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디아스포라와 글로컬리즘 2: 정치·경제

도서명:재일디아스포라와 글로컬리즘 2: 정치·경제
저자/출판사: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보고사
쪽수:446쪽
출판일:2023-12-31
ISBN:9791165876623
목차
제1장 _ 재일디아스포라의 정체성 정치
아이덴티티 변용의 측면에서 본 재일코리안_ 이진원
1. 머리말
2. 재일코리안의 위상의 변화와 특징
3. 아이덴티티 측면에서 본 재일코리****공동체의 변용
4. 맺음말
한민통의 한국민주화운동_ 조기은
1970~80년대 활동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한민통의 70~80년대의 민주화운동
3. 만들어진 '반국가단체' - 한민통
4. 나오며
샌프란시스코 일본군 '위안부'기림비 건립 운동과 자이니치코리안의 정체성 정치_ 이지영
1. 시작하며
2. 어떻게 연구하고 분석했는가
3. 정체성 정치와 자이니치코리안, 개념과 전략
4. 샌프란시스코 일본군'위안부'기림비 건립
5. 마치며
제2장 _ 재일디아스포라를 둘러싼 정치적 동학
재일디아스포라의 탄생_ 신승모 국적과 제도의 길항
1. '재일디아스포라'의 개념과 범위
2. 조선인에 대한 국적 부여와 도일 조선인의 증가
3. 조선인에 대한 병역법 개정과 호적법의 적용
4. 패전 후의 국적법 적용과 재일디아스포라의 탄생
냉전의 역학 속 '해방민족'_ 이승희
점령기 일본의 재일조선인에 대한 치안정책
1. 들어가며: 찾아오지 않은 '해방'
2. GHO/SCAP의 재일조선인 정책 변화
3. 특고 체제를 계승한 일본 정부의 재일조선인 치안정책
4. 나가며: 냉전과 재일조선인 문제
일본 헤이트스피치 해소법_ 이진원
1. 머리말
2. 헤이트스피치 해소법의 제정 계기 및 과정
3. 제정 과정을 통해서 본 헤이트스피치 해소법의 성격
4. 맺음말
일본 조선학교 고교무상화 배제의 정치과정_ 권연이
1. 시작하며
2. 민주당 정권의 고교무상화 도입과 조선학교
3. 자민당 정권의 조선학교 배제 확정
4. 일본 정부의 대북제재 기조, 미디어 논조, 시민사회의 분열
5. 마치며: 대북제재와 인권옹호 사이 '두 개'의 인권
제3장 _ 재일디아스포라와 동아시아
재일조선인 혐오의 계보와 인권운동_ 이영호
고마쓰가와 사건, 김희로 사건, 히타치 투쟁을 중심으로
1. 시작하며
2. 재일조선인 혐오의 계보
3. 재일조선인 인권운동의 발생과 혐오의 전개
4. 인권운동 이후 전개와 혐오의 극복
5. 마치며
일본의 외국인 참정권 논쟁_ 이진원
1. 머리말
2. 외국인 참정권 논쟁의 시대적 배경
3. 외국인 참정권 논쟁의 의미
4. 맺음말
5.18광주민주화운동과 재일동포사회_ 임영언
1. 머리말
2. 5.18광주민주화운동 전개와 재일동포사회로의 확산
3.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재일동포사회에서 재외동포사회로의 확산
4. 맺음말
재일조선인 북한송환 사례와 인권 정치_ 강여린
1. 머리말
2. 인권을 옹호하는 비정부 행위자 '모두 모이자'
3. 2014년 모두 모이자' 결성 이후의 활동
4. 맺음말
자이니치 인권운동과 유엔 강여린
1. 머리말
2. 냉전기 재일조선인 북송에 대한 UN COT 보고서
3. 자이니치의 인권운동: 북한을 상대로 한 소송
4. 맺음말
제4장 _ 재일디아스포라의 경제 네트워크
재일코리안의 고베·나가타 지역 고무산업 진입 과정과 케미컬슈즈의 탄생_ 김웅기
1. 들어가며
2. 고베·나가타지역에서의 고무산업
3. 조선인의 나가타지역에 고무산업 진입과 일본 패전 직후의 역할 확대
4. 고무 관련업계 재일코리안의 특수한 위상과 케미컬슈즈의 탄생
5. 나가며
재일한인 기업가의 등장과 사회적 배경 특성_ 고광명
1. 들어가며
2. 재일한인 현황과 선행연구의 흐름
3.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방법을 통해 조사했는지
4. 어떤 내용으로 사회적 배경 특성을 분석했는지
5. 마치며
북한의 상업거래 관행_ 남근우
재일상공인과 남한 기업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시기별 북한의 대외교역 확대 배경
3. 북한의 대남 및 대일교역의 특징
4. 북한의 상업거래 관행과 유형
5. 나가며: 남북교역의 성공적인 재개를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