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놓친 역사, 공간으로 읽는다

도서명:시간이 놓친 역사, 공간으로 읽는다
저자/출판사:여호규/푸른역사
쪽수:184쪽
출판일:2023-06-21
ISBN:9791156122555
목차
머리말
01 공간, 왜 주목해야 하나
인류와 공간의 관계|공간 중심의 세계관과 역사관|《80일간의 세계 일주》에 담긴 메시지|시간 우위 역사관으로의 전환|시간 우위 역사관의 서구 편향성|시간 우위 역사관에 따른 왜곡 현상|시간과 공간을 아우른 역사로
02 공간 이해의 출발점
위치와 장소|위치 표시에 담긴 정치적 편향성|고대사 연구의 토대, 역사지리 연구|인간과 장소의 상호작용, 장소 정체성|고구려인들이 강변과 숲속을 중시한 까닭|공간 이해의 확장, 절대 공간과 상대 공간|도성 건설의 기준점이 된 국왕의 신체|공간 연구의 핵심 개념, 사회적 생산 공간
03 고대인들이 바둑판 모양 계획도시를 건설했다고
고대 도성이 조선의 한양보다 더 계획도시였다|평양에 기자의 정전井田이 있었다고?|도성을 계획도시로 조영하기까지|바둑판 모양 시가지의 건설 방식| 바둑판 모양 계획도시의 기원|바둑판 모양 계획도시에 구현된 고대 신분제|도성(왕경)의 상징이 된 바둑판 모양 시가지
04 왕의 거주 공간이 왕궁이 되기까지
경복궁을 아시나요?|정치적 중추 공간은 왕궁이 아니라 남당|남당이 정치적 중추 공간이 된 까닭|왕궁에 국왕 집무실이 마련되다|의례 공간에 관청의 기능까지 더한 남당|왕의 거주 공간, ‘진짜 왕궁’이 되다
05 지방 각지에 ‘또 다른 서울’을 건설한 까닭
지방 행정 구역도 사회적 생산 공간일까?|왕경을 모방해 건설한 신라의 소경|고구려의 별도와 백제의 부도|공간의 속성과 영역 지배의 기본 원리|고대 지방제도에 담긴 공간 지배의 원리|영역 통합의 구심점, 소경과 별도
못다한 이야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