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육사: 시인이기 전에 독립투사

도서명:이육사: 시인이기 전에 독립투사
저자/출판사:김희곤/푸른역사
쪽수:328쪽
출판일:2024-07-09
ISBN:9791156122791
목차
책을 펴내며
이육사 연보
평전을 다시 쓰면서
육사가 사용한 이름, 264에서 戮史를 거쳐
‘이원삼’에서 ‘이활’로
이활과 대구 264
264에서 육사肉瀉ㆍ戮史를 거쳐 육사陸史로
육사의 고향, 원촌 마을 881번지
육사를 만나러 가는 길
〈계절의 오행〉에 담긴 원촌 마을
1904년, 육사의 출생과 집****전통
육사를 둘러싼 ‘무서운 규모’
육사의 형제들
1909~1924년, 육사가 자라면서 받은 교육
한문을 배우며 자라나다
보문의숙寶文義塾을 거쳐 도산공립보통학교 다니다
혼인하고 대구로 이사하다
일본 유학
1925~1926년, 중국을 드나들며 민족의식을 키우다
대구 조양회관에서 문화 활동을 벌이다
베이징 나들이
베이징에서 ‘중국대학 상과’에 다니다
1927~1930년, 감옥을 드나들면서도 꺾이지 않다
장진홍 의거에 따른 수감 생활 1년 7개월
대구에서 기자 생활
‘대구 격문 사건’으로 2개월 구금되다
잦은 만주 나들이, 결국은 베이징으로
《중외일보》에서 《조선일보》로
1931~1933년, 초급 군사간부가 되다
윤세주尹世冑가 권한 난징행
베이징을 거쳐 난징에 도착한 의열단
의열단,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를 열다
육사, 난징에서 의열단장 김원봉을 만나다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를 다니다
졸업 기념으로 연극을 공연하다
육사가 맡은 임무
봄비 내리는 난징에서 국내 침투 준비
의열단에 가입하지 않았다는데
1933~1934년, 국내 근거지 확보하다가 체포되다
상하이에서 루쉰을 만나다
서대문 감옥에 갇히다
1930~1944년, 평론가·수필가·시인의 삶
본격적인 글쓰기와 사회 활동
〈청포도〉와 〈절정〉
1933~1936년, 시사평론에 보이는 그의 시대 인식
시사평론가로서의 육사
육사의 정세 인식
1943년, 친일의 물결 헤치고 투쟁의 길로
또다시 베이징으로 간 까닭은
충칭과 옌안을 연결하려 하다
베이징에서 순국하다
‘베이징 감옥’은 어디일까
고향에 묻히다
백마 타고 온 초인, 이육사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