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ke News 가짜뉴스 형사처벌과 언론 출판의 자유
도서명:Fake News 가짜뉴스 형사처벌과 언론 출판의 자유
저자/출판사:이문한/한국학술정보
쪽수:417쪽
출판일:2020-12-30
ISBN:9791166032554
목차
머리말
제1장 서 론
제1절 언론ㆍ출판의 자유의 개념과 연혁
Ⅰ. 언론ㆍ출판의 자유의 개념
Ⅱ. 언론ㆍ출판의 자유의 규정 연혁
제2절 헌법상 기본권으로서의 언론ㆍ출판의 자유
Ⅰ. 언론ㆍ출판의 자유의 의의
Ⅱ. 언론ㆍ출판의 자유의 중요성과 우월적 지위 여부
제2장 언론ㆍ출판의 자유의 보호영역과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표현
제1절 언론ㆍ출판의 자유의 보호영역과 표현행위
Ⅰ. 언론ㆍ출판의 자유의 보호영역
Ⅱ. 의견 표명과 사실의 주장
제2절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표현의 보호영역 포함 여부
Ⅰ. ‘허위사실’과 ‘가짜뉴스’의 개념 정의
1. ‘허위사실’의 개념 및 ‘진실’과의 구별기준
2. ‘허위사실’에 포함되는 이른바 ‘가짜뉴스’의 개념과 취급
Ⅱ. 독일의 학설과 판례
1. 독일 학계에서의 논의
2.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대표적인 결정 사례
Ⅲ. 미국의 학설과 판례
1. 미국의 보호영역 관련 이론적 논의
2.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
Ⅳ. 국내의 학설과 판례
1. 국내의 학설
2. 헌법재판소의 판례
Ⅴ. 보호영역 판단과 기본권의 경합
1. 언론ㆍ출판의 자유와 다른 기본권의 경합
2. 기본권 경합의 해결
3. 허위사실 표현과 기본권의 경합
Ⅵ. 소결
제3절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표현과
언론ㆍ출판의 자유 제한
Ⅰ. 헌법 제21조 제4항과 제37조 제2항의 관계
1. 기존의 학설
2. 최근 학계의 논의와 검토
Ⅱ. 언론ㆍ출판의 자유의 제한과 합헌성 심사 기준
1. 언론ㆍ출판의 자유 제한에 대한 합헌성 심사
2.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표현의 제한과 그 합헌성 심사 기준
3. 소결
제3장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표현에 대한 법적 규제
제1절 개요
제2절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표현에 대한 비형사적 규제
Ⅰ. 독일ㆍ미국 등 외국의 법제 현황
1. 독일
2. 미국
Ⅱ. 국내의 비형사적 규제
1. 개요
2. 언론중재법상의 규제
3. 정보통신망법상의 규제
4. 민사상 손해배상청구 및 원상회복조치
Ⅲ. 소결
제3절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표현에 대한 형사적 규제
Ⅰ. 개요
Ⅱ. 우리 헌법상 형사적 규제의 기준
Ⅲ. 현행법상 허위사실 표현에 대한 형사적 규제
1. 형법상 명예훼손죄 처벌규정
2. 특별법상 형사처벌 규정
제4절 소결
제4장 현행 형사처벌 규정의 합헌성 검토
제1절 명예훼손죄
Ⅰ. 명예훼손죄 처벌규정의 개요
1. 언론ㆍ출판의 자유와 타인의 명예 보호
2.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 형사처벌 규정
Ⅱ. 독일ㆍ미국의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죄
처벌 법제와 관련 논의
1. 독일
2. 미국
Ⅲ. 현행 명예훼손죄 관련 주요 대법원 판례의 법리
1. ‘사실 적시’와 ‘의견 표명’의 구별
2. 허위와 진실의 구별
3. 허위의 인식 여부에 대한 입증책임
4. ‘비방할 목적’의 판단
5. 형법 제310조의 ‘공공의 이익’ 판단
Ⅳ. 현행 명예훼손죄 처벌규정의 합헌성 검토
1. 합헌성 논란과 심사의 기준
2.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죄’ 합헌성 검토
3. 소결
제2절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
Ⅰ. 개요
Ⅱ. 독일ㆍ미국 등의 주요 입법례
1. 독일
2. 미국
3. 우리 법제와 외국 법제의 비교 검토와 시사점
Ⅲ. 허위사실공표죄 대표적 사례를 통해
본 대법원 판례의 법리
1. 개요
2. 공직후보자 검증을 위한 의혹 제기와 사실의 적시 여부
3. 후보자토론회에서 허위사실 공표의 판단 기준
4. 허위사실에 대한 입증책임
5. 허위사실에 대한 인식 및 진실로 믿을 정당한 사유 등
Ⅳ.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 합헌성 검토
1. 위헌 논란의 제기
2. 허위사실공표죄의 합헌성 검토
Ⅴ. 관련 문제 : 후보자비방죄의 합헌성 검토
1. 후보자비방죄 개요
2. 관련 대법원 판례 및 주요사례
3. 공직선거법상 후보자비방죄에 대한 합헌성 검토
제3절 국가보안법상 허위사실 날조ㆍ유포죄
Ⅰ. 개요
Ⅱ. 안보형사법과 허위사실 유포죄
1. 독일과 미국의 안보형사법과 허위사실 유포죄
2. 우리의 테러방지법상 허위사실 유포 금지 규정
Ⅲ. 국가보안법상 허위사실 날조ㆍ유포죄 합헌성 검토
1. 국가보안법 위헌 논란
2. 국가보안법상 허위사실 날조ㆍ유포 처벌규정 개관
3. 각 처벌 조항의 합헌성 검토
4. 소결
제4절 새로운 형사처벌 규정의 도입 논란에 대한 검토
Ⅰ. 개요
Ⅱ. 독일ㆍ미국의 입법 상황
1. 독일
2. 미국
Ⅲ. 사회 혼란을 야기하는 허위사실 유포행위에 대한 형사적 규제 논란
1. 구 전기통신기본법상 허위통신 처벌 규정 (일명 ‘미네르바’ 사건) 검토
2. 정보통신망에서의 가짜뉴스 규제를 위한 국내 입법 추진 경과
3. 5ㆍ18 특별법 등 역사부정 허위사실 유포 처벌 법****
Ⅳ. 소결
제5장 현행 형사처벌 규정의 개선방****
제1절 형사처벌 규정 최소화를 위한 조건
Ⅰ.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신속한 대응
1.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신속한 차단 조치
2. 반론보도청구권 등 언론중재법상 구제조치의 실효적 보장
Ⅱ. 인터넷 표현행위에 대한 책임성 확보
1. 인터넷 게시자 개인의 책임성 강화
2.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책임 강화
Ⅲ. 민사소송의 신속한 진행과 손해배상의 실효성 확보
1. 민사소송의 신속한 진행
2. 손해배상 및 원상회복조치의 실질화
제2절 현행 형사처벌 규정의 개정
Ⅰ. 명예훼손죄 규정의 정비
1. 구성요건의 통일적 정비
2. 반의사불벌죄의 친고죄 개정
3. 사실(진실)적시 명예훼손죄의 폐지 논의
Ⅱ.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 등의 개정
1. 낙선목적 허위사실공표죄의 법정형 하한 개정
2. 후보자비방죄의 폐지 검토
Ⅲ. 국가보안법상의 허위사실 날조·유포죄
구성요건 및 법정형 정비
1. 유형별 법정형의 차별화
2. 구성요건의 명확성 강화
Ⅳ. 사회질서 혼란유발 허위사실 표현의 형사적 규제
1. 도입의 필요성
2. 입법의 구체적 방****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