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와 역사정치

도서명:교과서와 역사정치
저자/출판사: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선인
쪽수:345쪽
출판일:2023-06-30
ISBN:9791160688276
목차
총론: 역사인식, 교과서, 그리고 역사정치
1부 교과서와 정치환경
고대사파동, 식민지 이후의 식민주의 이정빈
Ⅰ. 고대사파동의 재연, 성찰의 필요성
Ⅱ. 유사 역사학의 식민주의 인식과 국수주의
Ⅲ. 역사학계의 식민주의·국수주의 비판과 성찰
Ⅳ. 한국고대사학의 탈식민 모색과 과제
역사교과서의 국수적 한국사 체계와 역사정책 성찰 이정빈
Ⅰ. 머리말
Ⅱ. 현행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체계와 민족서사
Ⅲ. 국수적 한국사 체계의 계보와 계보적 인식
Ⅳ. 원초적 민족 이해의 고착과 현행 교육과정
Ⅴ. 맺음말
정치적 무기로서의 역사, 역사전쟁의 다섯 국면 김정인
Ⅰ. 머리말
Ⅱ. 민주화 전후, 민족-민중사학의 대중화
Ⅲ. 과거사 청산과 뉴라이트 담론의 등장
Ⅳ. 보수정권의 회귀와 자유민주주의 파동
Ⅴ. 종북 담론과 역사교과서 국정화 강행
Ⅵ. 촛불시민혁명과 ‘반일종족주의’ 현상
Ⅶ. 맺음말
역사부정 현상과 학교 역사교육의 과제 김육훈
Ⅰ. 머리말
Ⅱ. 역사부정의 개념: 기원과 동학
Ⅲ. 역사부정 현상의 교육적 의미와 역사교육의 방향 전환
Ⅳ. 역사부정과 부인문화 너머의 역사교육: 변화를 만들어낸 한 사례
Ⅴ. 맺음말
2부 역사교육 현장의 대안모색
평화 지향 역사교육을 위한 독일의 사례 정용숙: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중등 II 역사 핵심교수계획(2014)
Ⅰ. 역사교육의 평화교육의 만남
Ⅱ. 역량중심 개정안의 새로움과 문제점
Ⅲ. 내용영역 분석: ‘근대의 평화조약과 평화체제’
Ⅳ. 수업 모델: ‘평화는 만들 수 있는가?’
Ⅴ. 연구와 교육의 대화를 위하여
2015 교육과정 이후 역사교육을 위한 상상력 김육훈
Ⅰ. 머리말
Ⅱ. 역사 갈등과 갈등극복을 위한 역사교육 탐색
Ⅲ. 학교 역사교육의 현주소와 변화를 위한 모색들
Ⅳ. 2015 이후 역사교육정책과 교육과정개정 방향
Ⅴ. 맺음말
논쟁성을 살리는 역사교과서 서술 체제 탐색 김육훈
Ⅰ. 머리말: 아직도 교과서인가
Ⅱ. ‘논쟁성을 살리는 역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할까?
Ⅲ. 논쟁성을 살리는 역사교과서 서술 체제의 가능성
Ⅳ. 맺음말
3·1운동 사례를 통해 본 역사교과서의 시각과 구성에서의 변화 가능성 모색 김정인
Ⅰ. 머리말
Ⅱ. 한국사 교과서의 3·1운동 서술의 시각과 구성에 대한 검토
Ⅲ. 민주주의적 시각과 주제사적 구성에 따른 3·1운동 연구 사례
Ⅳ. 맺음말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본 과거사 청산에 관한 서술 김정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이행기 정의로서의 과거사 청산
Ⅲ.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본 교과서의 과거사 청산 서술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