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일의 신 택리지

도서명:신정일의 신 택리지
저자/출판사:신정일/쌤앤파커스
쪽수:516쪽
출판일:2023-08-22
ISBN:9791165347765
목차
개요 _ 시간을 품고 마음을 낳는 충청도 : 천년의 맑은 바람 대를 이어 불다
1 풍요로운 삶의 터전 내포 : 우연히 만나는 아름다운 고장
내포, 가야산 아래 열 고을 | 비운의 성 예산 임존성 | 추사 김정희와 윤봉길 의사의 고향 | 용봉산 자락 암벽에 새긴 불심 | 발을 걷으니 구름이 산봉우리에서 나오고 | 서산 해미읍성의 빛과 그늘 | 마애불이 전하는 백제의 미소 | 마음을 열고 가는 개심사 | 무학이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은 간월도 | 나무숲이 아름다운 태****| 왕실의 숲이었던 안면도 | 호서의 거읍 홍주 | 훌륭한 인물들의 고향 홍성 |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 정약용의 홍주 오죽헌 | 사금이 많고 시장이 컸던 광천
2 청양에서 서천에 이르는 길 : 지천구곡이 간직한 오랜 숨결
바람 맑고 달 맑은 청양 | 이몽학의 난 | 대가람의 옛터 성주사지 | 청라에서 태어난 천재들 | 창망한 바다와 면한 남포 | 세모시가 아름다운 서천의 한산 | 마량리 푸른 바다와 붉은 동백
3 시작의 땅 공주와 부여 : 백제의 도읍 웅진과 사비성
백제의 중흥을 꿈꾸던 공주 | 금강을 따라 흐른 역사 | 고마나루에는 곰이 없다 | 갑신정변의 주인공 김옥균 | 김옥균을 암살한 홍종우 | 금강 변에 들어선 세종특별자치시 | 김구가 숨어 지내던 마곡사 | 계룡산 계곡물은 쪽빛처럼 푸르고 | 새벽의 땅 부여 | 고란사 종소리 사무치는데 | 낙화암 낙화암 왜 말이 없느냐 | 임천에 있는 가림성 |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불운한 천재의 마지막 은둔처 무량사
4 계룡산 높이 솟아 층층이 푸름을 꽂고 : 새 왕조의 꿈이 머물던 곳
염라대왕이 논산 사람에게 묻는다는 세 가지 명물 | 꼿꼿한 선비의 표상 김장생 | 놀뫼의 인물들 | 대한민국 남자들의 제2의 고향 | 신도안을 품은 계룡산 | 천호산에 얽힌 이야기들 | 팔괘정과 택리지 | 술잔 잡아 계백 장군에게 제사 올리고 싶으나 | 노성의 윤증 고택 | 은진의 서쪽 강경포구 | 나라 안에서 가장 큰 돌부처 은진미륵 | 갑천의 발원지 대둔산
5 사통팔달의 고장 대전과 천****: 기억해야 할 땅과 사람들
교통의 요지 대전 | 동춘당과 남간정사 | 아나키스트의 고향 | 남적이 아산을 함락하고 | 천****삼거리 흥 능수야 버들은 흥 | 소사하와 정유재란 | 말을 홍경사에 쉬게 하고 다시 옛 비문을 읽네 | 천****아우내장터 | 땅이 기름지고 백성이 많은 아산 | 이순신이 살았던 곳 | 맹씨 집안이 사는 은행나무 집 | 외암민속마을 | 봉곡사에서 열린 성호 학회 | 솔밭 모양으로 솟아 있는 운주산
6 남한강 물길 따라 : 천하에 으뜸가는 물맛
달디단 충주 달천 | 남방의 목구멍을 질러 막은 곳 | 치열한 싸움터였던 중원 | 남한강 변에 있던 가흥창 | 번성했던 목계나루 | 탄금대에 서린 한 | 이연경과 원평리 석불입상 | 온천으로 유명한 수안보와 영남대로 | 청풍명월의 고장 청풍은 사라지고 | 의림지가 있는 제천 | 사랑을 간직한 박달재 | 단양은 옛 고을이라 산수가 빼어나고 | 바보 온달이 고구려 왕의 사위가 되어 쌓은 온달산성
7 세속을 떠난 속리산이 품은 땅 : 구비구비 흐르는 세월의 흔적을 찾아
산 좋고 물 좋고 인심 좋은 괴산 | 청천 선유동계곡 | 고개가 많았던 괴산의 연풍 | 연풍 현감 김홍도 이야기 | 깨달음의 연못에서 얻은 석불 | 비야 오지 마라 대추 꽃이 떨어지면
8 충청도와 경상도의 길목 : 추풍령 굽이마다 한 많은 사연
산 높고 물 맑은 옥천 | 성인이 주신 아들 송시열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 개혁가의 아내는 노비가 되어 | 학은 날아갔어도 누는 그대로 있고 | 삼도봉 넘어가는 장꾼 보게 | 무주 한풍루냐 영동 금호루냐 | 양산을 가세 양산을 가요 | 칡넝쿨 다리를 건너 영국사에 간 공민왕 | 아름다운 자풍당 글 읽는 소리 | 박연의 고향
9 미호천 주변의 고을들 :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이 한곳에
충청북도 서부를 질러 흐르는 미호천 | 유명한 음성 고추와 담배 | 살 제 진천, 죽어 용인 | 내륙 지방의 관문이었던 부강포구 | 대청댐과 문의 | 청주 취경루에 끌어들인 경치 | 청주에서 시작된 이인좌의 난 | 랜드마크 용두사지 철당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