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경제관념의 근대적 기원

도서명:한국인 경제관념의 근대적 기원
저자/출판사:도면회/선인
쪽수:314쪽
출판일:2023-04-28
ISBN:9791160688108
목차
책을 내면서
서론
제1장 ‘경제’ 개념의 의미 전환과 ‘소유’ 개념의 도입
1. 성리학적 ‘경제’ 개념으로부터 근대적 ‘경제’ 개념으로
1) 성리학적 ‘경제’ 개념의 지속성
2) 전통어 ‘생재’와 ‘이재’의 번역어 ‘경제’로의 흡수
3) 근대적 ‘경제’ 개념의 보편화와 주체로서의 등장
2. ‘황실재정’으로부터 ‘국민경제’로
1) 개화파의 경제 개념과 자유 상업 정책
2) 대한제국의 독점적 상업 정책과 황실재정의 팽창
3) ‘국민경제’ 개념의 도입
4) 경제정책의 모색과 민족 활로로서의 ‘경제’
3. 근대적 ‘소유권’ 개념의 도입
1) 조선시대의 소유 관련 개념
2) 개항 이후의 소유 관련 개념
3) 근대적 ‘소유권’ 개념의 확산
제2장 시장의 확대와 추상적 ‘시장’ 개념의 정착
1. 개항과 대외교역 관련 개념의 의미 변화
1) 개항과 외국 무역의 확대
2) 대외교역 관련 개념의 의미 변화
2. 근대적 화폐와 은행 개념의 도입 및 확산
1) 본위화 개념의 도입
2) 화폐정리사업과 ‘법화’ 개념의 강행
3) ‘은행’ 개념의 도입과 확산
3. 추상적 ‘시장’ 개념 도입과 정착
1) 상설 점포의 증가와 추상적 ‘시장’ 개념의 도입
2) 추상적 ‘시장’ 개념의 정착
제3장 근대적 ‘노동’ 개념의 도입과 분화
1. 신분제 폐지 이전의 노동 개념
1) 신분에 따른 역(役) 체계
2) 조선후기 모립제 등장과 노동 관련 용어
2. ‘노동(勞働)’ 개념의 도입과 분화
1) 갑오개혁 이후 노동 관련 개념의 변화 1
2) ‘노동(勞働)’ 개념의 도입
3) 노동자의 급증과 ‘노동’ 개념의 확산
4) 노동 개념의 분화와 국가 중심의 노동관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