갖지 못한 자들의 문학사

도서명:갖지 못한 자들의 문학사
저자/출판사:요시다 유타카/보고사
쪽수:466쪽
출판일:2024-06-17
ISBN:9791165876982
목차
첫머리에
1. 왜 군중인가?
2. 문제의 소재-‘포스트콜로니얼’ 혹은 ‘제3세계’?
3. 어휘의 문제와 최근 연구
4. 이 책의 방법
5. 이 책의 구성
제1부 군중(제국주의)
제1장. 사람들이 모이는 것은 왜 위험한가? -포, 보들레르, 콘래드의 작품에 나타나는 도시와 식민지 군중
1. 첫머리에
2. 대도시 군중-포, 「군중 속의 사람」에서의 객관성과 과학
3. 보들레르의 식민지에 대한 상상력과 군중의 여성화
4. 식민지의 군중-르 봉의 『군중심리』에서 콘래드의 『어둠의 심연』으로
5. 슬럼과 식민지를 연결하다-런던의 군중들
6. 콘래드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군중
7. 맺으며
제2장. 군중과 공동체, 그리고 불가능한 저항-조지프 콘래드, 『로드 짐』과 『노스트로모』
1. 첫머리에
2. “우리”의 반복과 아이러니
3. 군중과 『로드 짐』
4. 군중, 콘래드, 그리고 프로이트-『노스트로모』에 대해서
5. 『노스트로모』의 군중 담론
6. “우리”와 군중
7. “뻔뻔스러운” 사람들-흔적으로서의 군중
8. 맺으며
제2부 대중(혁명과 반제국주의)
제3장. 역사 기술, 그리고 아이티 혁명에서의 우애 문제-C. L. R. 제임스, 『블랙 자코뱅』
1. 첫머리에
2. 카리브해 지역의 역사 기술과 민중, 그리고 저자의 물음
3. 『블랙 자코뱅』(1938)-젠더, 법, 텍스트
4. 희곡판 「블랙 자코뱅」(1967)
5. 박애에 대한 질문
6. 맺으며
제4장. 반둥, 미완의 탈식민화 프로젝트-리처드 라이트, 『색의 장막』
1. 첫머리에
2. ‘제3세계’로서의 반둥?
3. 리처드 라이트의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적 투쟁
4. 냉전의 틀에서 본 심리학과 종교-『색의 장막』
5. 젠더, 인종주의 그리고 냉전기의 지도 그리기
6. 맺으며
제3부 인민/국민(탈식민화)
제5장. 식민주의와 정동, 그리고 심리적 삶의 행방-조지 래밍의 『내 피부의 성에서』와 『망명의 즐거움』에서 수치심의 위치
1. 첫머리에
2. 정동의 비평성과 수치심의 위치
3. 수치심, 죄책감, 책임-「흑인 작가와 그 세계」
4. 제국과 예속을 비추는 수치심-『내 피부의 성에서』
5. “모국”이라는 물음-『망명의 즐거움』의 『템페스트』 독해
6. 맺으며
제6장. 모세와 저항의 고고학-응구기 와 티옹오, 『한 톨의 밀알』에서의 국가와 모성성
1. 첫머리에
2. 프로이트, 『인간 모세와 유일신교』의 고고학과 정신분석
3. 카리브해 지역에서의 모세-래밍의 신식민주의 형상을 읽는 응구기
4. 『한 톨의 밀알』 속 응구기의 모세
5. 케냐타의 인류학과 응구기의 모성성 비판
6. 맺으며
제4부 민중(신식민주의)
제7장. ‘풍자인가, 식인주의인가’-응구기 와 티옹오의 『십자가 위의 악마』와 신식민주의 비판
1. 첫머리에
2. 케냐의 신식민주의 상황과 ‘마우마우’의 기억
3. 풍자에 관한 언설과 응구기의 개입
4. 신식민주의에 맞서다-김지하 풍자의 응구기식 용법
5. “제 살 파먹는 입”-식인주의, 자본주의, 기독교
6. 맺으며
맺으며
1. 지금까지의 논의
2. 포퓰리즘과 인민에 대한 물음
3. 폭력과 비폭력, 그리고 지배를 둘러싸고
4. 앞으로의 전망-비교냉전문학사를 향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