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디아스포라와 글로컬리즘 5: 교육

도서명:재일디아스포라와 글로컬리즘 5: 교육
저자/출판사: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보고사
쪽수:516쪽
출판일:2023-12-31
ISBN:9791165876654
목차
머리말
제1장 _ 해방공간의 재일디아스포라 사회와 민족학교
기념비로서의 '조선학교'_ 박광현
1. 해방 민족의 기념비-'조선학교'
2. '한신교육투쟁'-전후 재일조선인 투쟁사의 기원
3. 마치며-'4.24교육투쟁'이라는 기억
재일조선인의 자기정체성 재구축과 민족교육_ 신승모
1. 시작하며-조선학교를 둘러싼 최근의 상황과 선행연구
2. '제국 신민'에서 '외국인'으로, 그리고 다시 신생 '조선인'으로-자기정체성의 변용과 민족교육
3. '공민'으로서의 교육과 완성된 학교 시스템의 구축
4. 귀국사업과 조선학교
재일조선인 중등교육의 중심은 도쿄조선중학교이다_ 김인덕
1. 시작하며
2. 해방 이후 재일본조선인연맹은 민족교육을 했다
3. 재일조선인은 도쿄조선인중학교 개교를 준비했다
4. 민족교육의 중심 도쿄조선중학교가 개교했다
5. 도쿄조선중학교는 교사를 갖고 있었다
6. 도쿄조선중학교는 짜여진 교육과정을 운영했다
7. 마치며
전환기의 1970년대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연구_ 이영호
『계간 마당』의 기사를 중심으로
1. 시작하며
2. 전후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전개양상
3. 『마당』의 민족교육 담론 전개와 의의
4. 마치며
『보쿠라노하타』에 나타난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역사와 탈식민적 실천_ 윤송아
1.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탈식민성
2. 주체적 민족교육을 향한 투쟁과 모색의 길
3. 『보쿠라노하타』에 재현된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양상과 탈식민적 실천
4.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이라는 '우리들의 깃발'
제2장 _ 재일디아스포라 민족교육의 사회문화적 변동
재일동포 민족학교: 분단과 (탈)식민의 역사_ 정진성
1. 들어가며
2. 재일동포 민족교육의 시기구분
3. 민족 전체의 교육투쟁 (일제시기~1948년)
4. 민족학교의 분열과 민족학급 설립/ 조선학교의 압도적 우세 (1948년~1980년대)
5. 민족교육의 실용화, 다양화 및 통일지향 (1990년대 이후)
6. 마치며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변천과 정착_ 이영호
1. 시작하며
2. 해방 이후 민족교육의 쟁취와 구축
3. 1970년대-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전환기
4. 1980~90년대-교육개혁을 통한 일본사회로
5. 2000년대 민족교육과 공생사회 일본
6. 마치며
재일코리안사회의 자생적 통일' 공간으로서의 민족교육운동_ 김웅기
1560~90년대 민족교육촉진협의회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민촉협운동의 탄생과정
3. 민촉협운동의 성과
4. '통일' 공간으로서의 민촉협운동
5. 결론
1980년대 재일조선인 사회의 민족교육과 변화_ 신재민
1. 변화하는 재일조선인 사회와 다시 요구되는 민족교육
2. 모국수학 프로그램과 민족학교의 정체와 쇠퇴
3. 민족학급과 재일조선인 사회의 자발적인 실천
4. 마치며
조선학교 선택에 있어 보이지 않는 경계선_ 이토 히로코
가고 싶어도 가지 못한 조선학교
1. 들어가며
2. 재일사회와 조선학교
3. 조선학교를 선택하지 못했던 사람, 않았던 사람
4. 마치며-조선학교의 보이지 않는 경계선
제3장 _ 다문화공생과 재일디아스포라 민족교육의 진로
재일동포의 「민족교육」과 「공생」 추구의 주체적 선택_ 이수경·권오정
1. 들어가며
2. 「민족교육」의 의미
3. 동서냉전체제하의 「민족교육」의 구조 변화
4. 한국에서의 재일동포의 위상 변화와 갈등
5. 나가며-재일동포의 주체적 선택
정체성의 정치에서 정체성의 관리로_ 송기찬
조선학교의 민족교육과 재일코리안의 정체성
1. 들어가며
2. 정체성의 정치와 재일코리안의 민족교육
3. 교육적 자치공간으로서의 조선학교
4. 조선학교의 현장에서-'민족'을 일상적으로 실천해 가는 장소
5. 정체성의 정치에서 정체성의 관리로
6. 결론-정체성을 횡단하는 주체의 가능성
'정치'로 바라보는 일본 공립학교 내 재일코리****민족교육_ 김웅기
1970년대 민족학급 재흥 시기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한 세대만에 쇠퇴를 소멸 위기를 맞이한 민족학급
3. 니시나리구의 지역성에 힘입은 민족학급 재흥
4. 조국의 '통일'이 계기를 마련한 자주형 민족학급의 탄생
5. 재일코리안사회의 통일'을 불허한 한국정치의 개입과 그 한계
6. 나가며
재일코리****집중거주 지역의 민족학급_ 정성희
A초등학교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일본 공립학교 내 민족교육
3. A초등학교의 민족학급 설치와 연대
4. 마치며
민족교육에 있어서 집단 교육과 개인 교육_ 야마모토 고스케
오사카 다문화 교육의 실천으로부터
1. 집단교육과 개인교육 사이
2. 오사카의 민족학급
3. '민족'이 일상적으로 있는 소학교-X소학교
4. 포섭과 갈등-Y소학교
5. 무엇을 잃어버리고 있는가
6. 민족교육의 갈등이 일본 교육현장에 초래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