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밖, 한국사

도서명:교과서 밖, 한국사
저자/출판사:김대웅/아름다운날
쪽수:552쪽
출판일:2024-07-22
ISBN:9791167090331
목차
머리말 ㆍ 4
제1부 선사시대
지질학적, 인류학적, 문화적 선사시대 ㆍ 12
제2부 고조선
한반도 최초의 국가 ㆍ 16
기자조선과 위만조선 ㆍ 17
한사군 ㆍ 18
제3부 삼국시대
1. 삼국의 정립 ㆍ 22
1) 고구려 건국 ㆍ 22
시조 동명성왕 ㆍ 22/유리왕과 황조가 ㆍ 24/호동왕자와 낙랑공주 ㆍ 25/명재상 을파소 ㆍ 26/왕비가 된 후녀 ㆍ 27
2) 백제의 건국과 성장 ㆍ 28
온조의 십제 ㆍ 28/백제의 체제정비 ㆍ 29
3) 신라의 건국과 성장 ㆍ 30
박혁거세 ㆍ 30/남해차차웅, 유리이사금, 탈해이사금, 미추이사금 ㆍ 31/내물마립간과 눌지마립간 ㆍ 34
2. 가야연맹 ㆍ 36
구지가와 수로왕 ㆍ 36/야유타국 공주 허황옥 ㆍ 37/전기가야연맹(금관가야) ㆍ 38/후기 가야연맹(대가야) ㆍ 39
3. 삼국의 발전과 흥망 ㆍ 41
1) 백제의 발전과 왜(倭) ㆍ 41
백제 전성기의 근초고왕 왜(倭) ㆍ 41/개로왕과 바둑 ㆍ 44/남부여 ㆍ 45/백제의 재도약 ㆍ 46/서동요와 선화공주 ㆍ 49
2) 고구려의 발전과 융성 ㆍ 51
소금장사 미천왕 ㆍ 51/율령반포와 불교공인 ㆍ 52/광개토대왕과 장수왕 ㆍ 52/바보 온달과 평강공주 ㆍ 56/강서대묘 ㆍ 57
3) 신라의 전성기 ㆍ 59
국호를 정한 지증왕 ㆍ 60/이차돈의 순교 ㆍ 61/진흥왕과 순수비 ㆍ 62/신라의 힘 화랑도 ㆍ 64/진평왕과 귀신 비형랑 ㆍ 65/김유신과 기생 천관 ㆍ 66/최초의 여왕 선덕여왕 ㆍ 68/김춘추의 친당외교 ㆍ 70
4) 고구려의 수ㆍ당 항쟁 ㆍ 72
고구려의 대수 항쟁 ㆍ 72/고구려의 대당 항쟁 ㆍ 77
5) 백제ㆍ고구려의 멸망과 부흥운동 ㆍ 81
해동증자 의자왕의 몰락 ㆍ 81/황산벌 전투, 계백장군과 화랑 관창 ㆍ 84/백제의 멸망 ㆍ 86/백제 부흥운동 ㆍ 87/백제 왕족과 왜의 천황가 ㆍ 89/고구려의 멸망 ㆍ 90/고씨의 부흥운동 ㆍ 92/나당전쟁 ㆍ 94
제4부 남북국 시대와 후삼국
1. 발해 ㆍ 98
고구려 유민 대조영 ㆍ 98/당나라에서 위세를 떨친 고구려 유민 고선지와 이정기 ㆍ 100/해동성국의 발해와 멸망 ㆍ 104
2. 통일신라 ㆍ 108
강수와 설총 ㆍ 108/만파식적 ㆍ 109/혜초의 『왕오천축국전』 ㆍ 111/수로부인과 헌화가 ㆍ 112/신라방과 신라소 ㆍ 114/불국사와 김대성 ㆍ 114/에밀레종의 전설 ㆍ 115/원성왕과 독서삼품과 ㆍ 118/장보고의 등장 ㆍ 120/진성여왕 ㆍ 123/최치원과 6두품 ㆍ 125
3. 후삼국시대 ㆍ 128
지렁이의 아들 견훤 ㆍ 128/후백제 개창 ㆍ 129/신라 왕의 서자, 궁예 ㆍ 131/태봉 건국 ㆍ 133/왕건과 승려 도선 ㆍ 135/왕건과 오씨 부인 ㆍ 136/궁예의 몰락 ㆍ 137/태조 왕건 ㆍ 140/후백제와의 결전 ㆍ 142/신라의 멸망과 마의 태자 ㆍ 144/후백제의 멸망과 고려의 통일 ㆍ 145
제5부 고려
1. 고려의 성장과 호족의 집권기 ㆍ 150
호족의 포섭과 ‘훈요십조’ ㆍ 150/왕규의 난 ㆍ 152/노비안건법과 과거제도 ㆍ 153/거란의 1차 침입과 서희 ㆍ 156/천추태후와 ‘강조의 변(變)’ ㆍ 158/거란의 2차 침입 ㆍ 160/거란의 3차 침입과 귀주대첩 ㆍ 162/고려에서 코리아로 ㆍ 164
2. 문벌귀족들의 득세와 동요 ㆍ 166
문벌귀족들의 등장 ㆍ 166/해동공자 최충과 대각국사 의천 ㆍ 167/9성을 쌓은 윤관 장군 ㆍ 170/이자겸과 척준경 ㆍ 174/묘청과 서경천도운동 ㆍ 176
3. 무신정권의 등장과 여몽항쟁 ㆍ 180
1) 100년 동안의 무신정권 ㆍ 180
정중부의 난 ㆍ 180/반(反) 무신의 난 ㆍ 181/경대승과 이의민 ㆍ 182/최충헌의 무신정권 ㆍ 184
2) 여몽전쟁과 삼별초 ㆍ 186
강화 천도 ㆍ 186/승려 출신 장군 김윤후 ㆍ 188/무신정권의 종말 ㆍ 192/삼별초의 대몽항쟁 ㆍ 196/삼별초와 유구국 ㆍ 197
4. 권문세족의 성쇄와 신진사대부의 등장 ㆍ 200
원의 내정간섭 ㆍ 200/공민왕의 개혁 ㆍ 202/개혁파 신돈과 권문세족 이인임 ㆍ 206/****왕 최무선과 화통도감 ㆍ 210/황산대첩과 퉁두란 ㆍ 213/요동 정벌과 최영 ㆍ 216/위화도 회군과 정도전의 등장 ㆍ 219/정몽주를 제거한 이방원 ㆍ 221
제6부 조선
1. 조선의 건국과 발전 ㆍ 224
변방에서 떠오른 별, 이성계 ㆍ 224/이성계와 무학대사 ㆍ 225/1차 왕자의 난 ㆍ 228/2차 왕자의 난 ㆍ 229/함흥차사와 태조 이성계의 승하 ㆍ 231/태종 이방원의 선택 ㆍ 233/세종의 두 보좌관 맹사성과 황희 정승 ㆍ 235/〈집현전〉과 한글 창제 ㆍ 237/천재 과학자 이천과 장영실 ㆍ 239/최윤덕과 대호장군 김종서 ㆍ 241/문종의 동생, 수양대군과 안평대군 ㆍ 244/칠삭둥이 한명희와 계유정난 ㆍ 247/단종 복위 운동과 사육신, 생육신 ㆍ 249/남이 장군과 모사꾼 유자광 ㆍ 252/성종과 폐비 윤씨 ㆍ 255/사림파의 거두 김종직과 ⸢조의제문⸥ ㆍ 257/연산군과 무오사화 ㆍ 259/흥청망청과 장녹수 ㆍ 261/갑자사화 ㆍ 262/중종반정과 기묘사화 ㆍ 264/을사사화와 정난정 ㆍ 268/대도 임꺽정 ㆍ 270/퇴계 이황 ㆍ 271/율곡 이이와 신사임당 ㆍ 273/시대를 앞선 정여립과 정철의 두 모습 ㆍ 277/백사 이항복과 한음 이덕형 ㆍ 280
2. 조선 중기의 위기 ㆍ 284
1) 두 차례의 왜란과 호란 ㆍ 284
조선통신사와 토요토미 히데요시 ㆍ 284/임진왜란 ㆍ 287/명나라의 참전 ㆍ 290/의암 논개 ㆍ 291/행주대첩 ㆍ 293/성웅 이순신 ㆍ 295/두 번째 백의종군 ㆍ 299/정유재란 ㆍ 300/일본인이 본 이순신 장군 ㆍ 305/나라를 구한 의병들 ㆍ 307/서산대사 휴정과 사명대사 유정 ㆍ 309/유성룡과 『징비록』 ㆍ 311/광해군과 인조반정 ㆍ 314/붕당의 형성과 분당 ㆍ 317/정묘호란과 병자호란 ㆍ 319/삼전도의 굴욕 ㆍ 324/임경업과 김자점 ㆍ 326/효종의 북벌계획 ㆍ 330
2) 붕당의 심화 ㆍ 332
숙종의 환국정치 ㆍ 332/인현왕후와 장희빈 ㆍ 334
3. 조선의 마지막 중흥과 실학파 ㆍ 337
1) 조선의 마지막 중흥기 ㆍ 337
계몽군주 영조와 사도세자 ㆍ 337/보검의 손잡이 박문수 ㆍ 339/정조와 화성행차 ㆍ 341/김홍도와 신윤복 ㆍ 345
2) 실학파의 등장 ㆍ 348
실학파의 형성과 국학의 발달 ㆍ 348/추사 김정희 ㆍ 351/다산 정약용과 형제들 ㆍ 353/순조와 천주교 박해 ㆍ 355/‘홍경래의 난’과 거상 임상옥 ㆍ 357/강화도령 철종과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 ㆍ 361
4. 대한제국과 열강의 침략 ㆍ 363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 ㆍ 363/김대건 신부, 그리고 절두산 성지 ㆍ 366/19세기말 동북아 정세와 서세동점 ㆍ 368/명성황후의 개항정책 ㆍ 370/임오군란과 갑신정변 ㆍ 372/동학 농민혁명 ㆍ 377/갑오경장과 청일전쟁 ㆍ 379/을미사변과 아관파천 ㆍ 381/러일전쟁과 을사늑약 ㆍ 385/헤이그 만국평화회의와 3인의 열사 ㆍ 387/안중근 의사와 이토 히로부미 ㆍ 388/국채보상운동과 동양척식주식회사 ㆍ 392/스티븐스의 친일성명서 ㆍ 393/경술국치 ㆍ 395
제7부 34년 11개월 16일간의 일제강점기
1. 데라우치의 무단통치 ㆍ 400
20세기 초 동아이아 정세 ㆍ 400/3ㆍ1 독립운동 ㆍ 401/상해 임시정부 ㆍ 404
2. 민족분열통치와 항일무장투쟁 ㆍ 407
만주의 항일 투쟁과 자유시 참변 ㆍ 407/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ㆍ 411/6ㆍ10 만세운동 ㆍ 412/윤봉길 열사 ㆍ 413/항일의거 독립투사들 ㆍ 415/광주 학생 항일운동 ㆍ 419
3. 민족말살정책과 태평양전쟁 ㆍ 420
내선일체와 창씨계명 ㆍ 423/조선어학회 사건 ㆍ 425/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ㆍ 427/세계 최초의 원자폭탄, ‘리틀보이’와 ‘팻맨’ ㆍ 430
제8부 대한민국
1. 해방공간(1945~48) ㆍ 434
미군정 때까지 한반도의 혼란 ㆍ 434/백범 김구와 초라한 ‘상해임시정부’의 귀국 ㆍ 437/징용자 귀국선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 ㆍ 442/비상국민회의 ㆍ 443/제주 4ㆍ3사건 ㆍ 448/여순사건 ㆍ 450
2. 한민족 최대의 비극, 한국전쟁 ㆍ 453
소련군과 일본의 침전 ㆍ 459/정전협정 ㆍ 460/‘한국전쟁’ 중 벌어진 ‘4대 민간인 학살사건’ ㆍ 462
3. 이승만 정권의 막바지 ㆍ 467
황당한 개헌논리 ‘사사오입’ ㆍ 467/민주주의를 향한 첫걸음, 4ㆍ19혁명 ㆍ 469
4. 5ㆍ16 군사 쿠데타와 박정희 시대 ㆍ 472
5ㆍ16 군사 쿠데타 ㆍ 472/군정기의 혼란 ㆍ 474/제3공화국의 탄생 ㆍ 477/한일국교 정상화 ㆍ 478/인혁당 사건 ㆍ 480/베트남전 참전 ㆍ 481/장기 집권을 위한 포석, ‘3선 개헌’ ㆍ 483/노동운동과 전태일 ㆍ 486/제4공화국과 7ㆍ4남북공동성명 ㆍ 488/유신헌법의 탄생 ㆍ 490/2인자 제거의 본보기, 윤필용 사건 ㆍ 492/김대중 납치 사건과 민청학련 사건 ㆍ 494/박정희 암살 미수사건 ㆍ 497/박정희 몰락의 조짐들 ㆍ 498/10ㆍ26 시해사건 ㆍ 503
5. 신군부의 등장과 제5공화국 ㆍ 506
12ㆍ12 하극상과 신군부의 등장 ㆍ 506/전두환에 대한 미국의 태도 ㆍ 509/5ㆍ18 광주민주화운동 ㆍ 511/삼청교육대와 언론탄압 ㆍ 514/탄생해서는 ****될 제5공화국의 탄생 ㆍ 515/언론 통폐합과 ‘당근’ 정책들 ㆍ 516/김영삼의 단식투쟁과 김대중 석방 ㆍ 518/아웅산 폭파 사건 ㆍ 519/이산가족 찾기와 남북이산가족 상봉 ㆍ 521/김근태, 이을호 고문사건 ㆍ 523/인천 5ㆍ3운동, 그리고 성고문사건과 남영동 고문사건 ㆍ 524/‘6월 항쟁’의 기폭제, 박종철과 이한열의 죽음 ㆍ 526
6. 노태우의 제6공화국 ㆍ 529
제13대 대통령 선거와 총선 ㆍ 529/‘86아시****게임’과 ‘88올림픽’ ㆍ 530/7ㆍ7선언ㆍ531/문익환, 임수경의 평양 방문 ㆍ 532/3당 연합 민주자유당 ㆍ 534/남북고위급회담 ㆍ 535/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탄생 ㆍ 536
7.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부 ㆍ 538
금융실명제 실시 ㆍ 539/하나회 해체 ㆍ 540/역사 바로 세우기 ㆍ 541/지방자치제 실시 ㆍ 542/IMF위기 ㆍ 544/제1차 북핵위기 ㆍ 545
8. 김대중 대통령과 국민의 정부 ㆍ 546
남북공동선언문 ㆍ 548/한국 최초 노벨평화상 수상 ㆍ 549/금강산 관광개발사업 ㆍ 550/2002 한ㆍ일 월드컵 ㆍ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