인류학
3. 영장류 연구로 본 인류의 문화
4. 결어
제2부 사회와 문화의 자화상
1장 문화인류학으로 보는 단순사회의 교환
1. 경제적 교환과 상징적 교환
2. 교환과 친족 관계
3. 단순사회의 교환에 대한 평가
2장 신체의 다원적 표현: 신체인류학적 사고
1. 이원론으로부터 일원론·순환론까지: 신체의 자연과 문화
2. 사회적 신체: 친족 연구의 전환과 사회 구조의 은유
3. 신체의 정치와 권력 은유
4. 중국의 신체 연구와 인류학적 시각
5. 신체 연구에 관한 네 편의 글의 특징과 의미
3장 아프리카에서 동아시아로: 친족 연구의 보편성과 특수성
1. ‘사회 전통’으로서의 친족 연구와 ‘문화 전통’을 결합한 친족 연구
2. 민속생물학적 친족과 사회학적 친족
3. 중·일 가족 제도의 키워드와 혈연의 재구성
4장 문화, 민족 그리고 글로벌 차원의 가족 연구
1. 문화와 사회를 지속하게 하는 전달자로서의 가족
2. 가족에서 민족으로: 중화민족의 다원일체 속의 가족
3. 다국적 네트워크와 세계화를 배경으로 한 가족
5장 무형문화유산: 문화의 표현과 문법
1. 머리말
2. ‘유형’에서 ‘무형’으로: 문화유산보호 속의 문화 재편
3. 문화접변에서 재구성까지: 민속 문화 변천 과정 속에서의 선택
4. 전통에서 현대까지: 민속 문화의 조정과 재구성
5. 결어
제3부 응용인류학과 발전의 딜레마
1장 현대 중국의 사회현실과 응용인류학 연구
1. 도시화와 인구 유동
2. 생태인류학
3. 관광인류학
4. 의료인류학
5. 결어
2장 누가 규범과 비규범을 판단하는가:다문화에서의 내발형 발전적 사고
1. 다양한 사회 문화 유형의 공존과 내발형 발전
2. 수렵, 유목, 농경
3. 유동하는 집단과 사회
3장 환경 연구의 사회 문화관
1. 사회 구조와 환경
2. 문화 전통-민간 환경 지식
3. 윤리관과 환경
제4부 세계화와 지역 사회
1장 페이샤오퉁 선생의 세 번째 글: 세계화와 지역 사회
1. 기술성, 인간성 그리고 ‘3단계 도약’
2. 인류 문화 공생의 심태관(心態觀)
3. 세계화 속에서 한 국가 안의 주변 민족들
4. ‘문명 간의 대화’와 ‘화이부동’의 글로벌 사회
2장 세계화와 문명 간의 대화 속 주변의 변두리 민족:수렵 채집민의 ‘자립’과 ‘한계’
1. 세계화와 문명 간의 대화
2. 주변 속의 변두리 민족: 채집 수렵민 사회의 인류학
3. 개발과 중국의 소규모 사회
4. 소규모 사회로서의 수렵 채집 민족 어룬춘족의 사례
5. 결어
3장 경계를 넘나드는 인류학과 문화 현장
1. 인류학의 중요한 방향이 될 ‘경계를 넘는 인류학’
2. 문화의 현장에 관하여
3. 과계(跨界) 연구와 ‘일대일로(一帶一路)’의 안과 밖
4장 글로벌 사회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1. 페이샤오퉁 선생의 글로벌 사회 이념과 ‘일대일로’ 전략
2. 해상 실크로드와 환남중국해(環南中國海) 지역 사회체계
3. 지역 운명 공동체와 ‘화이부동’의 글로벌 사회
역자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