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 행정/정책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행정학 > 행정/정책

행정학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박영사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박영사
시중가격 24,000원
판매가격 24,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행정학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행정학

    9791130319667.jpg

    도서명:행정학
    저자/출판사:소마,켄고최영하,안성수,번역/박영사
    쪽수:444쪽
    출판일:2024-03-04
    ISBN:9791130319667

    목차
    머리글: 읽기 전 안내 1

    1. 행정학이라는 학문 1
    행정학의 특징/1 이 책의 목표/2
    2. 행정학의 탄생과 발전 3
    근대학문으로서의 행정학/3 네 가지 계기/4
    실천지향성과 학제성(學際性)/5 체계화의 시도와 좌절/6
    3. 이 책의 특징과 구성 8
    기록된 것과 기록되지 않은 것/8 관련 서적과의 관계/8
    네 부분/9 각 부의 구성/11


    제Ⅰ부
    정치와 행정

    제1장 정치와 행정의 관계 15

    1. 본인·대리인 관계로서 정치와 행정의 관계 15
    정치와 행정의 의미/15 본인·대리인 관계와 근대사회/16
    민주적 통제와 정치 주도/18 본인·대리인 관계란 무엇인가/19
    본인·대리인 관계로서의 정·관 관계/20 관료의 정책 형성 활동/21
    2. 정치가에 의한 관료의 통제 23
    사전 통제와 사후 통제/23 선발 방식/23
    정책 형성 절차와 조직편제/25 사후 통제/26
    통제에의 대응/27 정치적 통제와 독립성·자율성/28
    3. 본인의 복수성 29
    복수의 본인/29 권력의 집중·분산과 집정 제도/29
    총리의 권력/30 대통령의 권력/31
    복수의 본인과 중립화/32
    4. 각국의 정치와 행정 관계 32
    미국/32 영국/34 프랑스/35
    국제비교(1): 임용 방법/36 국제비교(2): 재량 정도/38
    국제비교(3)-조직편제의 통제/39

    제2장 일본의 정치와 행정의 실태 41

    1. 메이지헌법 체제하의 정치와 행정 41
    메이지헌법 체제에서의 정당과 관료/41
    다이쇼데모크라시와 정·관 관계의 변질/42
    혁신관료·군인관료와 통합 시도/43
    2. 점령개혁에 의한 변화 44
    전전·전후 연속론과 단절론/44****한 총리의 제도화/45
    조직재편과 성·청 횡단적 인사/46
    3. 자민당 정권하의 정치와 행정 47
    본인의 복수성/47
    자민당 정권의 안정과 정·관 관계의 제도화/47
    입법 절차의 정리/48 통제 수단의 정비/49
    국회 심의에서 관료의 역할 크기/51
    선비형(國士型) 관료에서 조정형(調整型) 관료로/52
    4. 1990년대 이후의 변화 52
    변동의 90년대/52 사전 통제의 강화/53
    총리 주도의 강화/54 내각 관방과 내각부/55
    강한 총리의 탄생?/56
    민주당 정권의 시도-내각과 여당의 일원화/58
    ‘대통령형’ 총리로서의 제2차 아베 정권/59
    관료의 역할 의식 변화/61
    5. 지방정부의 정치와 행정 63
    집정 제도와 선거 제도의 특징/63 통제 형태/64

    제3장 정치와 행정의 관계를 규정하는 요인 66

    1. 전문성이라는 이념 66
    민주성과 전문성의 상충(trade-off)/66 잭슨민주주의에서 분리론으로/68
    융합론의 등장/69 1980년대 이후 세 개의 방향성/70
    2. 정치가와 관료의 이익 70
    정치가의 이익과 관료의 이익/70 정권 교체 전 위임/71
    정치가와 관료의 유형 차이/72 정책 내용과 정책 선호/74
    전문성과 조직의 평가/75
    3. 정치 제도 76
    집정 제도와 통제 수단의 선택/76 총리의 힘과 선거 제도/77
    총리의 힘과 집정 제도·의회 제도/78 대통령제의 선거 제도/79
    대통령제에서의 권한 분배/79
    집정 제도·선거 제도와 정부 중추의 관계/80
    권력의 집중·분산과 관료/81
    정치 제도론에서 본 일본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83

    제4장 정치와 행정의 관계 귀결 85

    1. 행정책임 85
    누가 누구에 대한 책임인가/85 무엇에 대한 책임인가/86
    프리드리히와 파이너 논쟁/87
    2. 위임의 실패와 정책적 귀결 88
    본인·대리인 관계의 실패/88 통제 부족·과잉/89
    과소 위임의 귀결/90 세 가지의 실패 사례/91
    통제의 편성과 정책 퍼포먼스/92
    3. 사회·경제의 발전 93
    임용 방법과 사회 구성의 전환/93 행정의 자율성과 경제성장/95
    부패의 억제나 유효한 정부/95 각국 데이터를 통한 확인/96
    4. 민주제에 미치는 영향 98
    군부에 대한 문민 통제/98 민주제와 행정 기구/99


    제Ⅱ부
    행정 조직

    제5장 행정 조직의 형태 105

    1. 분업과 통합 105
    왜 분업과 통합이 필요한가/105 통제, 조정, 전문성/106
    계층제(hierarchy)/107
    조정을 통한 통합: 정보공유형 조직/108
    전문성을 통한 통합: 기능 특화형 조직/108
    쌍대원리(双對原理)와 그 파탄/109
    2. 업무의 수행 109
    업무의 수행과 공식화/109
    공식화된 조직으로서의 관료제/111 문서와 디지털화/111
    3. 인적 자원과 예산 관리 112
    인재와 예산 관리/112 채용, 이동, 승진의 두 유형/112
    인사관리의 두 유형/114 고위 간부의 인사/115
    예산 관리: 재정민주제의 제약/115
    4. 각국의 행정 조직 실태 117
    분업의 정도/117
    통합의 세 가지 방법과 공식화/119 예산과 인사의 집권화/122

    제6장 일본의 행정 조직 실태 124

    1. 부성(府省)의 편제와 조정 124
    전전부터 점령기까지 성(省)의 편제/124 집권적 통합의 모색/126
    부처 간 분쟁과 해결/127
    하시모토 행정개혁에 의한 부처 재편/128 관저 주도와 독립기관/130
    2. 부성 내부의 조직편제 131
    획일적인 라인/131 유연한 스텝 계통/133
    부성의 유형/134
    3. 활동의 실태: 일상 업무의 처리와 법****작성 136
    품의서에 의한 처리/136 품의서를 사용하지 않는 처리/138
    품의제론과 ‘오오베야(大部屋)’주의/139
    풍자만화, 질문주의서에 회답, 정보 공개/139
    법****작성의 의미/140 성 내에서의 작업/141
    성 외부와의 조정/141 정보공유형 조직과 한계/142
    4. 인사관리의 특징 143
    관리의 단위와 간부·일반직원의 융합/143
    인사원의 설치와 한계/144 공무원 제도 개혁의 시도/144
    약한 엘리트주의/145 늦은 선발/147
    논커리어/148 커리어 제도의 재검토/150
    제너럴리스트 지향과 기관/151 지방정부의 인사관리/152
    5. 예산 편성과 기구·정원 관리 153
    예산 편성 과정의 특징/153 예산 편성의 흐름/153
    축적형 교섭과 공수(攻守) 교체제도/155 정원과 기구의 관리/156
    총액 관리와 세입·세출의 연결 시도/156 관저 주도의 재정·조직 관리/157

    제7장 조직 형태를 규정하는 요인 159

    1. 이익에 의한 설명(1): 구성원의 행동과 목표 159
    숨겨진 정보와 숨겨진 행동/159 과학적 관리법/161
    고전적 조직론/161 인간관계론/162
    관료의 유형/163 인적 자원 관리론과 PSM/164
    2. 이익에 의한 설명(2): 구성원의 능력 165
    제한적 합리성/165 앨리슨의 쿠바 위기 분석/167
    중간 관리직과 3인1조론(3人1組論)/167 제일선 직원론/168
    근대국가의 성립 과정과 관료제 유형/169
    3. 아이디어에 의한 설명: 개인, 조직, 환경 170
    버나드의 조직이론/170 환경에 대한 수동성과 능동성/172
    환경의 성질과 조직의 적합성/173
    4. 제도에 의한 설명: 동형화, 보완성과 경로의존성 174
    동형화와 정당성/174 전략적 보완성과 시스템 보완성/175
    경로의존성과 조직 형태의 변화/175

    제8장 조직 형태의 귀결 177

    1. 관료제 조직의 장점 177
    높은 예측 가능성/177 관료제와 부패 그리고 경제발전/178
    2. 관료제 조직의 단점 181
    관료제 비판/181 머튼의 역기능론/181
    다양한 역기능/182 제일선 직원의 딜레마/183
    3. 정보공유형과 기능특화형의 귀결 184
    최대 동원 시스템과 혁신/184 분파주의와 조직재편의 정도/186
    상호 책임 전가, 뒤로 미루기, 진척 없는 디지털화/187
    직장과 인간관계에의 영향/188 잃어버린 지속가능성/189
    4. 자원 관리의 실패: 재정 적자 190
    분권형 조직의 귀결로서 재정 적자/190 엄밀한 세출 예측과 그 좌절/191
    공식화와 타임 스팬(time span) 확장/193


    제Ⅲ부
    멀티 레벨의 행정

    제9장 멀티 레벨의 행정-중앙·지방 관계와 국제 관계 197

    1. 멀티 레벨 행정의 의미와 의의 197
    행정의 공간적 확대: 지역, 국가, 국제/197
    멀티 레벨의 행정/198 국내 행정과의 차이/199
    2. 멀티 레벨의 행정을 파악하는 시점 201
    집중·분산과 두 명의 본인/201 집권·분권/202
    집중·분산과 분리·융합/203 지방정부의 규모와 계층/205
    국제행정의 경우/206 분립·종합/207
    3. 각국의 멀티 레벨·통치의 실태 208
    재정 데이터에 의한 파악/208 인적 자원에 의한 파악/209
    지방정부의 규모와 계층/210
    4. 국제행정의 실태 212
    국제행정의 분립성/212 종합형 국제기관의 탄생/212
    인적 자원의 집중·분산과 융합·분리/214
    재원의 집중·분산과 분리·융합/216

    제10장 일본의 멀티 레벨 행정 218

    1. 전전의 중앙·지방 관계 특징 218
    집중·융합 체제의 성립/218 행정국가화와 분립화/219
    2. 점령 개혁에 의한 변화 220
    내무성의 해체/220 집정 제도의 변혁/221
    분리·융합과 종합·분립/222
    도주제(道州制)론, 대도시 제도와 시·읍·면 합병/223
    3. 고도 경제성장기 이후의 지방정치와 행정 224
    지역개발 경쟁/224 종합과 분립의 조합 완성/225
    지방 독자적인 정책 전개와 혁신 자치단체/226
    4. 지방분권 개혁과 지방정치의 변화 227
    어떤 의미의 지방분권인가/227
    제1차 지방분권 개혁의 경과와 성과/228 ‘삼위일체’ 개혁/230
    시·읍·면 합병의 진전과 오사카도(大阪都) 구상/231
    제2차 지방분권 개혁/232 1990년대 이후 지방정치의 변화/234
    5. 일본의 행정 기구와 국제행정 235
    중앙부성의 국제적 활동/235 국제기관에의 공헌/236

    제11장 멀티 레벨의 행정을 규정하는 요인 239

    1. 이념에 의한 설명 239
    보완성 원칙과 참가/239 기능 분담론과 효율성/240
    복지국가화와 상호의존론/240 이념으로서의 분권화/241
    2. 이익에 의한 설명 242
    주민의 이익/242 복지국가의 유형과 중앙·지방 관계/243
    지방정치가의 이익/244 국정 정치가의 이익/245
    관료의 이익/246
    3. 제도에 의한 설명 247
    민주화와 근대화/247 수평적 권력분립과 수직적 권력분립/248
    수평적 정보 유통과 정책 파급/249
    4. 국제행정의 형태를 규정하는 요인 250
    이념과 아이디어/250 국제적인 공공이익/251
    각국의 이익/252

    제12장 멀티 레벨 행정의 귀결 255

    1. 집권·분권의 정치적 귀결 255
    시민의 정치 참여·행정 참여/255 정당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257
    정당 조직에 미치는 영향/258
    행정 기구와 인적 자원에 미치는 영향/259
    2. 집권·분권의 정책적 귀결 260
    공공서비스 제공의 효율성/260 발로 하는 투표/262
    복지 자석/262 다양한 이동/263
    3. 재정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265
    분산·융합의 귀결로서 재정 적자/265
    경제발전 촉진 요인으로서의 분권/267
    4. 국제행정의 귀결 269
    민주주의의 적자/269 공공서비스의 효율성/270
    국경을 넘은 이동 관리/270 재정 적자의 억제와 촉진/271


    제Ⅳ부
    거버넌스와 행정

    제13장 거버넌스의 양태 277

    1. 거버넌스란 무엇인가 277
    민간 부문과 정부 부문/277 민간 부문·정부 부문의 개념과 실태/278
    제3섹터와 정부의 부패/279 거버넌스가 의미하는 것/281
    2. 정부 부문과 민간 부문의 관계 282
    공공정책과 공공서비스/282 네 가지 자원/284
    정책·시책·사업과 프로그램/285 자원의 조합-정책의 제공 방법/286
    민영화, 민간 위탁, PFI, PPP/287 공공서비스에서 ‘소비자 주권’/288
    NPM이란 무엇인가/289 정부의 크기, 힘, 투명성/290
    3. 정부 부문과 민간 부문의 관계 실태 291
    정부 크기의 국제비교/291 정부 크기의 시대에 따른 변화/293
    공무원의 규모/295 정부의 힘/296
    전자정부화의 진전/297 정부의 투명성/299
    각국의 차이 정리/300
    4. 시민사회의 의미와 그 실태 301
    시민사회와 제3섹터의 의미/301 시민참여/301
    제3섹터의 성립/303 제3섹터 데이터를 이용한 국제비교/304

    제14장 일본의 거버넌스 변화 306

    1. 정부·민간 관계의 역사적 변화(1): 메이지에서 고도 경제성장기까지 306
    메이지 국가 건설과 정부의 규모/306 점령 개혁/307
    고도 성장기의 인프라 정비/308 그레이존(gray zone) 조직의 확대/310
    국민건강보험·국민연금의 시작/312
    매스 미디어 이용과 정보 자원의 부족/312
    2. 정부·민간 관계의 역사적 변화(2): 저성장에서 버블 시대까지 313
    고도 경제성장의 종말과 정부 대응/313
    일본의 행정과 보수주의적 복지레짐/314 제2차 임시행정조사회의 개혁/315
    규제 완화의 완만한 진전/316 일본형 복지레짐의 완성/317
    3. 정부·민간 관계의 역사적 변화(3)-헤세이 30년간 318
    하시모토 행정개혁과 독립 행정법인/318
    특수법인 개혁과 고이즈미 정권의 민영화/320
    금전 자원에의 쏠림-민관 펀드의 사례/322
    PFI와 지정 관리자 제도/323 정부 조달 개혁/324
    규제 개혁의 진전/325 재규제와 강력한 규제/326
    복지레짐의 변화와 행정/327 정보 자원의 부족/328
    4. 시민사회의 발전 329
    시민의 행정 참여/329 제3섹터의 발흥/330
    5. 일본의 정부 부패와 렌트·시킹(rent seeking) 331
    공무원의 부패/331 낙하산 인사란 무엇인가/333
    낙하산 인사의 문제점/334

    제15장 거버넌스 양태를 규정하는 요인 336

    1. 정부·민간 관계를 규정하는 이념-시장의 실패·정부의 실패 336
    행정에 대한 수요와 공급/336 경제학의 시점과 정치학의 시점/338
    시장 실패란 무엇인가/338 정부의 실패란 무엇인가/340
    정부의 실패와 시장의 크기 비교/341
    2. 아이디어 정치 342
    아이디어 정치란 무엇인가/342 정부의 역할과 가치 이념/342
    선택지의 제시/343 시장과 정부 활동의 귀결에 관한 인식/344
    정치사상과 정부의 역할/344 정책의 창모델과 비결정권력/345
    3. 이익에 의한 설명과 정치 과정론 346
    공공서비스의 수급 조정/346 가시성과 과잉 수요, 과잉 조달/348
    다원주의와 엘리트주의/349 복지정책의 사례/350
    국가론과 네트워크론/352 정책 제공의 방법과 행정관의 이익/353
    4. 제도에 의한 설명 354
    게임 룰로서의 제도/354 사람들의 참여 제도/355
    선거 제도·집정 제도와 정책 선호/355
    복지국가 유형의 선거 제도에 의한 설명/356 대표 관료제/356

    제16장 거버넌스 양태의 귀결 358

    1. 정책 활동의 투입과 산출 358
    정책의 투입·산출·효과/358 자원의 선택과 정책 산출/359
    거래 비용의 경제학/360
    2. 정책 효과의 발생 361
    정책의 집행을 용이·곤란하게 하는 요인/361
    위반자의 유형과 대응 전략/362 정책 효과 확정의 어려움/364
    정책 효과의 불확정성 귀결/365
    3. 정책 평가 366
    정책 평가란 무엇인가/366 누가 누구를 위하여 평가하는가/367
    정책 평가, 시책 평가, 사무 사업 평가/368 평가의 기준/369
    경제성, 효율성, 유효성/370 평가의 시점/371
    NPM과 정책 평가/372
    4. 정책 평가의 실제 373
    회계 검사와 행정 감찰/373 지방정부의 사무사업평가의 융성/373
    중앙정부의 정책 평가 도입/374
    5. 정책의 실패와 정부의 축소 375
    정부의 실패와 사람들의 반응/375 작위와 부작위의 비대칭성/376
    정부 축소의 귀결/378

    후기 380
    독서 가이드 382
    참고문헌 386
    사항색인 406
    인물색인 416
    그림 목차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행정학
    행정학 24,000
  • 돌파매매 전략
    돌파매매 전략 25,000
  • 내 일의 필로소피
    내 일의 필로소피 17,500
  • 공무원 인식과 조직행태
    공무원 인식과 조직 28,000
  • 더 북 한권으로 끝내는 산업위생관리기사 실기
    더 북 한권으로 끝 35,000
  • 조리기능장 한식 실기
    조리기능장 한식 실 35,000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제로: 펼쳐라! 찾아라!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8,000
  • 개념+유형 파워 유형편 중학 수학 2-1(2024)
    개념+유형 파워 유 11,000
  • 제제와 킹콩
    제제와 킹콩 17,000
  • 2024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최근9년간 기출문제
    2024 위험물산업 18,000
  • 지피지기 백전백승 영어 내신A+ 기출예상문제집 고등 영어(상)(하) 중간 기말고사(천재 이재영)(2024)
    지피지기 백전백승 36,000
  • 2024 NCS 중식조리기능사 필기시험문제
    2024 NCS 중 26,000
  • 통 환원운동사
    통 환원운동사 18,000
  • 문제아
    문제아 14,000
  • New PST 주식 투자 비법
    New PST 주식 21,000
  • 글짜씨 24
    글짜씨 24 35,000
  • 2024 빅데이터 분석기사 필기 핵심요약+적중문제
    2024 빅데이터 20,000
  • 회복탄력성의 힘
    회복탄력성의 힘 17,800
  • 마이 리틀 첼로 콘서트
    마이 리틀 첼로 콘 20,000
  • 2022년~2031년 NABO 중기재정전망
    2022년~2031 11,000
  • 마인크래프트로 배우는 파이썬 입문
    마인크래프트로 배우 19,800
  • 글자의 삼번요추
    글자의 삼번요추 27,000
  • 2025 한자능력검정시험 4급 2
    2025 한자능력검 22,000
  • 초수익 모멘텀 투자
    초수익 모멘텀 투자 24,500
  • 자이스토리 예비 고등 포인트 리딩 Level 3
    자이스토리 예비 고 14,000
  • 깜짝깜짝 야옹이 모험 이야기
    깜짝깜짝 야옹이 모 18,000
  • 이혼 말고도 방법은 있습니다
    이혼 말고도 방법은 14,500
  • 2024 나합격 대기환경기사 필기+무료특강+Final 필기시험 문제지
    2024 나합격 대 42,000
  •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18,000
  • 문해력의 차이가 아이의 평생 성적을 좌우합니다
    문해력의 차이가 아 19,000
  • 2024 Only 1 직업상담사 2급 2차 직업상담실무
    2024 Only 31,000
  • 문기주의 e스포츠 세상
    문기주의 e스포츠 20,000
  • 동물보건내과학
    동물보건내과학 42,000
  • 21세기 우리의 생존전략
    21세기 우리의 생 30,000
  • 60일 완성 무조건 모이는 돈 버는 습관
    60일 완성 무조건 16,800
  • 교회 개척 사용 설명서
    교회 개척 사용 설 12,000
  • 아이의 뇌를 깨우는 보드게임
    아이의 뇌를 깨우는 19,000
  • 비건 브런치
    비건 브런치 25,000
  • 2024 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 필기
    2024 화재감식평 49,000
  • 잉크와 별의 소녀
    잉크와 별의 소녀 15,000
  • 한국의 성씨 해설
    한국의 성씨 해설 35,000
  • 레오폴다
    레오폴다 17,000
  • 살아남은 세 개의 숲 이야기
    살아남은 세 개의 14,000
  • 종이 여자
    종이 여자 17,000
  • 생강
    생강 14,000
  • 연기
    연기 17,000
  • 이제서야 보이는 런던의 뮤지엄
    이제서야 보이는 런 18,800
  • 오늘의 감정, 클래식
    오늘의 감정, 클래 20,000
  • 학교 숲 생태 놀이
    학교 숲 생태 놀이 28,000
  • 2024 소방설비기사 필기 기계분야
    2024 소방설비기 44,000
  • 읽기 ‘지도’를 따라가야 공부가 있다
    읽기 ‘지도’를 따 13,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꼭대기 주소 서울 특별시 마포구 연희로 11,5층 S-537호
사업자 등록번호 795-87-0042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마포-0052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dhwnqhd

Copyright © 2001-2013 (주)꼭대기. All Rights Reserved.