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조선조 한문학에 수용된 조-청전쟁의 체험

도서명:17세기 조선조 한문학에 수용된 조-청전쟁의 체험
저자/출판사:김미란/푸른사상
쪽수:264쪽
출판일:2023-12-05
ISBN:9791130821184
목차
■ 책머리에
서론
제1장 17세기 초 조선과 주변 정세의 사회·역사·문화적 맥락
1. 조-청전쟁 이전의 사회·역사·문화적 맥락
1)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동아시아의 발칸반도
2) 임진전쟁의 명군 참전과 조선의 ‘재조지은’ 관념 형성
3) 만명의 쇠락과 후금의 굴기에 대한 조선의 인식
2. 조-청전쟁 발발 과정의 사회·역사·문화 콘텍스트
1) 사르후전쟁 전후 명·조선·후금(청) 삼국의 역학 관계
2) 명·조선·청의 새 주인의 탄생과 정묘전쟁
3) 명·청의 지속적 대결에 따른 병자전쟁
3. 소결
제2장 실기문학에 기록된 조-청전쟁의 실상
1. 사르후전쟁 제재 실기문학-원정과 참패, 포로에서 역적으로
2. 정묘전쟁 제재 실기문학-강화도 피난과 형제의 맹약
3. 병자전쟁 제재 실기문학
1) 남한산성에서의 속수무책과 삼전도의 삼배구고두
2) 피로 물든 강화도의 전쟁 참상
4. 소결
제3장 전기문학에 재현된 조-청전쟁의 양상
1. 사르후전쟁 제재 전기문학-전사한 영웅 김응하 장군
2. 병자전쟁 제재 전기문학
1) 설전으로 청과 맞선 척화 삼학사
2) 집단 자살로 청군의 굴욕을 피한 민성 일가
3. 소결
제4장 한시문학에 표현된 조-청전쟁의 상흔
1. 사르후전쟁 제재 한시-가구(假構)된 전쟁신에 대한 애도
2. 정묘전쟁 제재 한시
1) 반발하는 노신(老臣)들의 충천하는 울분
2) 망각된 패장들에 대한 예찬
3. 병자전쟁 제재 한시-안빈낙도하던 은사들의 포효
4. 소결
결론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