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을 바라보는 방법

도서명:민중을 바라보는 방법
저자/출판사:왕현종/소명출판
쪽수:606쪽
출판일:2024-06-30
ISBN:9791159058776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근대사회 형성과 각 주체들의 민중 이해
제1장 | 근대 이행기 민중의 인식과 담론의 등장
1. ‘인민’의 용어와 해석의 문제
2. 민중의 자율적 세계와 민중 담론의 제기
3. 근대국민국가의 논의와 국민·민중의 이해
제2장 | 19세기 말 지식인들의 시대 인식과 민중 이해
1. 개화 지식인 유길준의 근대 시민관과 민중 이해
2. 관료지식인 김윤식의 시대 인식과 민중 인식 변화
3. 유교 지식인 황현의 동학 비판과 민중관
제3장 | 민중운동의 성장과 민중 주체 인식의 변화
1. 19세기 말 민중의 사회경제적 위기와 폐정 개혁의 요구
2. 1890년대 민중의 동향과 보은취회의 운동 전환
3. 1894년 농민전쟁의 민중 참여와 민중적 개혁 지향
4. 2차 농민전쟁 시기 민중의 전쟁 동원과 민중 탄압
제2부/ 대한제국기 민중 인식의 편차와 계몽 담론
제4장 | 한말 지식인들의 민중 계몽 담론과 민중의식의 성장
1. 근대 계몽 지식인의 신문 발간과 계몽 담론의 제기
2. 대한제국 전기 입헌정체의 이해와 민중 참여의 배제
3. 1898년 한성부민의 정치 참여운동과 민 의식의 성장
제5장 | 1905년 이후 계몽운동의 전개와 민권론의 제기
1. 1905년 이후 계몽운동의 국권론과 국민 개념의 전개
2. 계몽운동의 민법 제정론과 민중들의 재판 투쟁 전개
제6장 | 국권회복운동으로서 의병·계몽운동과 민중세력의 동향
1. 1907년 이후 의병운동의 전개와 민중 참여층의 변화
2. 일진회 등 계몽운동의 정치 활동과 민중의 정치적 동원
3. 계몽운동의 보통학교 설립과 민중세력의 의식 확산
종장 | 계몽운동의 민중의 정치 동원과 민중의 정치 참여 무산
저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영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