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중국어 통론

도서명:고대중국어 통론
저자/출판사:쟝리훙,런밍싼김성란,신원철,번역,한용수,감/역락
쪽수:788쪽
출판일:2023-06-01
ISBN:9791167424372
목차
역자 서문
제1장 서론
제1절 | 고대중국어란 무엇인가?
제2절 | 고대중국어와 현대중국어
제3절 | 고대중국어의 학습목적과 필요성
제4절 | 고대중국어의 학습방법
제2장 문자형의(文字形義) 개술 및 사전
제1절 | 문자의 형음의(形音義)
제2절 | 한자의 구조
제3절 | 본자와 본의 및 본의의 추구
제4절 | 본의와 파생의
제5절 | 가차자와 이체자
제6절 | 고금자
제7절 | 사전
제3장 훈고학상의 ‘의존어성(義存於聲)’과 ‘성근의통(聲近義通)’ 학설
제1절 | ‘의존어성’과 ‘성근의통’
제2절 | ‘성근의통’의 법칙 및 분별문과 우문설
제3절 | 연면사
제4장 단어 의미의 해석
제1절 | 단어 의미 해석에서 주의해야 하는 몇 가지 문제
제2절 | 허수, 공명(公名)과 전명(專名), 기휘(忌諱)와 완곡(婉曲),
비유의미, 편의복사(偏義複詞), 전고성 어휘
제5장 문장
제1절 | 어떻게 문장을 구성하는가?
제2절 | 장문과 단문 및 구두(句讀)
제3절 | 절과 구
제6장 판단문과 서술문
제1절 | 판단문
제2절 | 서술문
제7장 품사 활용
제1절 | 고대중국어의 품사
제2절 | 품사활용의 일반적인 상황
제3절 | 치동용법(致動用法)과 의동용법(意動用法)
제8장 어조사와 접사
제1절 | 어조사
제2절 | 접사
제9장 인칭 대체사와 지시 대체사
제1절 | 인칭 대체사
제2절 | 지시 대체사
제10장 생략과 어순
제1절 | 생략
제2절 | 어순
제11장 진술(陳述)문, 감탄문, 의문문, 기사(祈使)문
제1절 | 진술문
제2절 | 감탄문
제3절 | 의문문
제4절 | 기사문
제12장 수량과 비교
제1절 | 정량과****량
제2절 | 명량과 동량, 양사
제3절 | 비교
제13장 복문과 접속사
제1절 | 복문 예시
제2절 | 접속사의 용법
제14장 성(聲)·운(韻)·조(調)
제1절 | 음변화와 성운학
제2절 | 반절(反切)
제3절 | 성조
제15장 운서와 등운
제1절 | 성모류와 운모류 및 자모와 운섭
제2절 | 등호
제3절 | 운서와 등운도
제16장 고음
제1절 | 상고음과 중고음
제2절 | 고운류(古韻類)
제3절 | 고성류(古聲類)
제4절 | 고성조
제17장 운율
제1절 | 운각과 대장
제2절 | 고체시 운례(韻例)
제3절 | 격률의 형성과 근체시
제4절 | 사율(詞律)과 사운(詞韻)
제5절 | 곡률과 곡운
제18장 고전문학 작품의 수사법
제1절 | 문맥, 자료와 관련된 수사법
제2절 | 문장 구조와 관련된 수사법
제3절 | 성운과 관련된 수사법
제19장 목록학 상식
제1절 | 목록학
제2절 | 칠략(七略)과 사부(四部)
제3절 | 주소(注疏)와 전주(箋注)
제4절 | 총서(叢書)와 유서(類書)
제5절 | 고서체제
제20장 고서의의(古書疑義)
제1절 | 도문(倒文)
제2절 | 생략
제3절 | 복문(複文)
제4절 | 변문(變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