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적 근대와 조선사회 1

도서명:식민지적 근대와 조선사회 1
저자/출판사:정태헌 엮음 · 조명근 , 노성룡 , 이명학 , 박우/선인
쪽수:456쪽
출판일:2024-02-29
ISBN:9791160688795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식민지 자본주의와 ‘개발’의 특징
01. 일제시기 조선은행 개조론의 전개와 함의 _조명근
1. 머리말
2. 조선은행 정리 및 이상론에 입각한 개조론
3. 식민지 현실론에 입각한 개조 반대론
4. 조선은행 개조론의 함의
5. 맺음말
02. 일제하 면양장려계획(1934~1945)과 식민지 개발 _노성룡
1. 머리말
2. 면양장려계획(緬羊獎勵計畫)의 배경
3. 면양장려계획의 전개과정과 특징
4. 면양장려계획의 한계로 보는 식민지 개발
5. 맺음말
03. 일제시기 사회간접자본의 구축과 토지 수용 _이명학
1. 머리말
2. 토지수용제도의 정비와 관계인 권리의 무력화
3. 「토지수용령」의 적용과 사회간접자본의 확충
4. 맺음말
04. 일제시기 조선철도 건설의 성격에 관한 세계사적 검토 _박우현
1. 머리말
2. 건설자금 조달 방식의 차이
3. 식민지 확대를 지향하는 철도건설
4. 한정된 재원의 불균형한 배분
5. 맺음말
제2부 식민 통치의 무력 기반, 조선 주둔 일본군
05. 1910~20년대 조선 주둔 일본군 헌병대의 3·1운동 탄압과 역할 변화 _김상규
1. 머리말
2. 1910년대 조선주차헌병대의 편제 변화
3. 조선 주둔 일본군 헌병대의 3·1운동 탄압
4. 보통경찰제 전환과 1920년대 조선헌병대의 축소
5. 맺음말
06. 일본에서의 조선군 연구 성과와 과제 _안자코 유카
1. 머리말
2. 조선군 개요
3. 연구사
4. 맺음말
제3부 식민지적 근대의 복합성과 조선인 엘리트층의 동향
07. 일제 식민지기 조선 농촌의 ‘머슴’살이: 전통과 근대의 하이브리드 생존기 _이송순
1. 머리말
2. 버려진 담론[‘식민지반(半)봉건성’·‘민족경제권’]에 대한 재검토
3. ‘머슴’살이: 전통과 근대의 하이브리드 생존기
4. 맺음말
08. 금융조합 조선인 이사의 사회적 위상과 존재 양태 _문영주
1. 머리말
2. 고학력 조선인의 이사 취업
3. ‘농촌 3거두’의 하나인 관치금융기관장
4. 식민지 삶과 자의식
5. 맺음말
09. 1910~20년대 조선인 교원의 일본 시찰 _장인모
1. 머리말
2. 시찰 여행의 실시
3. 조선인 교원의 시찰 여행 경험
4. 맺음말
10. 1920~1938년 공설운동장 건설과 조선인 엘리트의 활동 _임동현
1. 머리말
2. 식민당국의 공설운동장 건설과 조선인 사회의 대응
3. 조선인 엘리트의 활동과 헤게모니 확보
4. 맺음말
11. 한국 근현대 선거에서 기호투표의 정착 과정 연구 _최선웅
1. 머리말
2. 해방 전후 선거과정의 기표
3. 입법의원 선거법으로 명문화된 기명투표
4. 기호투표의 시작: 5·10 총선거
5. 기명투표의 부활과 좌절: 1960년 서울특별시장선거
6. 맺음말
엮은이/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